컨텐츠 바로가기

연설문

북한 비핵화 안보리 외교장관 회의 발언문

작성일
2017-04-29 10:38:48
조회수
9261

Security Council Thematic Meeting on
Denuclearization of the DPRK
April 28, 2017

Mr. President,
Secretary-General Guterres,
Distinguished Ministers and representatives,

Let me join others in thanking Secretary Tillerson for convening this very timely meeting and Secretary-General Guterres for his comprehensive briefing. This ministerial meeting of the Security Council, the first-ever on the denuclearization of North Korea, demonstrates the sense of gravity and urgency shared by all members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North Korea is now at the final stage of nuclear weaponization and claims to be a “nuclear weapon state,” as it has declared in its amended constitution.

Since the first North Korean nuclear crisis a quarter century ago, North Korea has made huge advancements in all areas of its nuclear weapons and missile programs through five nuclear tests and numerous missile launches. We have witnessed:
- An exponential growth in its nuclear weapons capabilities from what used to be a few kilograms of plutonium back in 1992 to significant nuclear arsenal now;
- A rapid development of ballistic missiles of all types and ranges that now threaten to reach every corner of the world;
- Andits willingness to actually use WMDs, as was manifested in the assassination of the North Korean leader’s half-brother with a chemical weapon.

In a nutshell,North Korea’s WMD capability, coupled with the intent to actually use them, bring us ever so closer to the tipping point. It is no wonder that some experts say the world is facing its greatest nuclear emergency since the Cuban missile crisis.

A nuclear-armed North Korea will significantly disrupt the security landscape in Northeast Asia and the world. It will also deal a fatal blow to the global nonproliferation regime based on the NPT, and increase the risk of North Korean nuclear material or related technology falling into the hands of terrorists. In order to avoid this nightmarish scenario, we must act now. We are racing against time.

So, what should be our response? Extraordinary circumstances require extraordinary responses. A pundit once said, “insanity is doing the same thing over and over again and expecting different results.” What we need is a new approach led by the Security Council, not allowing North Korea to dictate the agenda and timeline.

Security Council resolutions 2270 and 2321 are milestone measures that illustrate such a new approach. Based on these most comprehensive and robust resolutions, the international community has built and solidified a united front against North Korea over the past year. For its part, my government also took a series of unilateral measures in line with the Council’s efforts.

We are seeing evidences that sanctions are biting, by cutting off North Korea’s hard currency income, deepening Pyongyang’s diplomatic isolation and blocking its illicit activities on all fronts. The international community must sustain efforts to thoroughly implement these resolutions.

Moreover, the Security Council must discuss additional punitive measures to take against future provocations proactively, not reactively, as was the case up till now. The Council has repeatedly warned that it will take “further significant measures, including sanctions” in the case of future provocations. But Pyongyang may still harbor the illusion that the Security Council will only take limited action and that it can disregard and ridicule the authority of the UN.

In order to change such strategic calculus of Pyongyang and induce changes from within, we could take potent measures such as:
- Halting the export and supply of crude oil to North Korea;
- Completely cutting off North Korea’s hard currency earnings by, for instance, suspending all imports of coal from North Korea;
- And seriously considering whether North Korea, a serial offender, is qualified as a member of the UN, as well as downgrading diplomatic relations with North Korea.

Let me be clear: our goal is not to bring North Korea to its knees but to bring it back to the negotiating table for genuine denuclearization. We must be clear-eyed about Pyongyang’s intent: it is not interested in negotiating for denuclearization. Instead, its game plan is to be recognized as a nuclear weapon state and to negotiate nuclear disarmament as such. Just last week, the North Korean Deputy Permanent Representative to the UN himself made clear that any denuclearization talks are a non-starter.

Under these circumstances, dialogue for the sake of dialogue cannot be an option. If history teaches us anything, it is that we must not repeat the tried-and-failed approach. Over the past twenty-some years, we have left no stone unturned. Yet countless negotiations and agreements with this rule-breaker par excellence have led us nowhere but back to square one due to North Korea’s renege and deception. They have only bought time for the regime to advance its WMD capabilities. We must break this vicious cycle of provocations – negotiations – provocations andof rewarding North Korea’s bad behavior once and for all.

Our goal is not to compromise on half-measures for bogus peace. Our goal is the complete, verifiable and irreversible dismantlement (CVID) of the North Korean nuclear weapons and missile programs.

Finally, in dealing with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 we must not lose sight of another serious threat emanating from North Korea’s chemical and biological weapons programs. Security Council resolution 2270 decided that North Korea shall abandon all chemical and biological weapons and weapons-related programs. In this regard, I welcome the joint letter by Secretary-General Guterres and Director-General Uzumcu of the OPCW calling upon North Korea to accede to the CWC.

