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연설문

독일-대서양협회(German Atlantic Association) 주최 고위급 토론회 기조연설

작성일
2016-02-12 09:32:54
조회수
6828

Keynote Speech
by H.E. Yun Byung-se
Minister of Foreign Affairs

Security Talks at the Prince Carl Palace
February 11, 2016

State Minister Huber ,
Ambassador Scharioth,
Ambassador Ischinger ,
Distinguished guests,
Ladies and gentlemen,

Good evening, and thank you for the warm welcome and introduction. I am truly privileged to address the prestigious German Atlantic Association. Just last November, at the Asia-Europe Foreign Ministers’ meeting in Luxembourg, I quoted Nobel laureate Rudyard Kipling’s well-known quip, that “East is East, West is West, and never the two shall meet.” Naturally, I pointed out the sea change over the past century. We now live in a world where East and West, Asia and Europe, have not only met, but for all intents and purposes, are sailing on the same boat.

So, no wonder that last year, my number one destination was Europe, rather than Asia or the Americas. I visited Europe more than ten times, and this year again, my visit to Munich marks another good start. Korea is the EU’s strategic partner and NATO’s global partner. Korea and Europe enjoy robust cooperation across the board, in the political, security, economic and cultural fields. Indeed, Korea is the only country in the world to have signed three major agreements with the EU – the Framework Agreement, the Free Trade Agreement and the agreement on joint crisis management operations.

And my government is committed to fostering greater connectivity between Asia and Europe. That is why my government has been working on what we call the Eurasia Initiative, to link the two physically, digitally and culturally.

So, through so many different ways, Korea and Europe are becoming natural partners. This partnership is underpinned by the fact that we share not only common values and the historical experience of rising from the ruins of war, but also our respective alliance structures, which are evolving to further the peace and security of our regions and beyond. Let me expand on this in greater detail.

In Europe, for almost seven decades, NATO has been keeping the peace and security, and has safeguarded its prosperity. It is the greatest success story of collective defense in history. How? I believe that one of its greatest strengths has been its “ability to adapt,” like NATO Secretary General Stoltenberg recently mentioned.

And as the world has moved from the Cold War to the post-Cold War age of globalization, NATO’s stage has expanded from Europe to other regions, including Libya and Afghanistan. Its agenda now covers not only traditional security issues, but also non-traditional security issues such as WMD, terrorism, cyber security and anti-piracy. NATO is going beyond its traditional role of a regional, trans-Atlantic security organization and is assuming the role of a global security provider.

Such expanded role befits a world where geopolitical factors, such as Ukraine and Syria, and transnational agendas, from terrorism and violent extremism to refugee crises, cannot be contained in a particular region.

Indeed, we in Asia and Korea are hardly immune from the impact of developments elsewhere in the world. The influx of refugees into Europe has been in the headlines, but you may be surprised to hear that even in Korea, over a thousand Syrians have applied for refugee status. Moreover, the terrorist attacks in Jakarta last month by an ISIL-affiliated group demonstrate that there is no safe haven from the specter of terrorism and violent extremism.

So, more than ever before, crises and conflicts are becoming boundless and borderless.

However, I believe that such a complex and interconnected security environment is actually creating more space for NATO and Korea to maneuver together in many ways. In other words, after all we share the Eurasian continent, being connected at the eastern and western ends. So, let me elaborate on how we can work together.

First, just as NATO has contributed to the peace and security of post-war Europe, the Korea-U.S. alliance has been playing a pivotal role for peace and security in my part of the world. The Korea-U.S. alliance is a linchpin of the peace and stability of the Asia-Pacific.

Moreover, NATO served as the security bulwark during the process of German reunification. Just as German reunification was instrumental in ushering in greater peace and prosperity in Europe, we in Korea have the vision of contributing more to the peace and prosperity of our part of the world and beyond through Korean unification.

Second, Korea and NATO are like-minded partners who share the core values of democracy, human rights and the rule of law. This means we have strong foundations to work together as global partners in addressing the challenges of our times.

