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연설문

동북아평화협력구상 포럼 만찬사

작성일
2015-10-27 22:33:01
조회수
7907

동북아평화협력구상 포럼 만찬사

Dinner Remarks
by H.E. Yun Byung-se
Minister of Foreign Affairs

2015 NAPCI Forum
October 27, 2015

Chairman Park Joon-woo,
Distinguished delegates,
Members of the diplomatic corps,
Ladies and gentlemen,

Good evening. It’s great to have you all here again. I recognize many old friends, and many new faces too. It’s been exactly one year to the day that we met for the inaugural NAPCI Forum. I was encouraged by all the positive feedback after that meeting. Since that was the first one ever, I tried to put the case for NAPCI, what it’s all about, and why it’s a good thing.

In the video clip, we’ve just seen how the redwoods not only survive, but flourish together in a harsh environment. It takes time for the redwoods to become those giant, towering trees, just like it takes time to build up trust. Obviously, this would also apply to building up trust through NAPCI.

And looking back over the past year, I really think we’ve managed to do a lot of work together on NAPCI. Yes, it’s true that we have not witnessed major changes in the geopolitical situation in this part of the world.

However, I think that events over past year speak for themselves. Traditional bilateral relationships are the most important factor, but they in themselves are not enough. They are a necessary, but not sufficient condition, so to speak.

That’s why we need to think outside the box, to keep working on new ways to overcome the region’s challenges, rather than just rely on a conventional toolbox. In a nutshell, that’s what NAPCI is about. We’re trying to use it in conjunction with bilateral, trilateral and multilateral diplomacy, so whatever the challenge, we’ll have a versatile set of tools that are fit for purpose.

So, if we do a quick tour d’horizon, a recap of the past year, we’ve seen a series of movements trying to alleviate regional tensions and more.

At the bilateral level, we’ve seen:
- Between China and Japan, the four point agreement and the rendezvous between the leaders last November;
- Between the U.S. and China, even though they didn’t see eye to eye on some outstanding issues, they still agreed to work together on many projects and issues.
- Even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we managed to cool down tensions after Pyongyang’s provocations this past summer, and were able to get a deal and organize a reunion for long separated families.

Trilaterally, very soon we’ll be hosting a historic Korea-Japan-China summit meeting. This meeting is important in itself as it comes after a hibernation of three and a half years because of the tensions we’ve had in this part of the world. Even more, we hope that this will open the way for improved bilateral ties. Probably, this is why the U.S. and others have welcomed Korea’s role as the chair in reconvening this summit.

Recently, Dr. Victor Cha of CSIS pointed out the importance of “triplomacy” as an effective tool of cooperation for this region. And given this region’s dynamic challenges, I believe that in addition to the ongoing Korea-U.S.-Japan cooperation, Korea-U.S.-China trilateral talks, as well as other forms of trilateral dialogue can be useful channels going forward.

Now, this brings us to sub-regional cooperation, in other words, to NAPCI, our main topic today.

Let me just walk you through some facts of what we have achieved together through NAPCI over the past year.
- On nuclear safety, we could see that there is a lot of interest and attention on this issue at the TRM+ meeting held in Seoul last week. The TRM process is moving ahead on specific projects, and we’ve proposed a regional consultative mechanism on nuclear safety.
- On disaster management, yesterday’s earthquake in Afghanistan as well as Indonesia’s huge forest fires earlier this year show that disasters can strike anywhere, anytime, and NAPCI countries had a meeting on this topic in Japan early this year.
- On health security, NAPCI countries met together at the Global Health Security Agenda meeting in Seoul last month. The MERS outbreak has just shown that the potential for regional collaboration on this issue is there, and for us, this includes working with North Korea too. We’re already discussing this at the global and East Asian level in the GHSA. So this could also be a topic for the sub-regional level through NAPCI.
- We’re also seeing progress on cyber issues, counter-narcotics, energy security and the environment, but I’ll spare you the details.