Mr. President,

History tells us how in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the failure to counter Nazi ambitions led to the outbreak of the Second World War. If we do not respond to North Korea’s repeated provocations in a resolute manner now, we will only further feed the appetite of the trigger-happy regime in Pyongyang. In this regard, should North Korea conduct a sixth nuclear test or launch an ICBM, it will be a game-changer for all of us.

This is why it is critical that this time, the entire international community continue to maintain the unprecedented unified front against North Korea. This is the last opportunity to break and reverse the process. The heavy responsibility is incumbent on all of us.

With regard to the deployment of the THAAD battery system in the Republic of Korea, it is purely a defensive measure against the existential threat from North Korea to our countryand isnot aiming at any thirdcountry. Furthermore, the legitimate annual US-ROKmilitary exercise isatransparent and defensive exercise which cannot be put on par with North Korea’s breach of obligations under Security Council resolutions.

Mr. President,

As this is my last appearance in the Security Council, I would like to take this opportunity to express my deepest gratitude for the unflinching support members of the Security Council have rendered to me and my government over the past four years in confronting North Korea’s nuclear and missile challenges. I assure you that the Republic of Korea will continue to be a stalwart partner in the Council’s efforts to safeguard international peace and security. /End/


--------------------------------------------(비공식 국문 번역문)--------------------------------------------


의장,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
각국 장관 및 대표 여러분,

우선 매우 시의적절한 회의를 개최해 주신 틸러슨 장관님과 종합적인 브리핑을 해 주신 구테흐스 사무총장님께 감사를 표합니다. 금번 북한 비핵화에 관한 최초의 안보리 장관급 회의 개최는 국제사회의 모든 구성원이 공유하는 북한 핵문제의 엄중성과 시급성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북한은 현재 핵무장의 마지막 단계에 있으며, 개정된 헌법에는 스스로를 “핵 보유국”이라고 선언하였습니다.

4반세기 전 1차 북핵위기 이래 북한은 5차례의 핵실험 및 수많은 미사일 발사를 통해 핵무기 및 미사일 프로그램의 모든 분야에서 엄청난 진전을 이루었습니다.

- 북한의 핵무기 능력은 1992년 플루토늄 수 킬로그램을 보유하였던 수준에서 현재 상당한 핵무기를 생산할 수 있는 수준으로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였고,

- 모든 종류 및 사거리의 탄도미사일의 빠른 개발은 전세계 모든 지역을 위협하게 되었으며,

- 화학무기를 사용하여 김정은의 이복형제를 살해한 사건을 통해 북한이 실제 대량살상무기(WMD)를 사용할 의지를 가지고 있다는 것이 드러났습니다.

즉, 북한의 WMD 능력과 동 무기를 실제로 사용할 의지가 결합되면서 이제 북한 핵무장 완성의 임계점(tipping point)에 다가가고 있습니다. 전문가들이 세계는 지금 쿠바 미사일 위기 이후 최대의 핵 비상상황(nuclear emergency)에 처해 있다고 우려하는 것도 놀랍지 않습니다.

북한의 핵무장은 동북아 및 전세계 안보 지형을 심각하게 악화시킬 것입니다. 이뿐 아니라, 핵비확산조약(NPT)을 중심으로 하는 국제 비확산 체제에 치명타를 입히며, 북한의 핵 물질과 관련 기술이 테러리스트들에게 이전될 수 있는 위험성을 증가시킬 것입니다. 이러한 악몽같은 상황을 피하기 위해, 우리는 지금 행동해야 합니다. 이는 시간과의 싸움(race against time)입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우리는 어떻게 대응해야 할까요? 특단의 상황에는 특단의 대응이 필요합니다. 어떤 현자는 일찍이 ‘같은 행동을 하면서 다른 결과를 기대하는 것은 어리석은 일(insanity)’이라고 한 바 있습니다.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북한이 상황을 주도하는 것을 막는, 안보리가 주도하는 새로운 접근법입니다.

안보리 결의 2270호 및 2321호는 이러한 새로운 접근법을 대표하는 기념비적인(milestone) 결의입니다. 지난 1년간 국제사회는 가장 강력하고 포괄적인 이들 안보리 결의의 충실한 이행을 바탕으로 북한에 대한 연합전선을 구축하고, 이를 공고히 하였습니다. 우리 정부도 이러한 안보리의 노력에 부합하여 일련의 독자적 조치들을 취하였습니다.

그리고 우리는 북한의 △WMD 개발 저지를 위한 외화 자금줄 차단, △외교적 고립 심화, △여타 불법 활동 차단 등을 통해 제재가 효과를 발휘하고 있다는 증거들을 목도하고 있습니다. 국제사회는 계속하여 이들 결의를 철저하게 이행하기 위한 노력을 경주해야 할 것입니다.