Already, Korea was an active participant in the NATO-led International Security Assistance Force (ISAF) in Afghanistan, and operated a Provincial Reconstruction Team from 2010 to 2014. For the past five years, we have been providing 500 million US dollars to support both the security and the socio-economic development of Afghanistan. Korea and NATO are also working hand in hand in other regions and on other issues as well, from tackling piracy in the Horn of Africa, to countering terrorism and violent extremism, and strengthening cyber security.

Third, NATO has been a steadfast and reliable partner in Korea’s efforts to build up trust in Northeast Asia. NATO’s concept of “cooperative security” was a good source of inspiration for our Northeast Asia Peace and Cooperation Initiative, or NAPCI for short. In Asia, there is a mismatch between its growing economic interdependence and its shortfall in political and security cooperation. This is what we call the “Asia paradox,” and what Dr. Chipman, who is here with us today, has fittingly described as “strategic unease.”

NAPCI is part of our efforts to overcome the Asia paradox. We in Korea are working to nurture trust and resolve the institutional deficiency of our region through NAPCI. Like NATO’s cooperative security, we too are reaching out to partners both within and beyond our region, including NATO, the EU and ASEAN.

Ladies and gentlemen,

At this moment, Northeast Asia is back in the headlines because of the latest developments you all know well. I would like to share my thoughts on the gravest threat to peace and security on the Korean peninsula and Northeast Asia posed by North Korea’s ongoing nuclear weapons and missile programs.

Last month, the international community witnessed two contrasting and diverging developments. On the sixth of January, North Korea conducted its fourth nuclear test of the past decade in spite of the repeated warnings from the international community. Just ten days later, the sixteenth of January, decade-long international sanctions were lifted as a result of the agreement between the E3+3 and Iran. These two events happened within just ten days, but what kind of effects will they have on Iran and North Korea, ten years down the line? All of us here today can imagine the huge differences.

The international community has condemned North Korea’s nuclear test in one voice. However, Pyongyang has flaunted its disregard and derision towards us all by launching a long-range missile just one month after its nuclear test under the disguise of a satellite. Pyongyang went on to reveal its intention to actually use its nuclear arsenal. North Korea’s leader recently stated that it will continue to increase the quality of its nuclear force so as to be capable of making nuclear strikes. These repeated provocations and its persistent defiance of the authority of the UN Security Council call into question its qualifications as a member of the UN.

At this very moment in New York, the members of the UN Security Council are discussing a new resolution to impose robust and comprehensive sanctions against North Korea. Just yesterday, I was in New York to confer with the members of the UN Security Council and the Secretary-General. My message was clear: Pyongyang’s nuclear weapons and missile programs are a clear and present danger to us all, and none of us are free from their destructive reach. As the organ with the primary responsibility to maintain international peace and security, the Security Council must take tough and effective sanctions. At the UN, I emphasized that this should be the “terminating resolution” to ensure that North Korea does not venture to conduct its fifth and sixth nuclear tests.

In addition to the Security Council, I believe that individual countries and international organizations can also play a crucial role. That’s why I have come here, as I wanted to meet our NATO and European partners to consult and formulate joint measures. And because we must face this challenge together.

First, this is because North Korea is an unprecedented serial offender, conducting four nuclear tests and launching six long-range missiles. It has used deception and non-compliance of UN Security Council resolutions for its nuclear weapons and missile programs. I am not aware of any other country that has been so repeatedly and consistently disregarding such UN resolutions. If we go on business-as-usual vis-à-vis North Korea’s repeated nuclear tests and its advancement of nuclear weapons and missile capabilities, including ICBMs and SLBMs, the entire world could fall prey to Pyongyang’s nuclear blackmail.

Second, North Korea’s nuclear weapons programs currently represent the greatest challenge to the global non-proliferation regime. North Korea is the only country to have conducted nuclear tests in this century, blatantly violating the Security Council’s resolutions. North Korea’s acts also run counter to NATO’s commitment to WMD non-proliferation.