Instead, I want to remind you that we have been seeing statements of support for NAPCI from leaders around the world, recently from President Xi Jinping, President Tusk of the European Council and President Obama. And I’m really glad to see how many diverse regional groups, like ASEAN, the OSCE, NATO and more have expressed their support. This is certainly very encouraging.

So, what is the way ahead for NAPCI? I know you’ve had a full day’s discussion, but I want to share my thoughts on the five things we all need to do together.

First, we need to nudge stakeholders to take a more active part. One conspicuous absentee so far is North Korea, which is not yet forthcoming to our invitations. But I think we shouldn’t give up on this, we need to persuade them that NAPCI will benefit them, and that they can take part at their own comfort level, like other countries.

Second, we need to continue creating more success stories. Not just on nuclear safety, disaster management and health security, but in many more fields. NAPCI operates on the notion that every participant is a co-architect and chef. So you can bring in whatever agenda for the benefit of all.

Third, while we are consolidating existing areas of cooperation, we need to start to think about expanding the scope of cooperation. In other words, going beyond functional cooperation on soft security issues. To give you one example, search and rescue operations could be translated into confidence building in security areas. Last year when a Korean fishing vessel sank in the Bering Sea, it was American and Russian naval vessels that came to the rescue and worked together.

Fourth, we need to keep reaching out to the EU, the OSCE, ASEAN and the UN, and learn from their lessons. Their experiences are a good source of inspiration for NAPCI.

Fifth, we need to think about working not just bottom up, but also top down. This year only, I’ve met Secretary Kerry six times, Minister Kishida four times, Minister Wang Yi three times and Minister Lavrov twice – so maybe the time is coming for all of us to meet within the context of the Northeast Asian region?

Ladies and gentlemen,

Connectivity and integration are the big trends in the wider region. ASEAN will launch its Economic Community soon. ASEAN+3 is now considering the recommendations of the East Asia Vision Group to set up the East Asia community. Northeast Asia should not, and cannot remain the missing link.

NAPCI is a useful tool in encouraging cooperation in this part of the world, for the sake of peace and prosperity. After all, this is about ensuring human dignity and a better life for all. And I say, moving up NAPCI is all for the better.

For Korea’s part, this will benefit the cause of peace on the peninsula. Globally, this will reinforce renewed multilateralism as well.

Winston Churchill said, and I quote, “a pessimist sees the difficulty in every opportunity, an optimist sees the opportunity in every difficulty,” unquote.

So, let’s keep up our hope and optimism. And together, let’s move toward a new order of peace and prosperity in this part of the world. Thank you. /끝/


-----------------------------(비공식 국문 번역)-----------------------------

 

동북아평화협력구상 포럼 만찬사


박준우 이사장님,
대표단 여러분,
주한 외교사절단,
그리고 내외 귀빈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여러분들을 다시 만나게 되어 반갑습니다. 낯익은 얼굴들도 보이고 처음 뵙는 분들도 계십니다. 제1차 동북아평화협력포럼이 열린지 정확히 1년이 되었습니다. 포럼이 개최된 후 많은 분들로부터 긍정적인 피드백을 받아 기뻤습니다. 작년이 최초 포럼이었던 만큼, 그때는 동평구가 무엇이며, 어떤 점에서 필요한지를 설명하고자 하였습니다.

방금 보신 영상에서 레드우드(redwoods)가 척박한 환경 속에서 살아남는 것 뿐만 아니라 함께 번성해 나가는 것을 보셨습니다. 레드우드가 거대한 나무로 성장하기까지 시간이 걸리는 것처럼 신뢰를 쌓는데도 시간이 필요합니다. 동북아평화협력구상을 통해 신뢰를 쌓는 것도 마찬가지일 것입니다.