이에 더해, 안보리는 지금까지의 수동적 태도에서 벗어나 보다 능동적으로 향후 북한의 도발시 취할 추가적인 징벌적 조치들을 논의해야 합니다. 안보리는 북한의 추가도발에 대해 “제재를 포함한 중대한 조치를 취할 것”임을 지속 경고해 왔습니다. 그러나 북한은 여전히 안보리가 북한에 대해 제한적인 조치를 취할 것이며, 따라서 유엔의 권위를 무시하고 조롱해도 될 것이라는 잘못된 환상을 가지고 있습니다.

북한의 이러한 전략적 셈법을 바꾸고 근본적인 변화를 견인하기 위해, 우리는 △대북 원유 수출 및 공급 중단, △북한산 석탄 수출 중단 등을 통한 북한의 외화자금원 완전 차단 등 조치와 함께, △상습적 범죄자(serial offender)인 북한에 대해, 외교관계 격하 뿐만 아니라 UN 회원국의 자격이 있는지에 대해서도 진지하게 고려할 수 있을 것입니다.

의장,

우리의 목표는 북한을 굴복시키는 것이 아니라 북한을 진정한 비핵화 대화로 복귀시키는 것입니다. 우리는 북한의 의도를 직시하여야 합니다. 북한은 비핵화를 위한 협상에 관심이 없습니다. 북한의 속셈은 핵무기 보유국으로 인정받아 핵군축 협상을 하는 것입니다. 바로 지난주 주유엔 북한 차석대사도 스스로 비핵화 대화는 재고할 여지도 없음(non-starter)을 분명히 밝힌 바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대화를 위한 대화는 우리의 선택지가 아닙니다. 우리는 과거 시도했으나 실패한 접근법을 반복하는 우를 범해서는 안될 것입니다. 지난 20여년간 우리는 모든 수단을 시도해 보았습니다. 그러나 ‘탁월한 규범 파괴자’인 북한과의 수 없이 많은 협상과 합의는 북한의 위반과 기만으로 인해 모두 물거품이 되었습니다. 북한과의 협상은 북한의 WMD 능력 증강을 위한 시간을 벌어주었을 뿐입니다. 우리는 “도발-협상-도발” 및 북한의 잘못된 행동에 대해 보상하는 악순환을 완전히 끊어야 합니다.

우리의 목표는 가짜 평화(bogus peace)를 위한 미봉책(half measure)에 적당히 타협하는 것이 아닙니다. 우리의 목표는 북한 핵무기 및 미사일 프로그램의 완전하고, 검증가능하며, 불가역적인 폐기(CVID)입니다.

마지막으로, 우리는 북한 생화학 무기 프로그램의 심각한 위협에 대해서도 간과해서는 안됩니다. 안보리 결의 2270호는 북한이 모든 생화학 무기 및 관련 프로그램을 포기할 것을 결정하였습니다. 이러한 차원에서, 최근 유엔 사무총장과 OPCW 사무총장이 북한의 CWC 가입을 촉구하는 공동서한을 발송한 것을 환영합니다.

의장,

역사를 통해 우리는 20세기 전반기 나치의 야욕에 대한 대응 실패가 어떻게 2차 세계대전의 발발로 이어졌는지 보았습니다. 만약 북한의 반복된 도발에 대해 단호한 대응을 지금 하지 못한다면, 이는 북한 정권의 호전성을 북돋우는 결과만을 낳을 것입니다. 이런 점에서, 북한의 6차 핵실험 및 ICBM 발사는 우리 모두에게 차원이 다른 위협(game-changer)이 될 것입니다.

이러한 이유로 지금 이순간, 국제사회가 북한에 대응하여 전례 없는 단합과 연대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지금이야말로 북한의 핵개발을 중단하고 되돌릴 수 있는 마지막 기회입니다. 이 막중한 책임이 우리 모두에게 있습니다.

의장,

주한미군 THAAD 배치 문제는 북한으로부터의 실존적 위협에 대응한 순전히 방어적인 조치로서 제3국을 목표로 하지 않습니다. 아울러, 투명하고 방어적 성격의 합법적인 연례 한미 군사훈련을 북한의 안보리 결의 의무 위반과 비교할 수는 없습니다.

의장,

오늘 회의는 제가 안보리에 마지막으로 참석하는 회의입니다. 지난 4년간 북한 핵·미사일 위협 대응에 있어 저와 우리 정부에 보여준 안보리 이사국들의 꿋꿋한 지지에 깊은 감사를 표합니다. 대한민국은 앞으로도 국제 평화와 안전 유지를 위한 안보리의 노력에 있어 든든한 파트너가 될 것입니다.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