Third, the rise of terrorism and violent extremism and the development of nuclear weapons by the unpredictable regime in Pyongyang could turn the nightmare scenario of nuclear terrorism a reality.

And last but not least, we should not forget that North Korea’s misguided pursuit of nuclear weapons also has a domestic price tag, and ordinary North Koreans are paying for it. The North Korean regime is ignoring their humanitarian plight and tramping down on their human rights. Indeed, the UN Commission of Inquiry’s report on North Korea’s human rights violations highlighted this very point.

So, North Korea’s ever advancing nuclear weapons and missile programs are an extraordinary threat which requires an extraordinary response. That’s why yesterday, my government made the difficult decision to completely shut down the Gaesong Industrial Complex. Now, I believe that it is time for the international community to show zero tolerance to North Korea’s unbridled provocations. Now is the time to put unbearable pain on Pyongyang so it will make the right strategic choice, as Iran has already done. Our NATO partners can play a pivotal role in that regard.

Ladies and gentlemen,

NATO has grown into more than a trans-Atlantic alliance; it is an essential contributor to international peace and security. The crucial role it plays reminds me of the words of Willy Brandt, quote, “peace, like freedom, is no original state which existed from the start; we shall have to make it, in the truest sense of the world,” unquote. His words are in line with our vision: to ease geopolitical tensions in Northeast Asia and achieve Korean unification, and thereby contribute to the peace and prosperity of Asia, Eurasia and beyond.

So, in this increasingly complex and uncertain international security landscape, I truly hope that Korea and NATO will work together to forge a sustainable partnership for the good of humankind. Thank you.
/끝/

------------------<비공식 번역>------------------

독일-대서양협회 토론회 외교장관 기조연설

후버 주장관님,
샤리오트 대사님,
이싱어 대사님,
내외 귀빈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따뜻한 환대와 소개에 감사드립니다. 명망 있는 독일-대서양협회에서 연설하게 된 것을 매우 영광스럽게 생각합니다. 저는 작년 11월 룩셈부르크에서 개최된 ASEM 외교장관회의에서 노벨문학상을 수상한 러디어드 키플링의 “동양은 동양, 서양은 서양, 둘은 결코 만날 수 없으리라(East is East, West is West, and never the two shall meet)”라는 유명한 구절을 인용한 바 있습니다. 자연히 저는 지난 한세기 동안 유럽과 아시아간 관계에 있어 상전벽해(桑田碧海)와도 같은 변화에 대해 언급하였습니다. 우리는 지금 동양과 서양, 아시아와 유럽이 단지 만날 뿐 아니라 모든 면에서 같은 배를 타고 있는 세상에 살고 있습니다.

그런 점에서 작년 제가 가장 많이 방문한 출장지가 아시아나 미주 대륙이 아닌 유럽이었다는 사실도 놀라운 일이 아닙니다. 작년에 제가 유럽을 10회 이상 방문했는데 금번 뮌헨 방문이 올해에도 좋은 관계의 시작을 말해준다고 생각합니다. 한국은 EU의 전략적 동반자이자 NATO의 글로벌 파트너입니다. 한국과 유럽은 정치·안보·경제·문화 등 제반 분야 전반에 걸쳐 견실한 협력을 유지해 나가고 있습니다. 실제 한국은 EU와 기본협정, FTA, 그리고 공동 위기관리활동협정 등 3대 주요협정을 체결하고 있는 세계에서 유일한 국가입니다.

아울러, 우리 정부는 아시아와 유럽 간 연계성 강화를 위한 노력을 경주하고 있습니다. 그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우리 정부는 두 대륙을 물리적, 디지털·문화 측면에서 연결시키는 유라시아 이니셔티브를 적극 추진해 오고 있습니다.