지난 일 년을 돌아볼 때, 우리는 동북아평화협력구상에 있어 많은 일들을 해 왔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동북아 역내 지정학적 환경에는 큰 변화가 없었던 것이 사실입니다. 하지만 지난 일 년 동안의 일들은 그 자체로 우리에게 많은 것을 설명해 준다고 하겠습니다. 전통적 양자관계가 가장 중요한 요소입니다만, 그 자체로는 충분치 않습니다. 전통적 양자관계는 필요조건이지 충분조건이 아니라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동북아가 직면한 도전들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전통적 도구에만 의존하기 보다는 기존 사고의 틀에서 벗어나 항상 창의적인 방법을 강구해야만 합니다. 요컨대, 이것이 동북아평화협력구상이 지향하는 바입니다. 우리는 동 구상을 양자, 삼자, 다자외교와 연계하여 활용함으로써, 어떤 도전이든지간에 목적에 맞도록 사용할 수 있는 다목적 도구를 갖추고자 합니다.

여기서, 작년 포럼 개최후 1년을 빠르게 되짚어보면, 역내 긴장을 완화하거나 그와 관련된 일련의 움직임들을 보아왔습니다.

양자 차원에서는,
- 중·일간에는 작년 11월 4개항 합의와 양국 정상간 만남이 있었습니다.
- 미·중간에는 일부 현안에 대해서는 의견이 일치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다수 협력사업 등을 공동 추진하기로 했습니다.
- 남북간에도 금년 여름 북한의 도발에 따른 긴장을 남북 합의로 완화시키고 이산가족 상봉을 성사시켰습니다.

삼자 차원에서는, 곧 한일중 3국 정상회의가 개최됩니다. 금번 정상회의는 그간 역내 긴장로 인해 3년 반 만에 열리게 되었다는 점만으로도 중요합니다. 더 나아가 우리는 이번 회의가 양자 관계 개선으로 나아가는 새로운 길을 열어줄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미국 및 여타국가들이 3국 정상회의 개최 관련 의장국인 한국의 역할을 높이 평가하는 것은 아마도 이러한 이유 때문인 것으로 봅니다.

최근 CSIS의 빅터 차 박사는 동북아 협력을 위한 효과적인 수단으로서 삼자외교(triplomacy)의 중요성을 지적한 바 있습니다. 동북아 지역의 역동적 상황을 감안할 때, 기존의 한미일 협력 외에 한미중 및 여타 형태의 3자 대화도 향후 유용한 채널이 될 수 있다고 봅니다.

이제 소지역 차원의 협력, 즉 오늘의 주제인 동북아평화협력구상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지난 한 해 동북아평화협력구상을 통해 얻은 성과들을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 원자력안전 관련, 지난 주 서울에서 개최된 TRM+회의에서 이 주제에 대한 역내국가들의 높은 관심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TRM 프로세스를 통하여 구체적인 협력 사업들이 추진되고 있으며, 한국은 동북아원자력안전협의체의 설립을 제안한 바 있습니다.
- 재난관리 관련, 어제 아프가니스탄에서 발생한 지진과 올해 인도네시아의 대형 산불에서 볼 수 있듯이, 재난은 언제 어디서나 발생할 수 있습니다. 동 구상 파트너들은 이 주제에 대해 금년 상반기 일본에서 회의를 가졌습니다.
- 보건안보 관련, 서울에서 열린 글로벌보건안보구상(GHSA) 고위급회의 계기에 동북아 국가들이 별도로 모였습니다. 최근 메르스 사태가 보여주듯, 보건안보 는 남북간 협력을 포함한 역내 협력의 잠재력이 큰 분야입니다. 글로벌 및 동아시아 차원에서는 이미 글로벌보건안보구상을 통해 협력 방안이 논의되고 있는 만큼 동북아 소지역 차원에서도 동북아평화협력구상을 통해 논의될 수 있는 주제라고 생각합니다.
- 이밖에 사이버, 마약, 에너지안보 및 환경 등의 분야에서도 진전이 있습니다만 이 자리에서 자세한 내용은 생략토록 하겠습니다.

그 대신 최근 시진핑 주석, 투스크 EU 상임의장, 오바마 대통령 등을 포함한 세계 지도자들이 동북아평화협력구상에 대한 지지를 표명해오고 있음을 상기시켜 드리고자 합니다. 아울러, ASEAN, OSCE, NATO 등 다양한 국제‧지역기구들도 동 구상을 지지해 주고 있습니다. 이는 분명 매우 고무적인 현상입니다.