이처럼 다양한 방법으로 한국과 유럽은 최적의 파트너(natural partners)가 되고 있습니다. 한국과 유럽의 파트너십은 우리의 공통 가치, 전쟁의 상흔을 딛고 일어선 역사적 경험 공유 뿐만 아니라, 우리 지역과 국제사회의 평화와 안보 증진을 위해 진화해 나가는 각각의 안보 구조에 기반하고 있습니다.

NATO는 70여년 가까이 유럽에서 평화와 안보를 지켜왔고, 유럽의 번영을 수호해 왔습니다. NATO는 역사상 가장 성공적인 집단방위 사례입니다. 이는 어떻게 가능했을까요? 스톨텐베르크 NATO 사무총장이 최근 언급한 바와 같이 저는 NATO의 가장 큰 강점 중 하나는 적응능력(ability to adapt)이라고 생각합니다.

지구촌이 냉전으로부터 탈냉전의 세계화 시대로 전환됨에 따라 NATO의 무대 역시 유럽에서부터 리비아, 아프가니스탄 등 다른 지역들로 확장되어 왔습니다. NATO가 다루는 의제도 이제 전통적 안보 이슈뿐만 아니라 WMD, 테러리즘, 사이버 안보 그리고 해적퇴치와 같은 비전통적 안보 이슈로 확대되었습니다. NATO는 대서양 양안을 아우르는 지역 안보 기구라는 전통적 역할을 넘어 글로벌 차원의 안보제공자로서 자리매김 하였습니다.

이와 같이 확대된 역할은 우크라이나와 시리아와 같은 지정학적 요소들과 테러리즘과 폭력적 극단주의에서 부터 난민 위기에 이르는 초국가적 아젠다들이 특정 지역에 국한될 수가 없는 현실에 잘 부합한다고 하겠습니다.

지구촌 다른 지역에서 발생하는 사안들의 영향으로부터 아시아와 한국도 예외가 될 수 없습니다. 유럽으로의 난민 유입이 헤드라인을 장식해 왔습니다만, 한국에서도 1,000여명이 넘는 시리아인들이 난민지위 신청을 했다는 사실에 놀라실 겁니다. 또한 지난달 자카르타에서 발생한 ISIL 연계세력에 의한 테러 공격은 테러와 폭력적 극단주의의 위협으로부터 그 어느 곳도 안전할 수 없다는 것을 잘 보여 주었습니다.

위기와 분쟁들은 그 어느 때 보다 국경과 경계를 초월하여 발생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처럼 복잡하고 상호연계된 안보 환경은 실제 NATO와 한국이 다양한 방식으로 협력할 수 있는 공간을 더욱 크게 열어주고 있다고 봅니다. 다시 말해, 결국 유라시아 대륙에 함께 살고 있는 우리는 동쪽과 서쪽 끝에서 연결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측면에서 우리가 어떻게 협력할 수 있을지 보다 자세히 말씀드리겠습니다.

첫째, NATO가 전후 유럽의 평화와 안보에 기여해온 것처럼, 한미동맹은 동아시아 평화와 안보에 중추적인 역할을 해왔습니다. 한미동맹은 아태지역 평화와 안정의 핵심축입니다.

또한, NATO는 독일의 통일과정에서도 안보의 방벽으로서 기능하였습니다. 독일통일이 유럽의 더 큰 평화와 번영을 가져오는데 중요한 역할을 했듯이, 한국도 한반도 통일을 통해 동북아를 넘어 전세계의 평화와 번영에 더 크게 기여코자 하는 비전을 가지고 있습니다.

둘째, 한국과 NATO는 민주주의, 인권, 법치라는 핵심가치를 공유하는 파트너입니다. 이는 우리가 글로벌 파트너로서 이 시대의 도전들을 해결하는데 튼튼한 협력의 기반을 공유하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한국은 이미 아프가니스탄에서 NATO 주도의 국제안보지원군(ISAF)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2010-14년간 아프간 지방재건팀(PRT)을 운영했습니다. 지난 5년간 우리는 아프가니스탄의 안보와 사회·경제적 개발을 지원하기 위해 5억불을 지원해 왔습니다. 또한, 한국과 NATO는 소말리아 반도의 해적 퇴치에서부터 테러리즘과 폭력적 극단주의 대응, 그리고 사이버 안보 증진에 이르기까지 다른 다양한 지역과 이슈에 있어서도 협력을 계속해 오고 있습니다.

셋째, NATO는 동북아 신뢰구축을 위한 한국의 노력에 있어서도 변함없는 믿음직한 파트너가 되어 왔습니다. NATO의 “협력안보”개념은 동북아평화협력구상에 좋은 영감의 원천이 되었습니다. 아시아에는 점증하는 경제적 상호의존성 속에서도 정치·안보적 협력의 결핍이라는 부조화가 존재합니다. 이것이 소위 우리가 “아시아 패러독스(Asia paradox)”라고 부르는 것으로, 이는 오늘 이 자리에 함께 하신 Chipman 박사께서 언급한 바 있는“전략적 불안(strategic unease)”과도 일맥상통합니다.

동북아평화협력구상은 아시아 패러독스 극복을 위한 우리의 노력의 일환입니다. 한국은 동 이니셔티브를 통해 동북아의 신뢰를 배양하고 제도적 결핍을 해소하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NATO의 협력안보와 같이 우리는 역내뿐만 아니라 NATO, EU, ASEAN 등 역외 파트너들에게도 적극적으로 다가가고 있습니다.

내외 귀빈 여러분,

현재 동북아는 여러분이 잘 아시는 바와 같이 다시 헤드라인을 장식하고 있습니다. 저는 한반도와 동북아의 평화와 안보에 가장 심각한 위협이라고 할 수 있는 북한의 핵무기와 미사일 프로그램에 대한 저의 의견을 나누고자 합니다.

지난달 국제사회는 서로 극명하게 대조되는 두 사건을 목격하였습니다. 북한은 1월 6일 국제사회의 거듭된 경고에도 불구하고 4차 핵실험을 감행하였습니다. 그로부터 불과 열흘 후인 1월 16일 EU 3+3(영국, 프랑스, 독일과 미국, 중국, 러시아)와 이란 간 합의에 따라 對이란 국제 제재가 해제되었습니다. 불과 10일 상간으로 벌어진 이 두 가지 사건들이 10년이 흐르면 이란과 북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게 될까요?
오늘 여기 모인 우리 모두는 엄청난 차이를 충분히 짐작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국제사회는 북한의 핵실험에 대해 한 목소리로 규탄했습니다. 그러나 북한은 핵실험 불과 한달만에 위성을 가장한 장거리 미사일 발사를 통해 우리 모두를 보란 듯이 무시하고 우롱했습니다. 북한은 이어 핵무기를 실제 사용할 의사가 있음을 드러냈습니다. 김정은은 최근 핵 타격 역량을 갖추기 위해 핵 전력의 질을 증강시킬 것이라고 언급하였습니다. 이와 같이 거듭된 도발과 유엔 안보리 권위에 대한 지속적인 도전은 유엔 회원국이라는 자격마저도 의심케 합니다.

지금 이 순간 뉴욕에서는 유엔 안보리 이사국들이 북한에 대한 강력하고 포괄적인 제재를 부과하는 새로운 결의를 논의하고 있습니다. 저는 어제 뉴욕에서 이 문제에 관해서 유엔 안보리 이사국 및 유엔사무총장과 협의를 가졌습니다. 저의 메세지는 분명했습니다. 북한의 핵무기와 미사일 프로그램은 우리 모두에게 분명하고 현존하는 위협이며 그 누구도 그 파괴적 영향력으로 부터 자유로울 수 없습니다. 유엔 안보리는 국제 평화와 안보를 지키는 일차적 책임이 있는 기관으로서 강력하고 효율적인 제재를 가해야만 합니다. 저는 유엔을 방문하는 동안, 북한이 앞으로 5차, 6차 핵실험을 감행하지 않도록 이번이 ‘마지막 결의’가 되어야 한다고 강조하였습니다.