그렇다면, 앞으로 동북아평화협력구상이 나아갈 방향은 무엇일까요? 여러분들이 오늘 이 문제에 대해 충분히 논의하셨습니다만, 우리 모두가 함께 협력해야 할 다섯 가지 사항에 대해 제 생각을 나누어 보고자 합니다.

첫째, 모든 이해관계자들의 더욱 적극적인 참여를 견인해야 합니다. 가장 두드러진 것은 북한으로서 아직까지 우리의 초청에 응하지 않고 있습니다. 그러나, 우리는 포기해서는 안됩니다. 우리는 동북아평화협력구상이 북한에 혜택을 가져다 줄 것이며, 북한도 다른 국가들처럼 자신에게 편안한 수준에서 동 구상에 참여할 수 있다고 설득해야 합니다.

둘째, 원자력 안전, 재난관리, 보건안보 뿐만 아니라 다른 많은 분야에서 더 많은 성공 사례를 계속 만들어야 합니다. 동북아평화협력구상은 모든 참여국이 공동설계자이자 요리사라는 개념에 기반하여 운영됩니다. 따라서 어느 국가든 모두의 이익을 위해 그 어떤 의제도 상정할 수 있습니다.

셋째, 기존 분야에서의 협력을 공고히 하는 한편, 협력의 외연 확장에 대한 고민을 시작해야 합니다. 즉, 연성안보 이슈에서의 기능협력을 넘어서는 문제입니다. 예컨대, 수색구조 활동은 안보 분야에서의 신뢰 구축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작년 베링 해에서 한국 선박이 침몰하였을 때, 미국과 러시아 해군 함정들이 함께 구조 활동을 전개한 바 있습니다.

넷째, EU, OSCE, ASEAN 및 UN과 계속 접촉하며, 그들의 교훈을 배워야 합니다. 그들의 경험은 동북아평화협력구상에 좋은 영감을 주고 있습니다.

다섯째, 상향식(bottom-up)만이 아닌, 하향식(top-down) 접근법도 함께 추구해야 합니다. 올 한해 동안만 저는 케리 美 국무장관과는 여섯 차례, 기시다 일본 외상과는 네 차례, 왕이 중국 외교부장과는 세 차례, 그리고 라브로프 러시아 외교장관과는 두 차례의 만남을 가졌습니다. 이제는 우리 모두가 동북아의 틀 안에서 함께 만날 때가 다가오는 것은 아닌가 싶기도 합니다.

내외 귀빈 여러분,

연계성(connectivity)과 통합(integration)은 전세계적 추세입니다. ASEAN은 곧 경제공동체를 출범시킬 예정입니다. ASEAN+3은 동아시아 비전그룹(EAVG)이 제시한 동아시아 공동체 설립 권고를 검토하고 있습니다. 동북아시아는 이러한 추세에 단절고리(missing link)로 남아있어서는 안되며, 그럴 수도 없습니다.

동북아평화협력구상은 역내 평화와 번영을 위해 협력을 촉진하는 유용한 도구입니다. 결국 동 구상은 모든 이들에게 인간존엄과 더 나은 삶을 보장하기 위한 것입니다. 저는 동 구상을 진전시켜 나가는 것은 이러한 목적에 부합하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한국에게 동북아평화협력구상은 한반도의 평화에 기여할 것입니다. 전세계적으로는 새로운 다자주의(renewed multilateralsim)를 강화시킬 것입니다.

윈스턴 처칠은 “비관론자는 모든 기회에서 어려움을 찾아내고, 낙관론자는 모든 어려움에서 기회를 찾아낸다”고 했습니다.

희망과 긍정의 힘을 계속 이어갑시다. 그리고, 다함께 동북아의 평화와 번영의 새로운 질서를 향해 전진합시다. 감사합니다.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