안보리에 더해, 개별 국가들과 국제기구들도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고 믿습니다. 그래서 제가 NATO와 유럽 파트너들과 만나 공동의 대응 방안을 강구하고자 이곳을 방문한 것입니다. 또한 우리가 이러한 도전에 함께 맞서야 하기 때문입니다.

첫째, 북한은 유례없는 상습 위반자로서 4차례 핵 실험과 6차례 장거리 미사일 발사를 감행했습니다. 북한은 핵무기와 미사일 프로그램을 위해 기만과 유엔 안보리 결의 불이행을 일삼고 있습니다. 저는 이토록 유엔 결의를 거듭, 지속적으로 무시한 다른 국가를 본 적이 없습니다. 만약 우리가 북한의 거듭된 핵실험과 ICBM, SLBM 등을 통한 핵무기와 미사일 능력 고도화를 방치한다면, 전세계가 북한의 핵 공갈의 희생양이 될지도 모릅니다.

둘째, 북한의 핵무기 프로그램은 현재 글로벌 핵 비확산 체제에 대한 가장 큰 도전입니다. 북한은 노골적으로 유엔 안보리 결의를 위반하며 21세기 들어 핵실험을 한 유일한 국가입니다. 이러한 북한의 행태는 WMD 비확산이라는 NATO의 가치에도 위배되는 것입니다.

셋째, 테러리즘과 폭력적 극단주의가 부상하는 가운데, 북한과 같이 예측불가능한 정권에 의한 핵무기 개발은 핵 테러리즘이라는 악몽과 같은 시나리오를 현실로 만들 수도 있습니다.

끝으로, 북한의 잘못된 핵무기 추구로 인한 대가를 북한의 일반 주민들이 치르고 있다는 점을 잊어서는 안됩니다. 북한 정권은 주민들의 인도주의적 상황을 도외시하고 그들의 인권을 짓밟고 있습니다. 유엔 북한인권조사위원회(COI)의 북한 인권 상황에 대한 보고서는 바로 이러한 점을 지적하고 있습니다.

갈수록 진화하는 북한의 핵무기와 미사일 프로그램은 특단의 대응을 요구하는 엄중한 위협입니다. 따라서 어제 우리 정부는 개성공단 전면 중단이라는 어려운 결단을 내렸습니다. 이제는 국제사회가 북한의 억제되지 않은 도발에 대해 무관용의 자세(zero tolerance)를 보여줘야 할 때라고 생각합니다. 지금은 이란과 마찬가지로 북한이 올바른 전략적 선택을 하도록 북한에 견디기 어려운 고통을 주어야할 때입니다. 이 점에서 우리 NATO 파트너 여러분들은 핵심적인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내외 귀빈 여러분,

NATO는 대서양 양안 간 동맹을 넘어 세계 평화와 안정에 필수적인 기여자로 발전하여 왔습니다. NATO가 수행하는 중대한 역할은“평화는 자유와 마찬가지로 애초에 존재하는 상황이 아니며 우리가 진정으로 노력하여 이를 달성해야 한다(peace, like freedom, is no original state which existed from the start; we shall have to make it, in the truest sense of the world)”라는 빌리 브란트(Willy Brandt) 前 서독 총리의 발언을 상기시켜 줍니다. 그의 말은 동북아의 지정학적 긴장을 완화하고 한반도 통일을 달성함으로써 아시아와 유라시아를 넘어 전세계의 평화와 번영을 위해 기여코자 하는 우리의 비전과도 궤를 같이 합니다.

이처럼 갈수록 복잡해지고 불확실성이 커져 가는 국제안보 환경 속에서 한국과 NATO가 인류의 이익을 위해 지속가능한 파트너십을 함께 쌓아 나가기를 진심으로 기원합니다. 감사합니다.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