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연설문

GLACIER 회의 발언문

작성일
2015-09-01 16:58:06
조회수
6250

Remarks
by H.E. Yun Byung-se
Minister of Foreign Affairs

GLACIER Conference
Anchorage, August 31, 2015

Thank you, Mr. Chair,
Secretary Kerry,
Fellow Ministers,
Ladies and gentlemen,

Today, we have gathered in Anchorage, a place not at the ends of the earth, but at the front line of global climate change. Last year, Secretary Kerry memorably described climate change as the “world’s most fearsome WMD.” I fully agree, and would say that the problem now is climate change is no longer like “WMD in slow motion.” That’s why I am here today, the first Korean Foreign Minister to attend a conference on the Arctic.

I thank Secretary Kerry for convening this important conference and Minister Brende for chairing this session.

Let me start with the topic of Dr. Brigham-Grette’s presentation, “Global connections to changes in the Arctic.” As inscribed in the Anchorage Museum, where we met yesterday, (quote) “To many, Alaska may seem in the middle of nowhere, but in reality, it is in the middle of everywhere” (unquote).

Coming from Korea, I would like to highlight linkages between climate change in the Arctic and severe winter weather patterns in mid-latitude regions. Today, Korean scientists have released a very important study showing that “severe winters across East Asia are associated with anomalous warmth in the Barents-Kara Sea region, whereas severe winters over North America are related to anomalous warmth in the East Siberian-Chukchi (축치) Sea region.”

This is why non-Arctic countries also have an interest in understanding this region’s changes. In the case of Korea, the “Dasan" research station in Ny-Alesund(니알슨), Norway, the observation nodes for circum-Arctic permafrost and the research icebreaker “Araon” are serving as bases for Korean scientists.

Just a few moments ago, we heard Dr. Bodin’s presentation on the unique features of black carbon and methane affecting the climate abnormalities in the Arctic. In this regard, although Korea is an observer state, we are currently preparing a national report for submission to the Arctic Council.

Next, this conference is being held in the run-up to the COP21 as Secretary Kerry mentioned at the outset. As such, it should give momentum to the success of that historic conference. That is why President Obama will be here later today.

In my view, for the COP21’s success, two points are especially salient. First is galvanizing the international community’s political resolve. In this regard, the recent pledges of cooperation between the U.S. and China on climate change are fine examples. I hope that G20 countries which have yet to submit their targets will take prompt action.

Second is supporting developing countries to combat climate change. The fact that Korea is hosting the Green Climate Fund and the Global Green Growth Institute shows my government’s strong resolve to tackle the challenges of climate change with funding and technical assistance, respectively.

I would like to touch on striking a balance between people and the environment, like Senator Murkowski emphasized yesterday. I believe that responding to challenges while also seizing new opportunities is doable.

My government, for the first time ever, has designated the Arctic as a major policy area, with the vision of a “sustainable future for the Arctic.” The Arctic is also an important component of my government’s Eurasia Initiative, a strategy to enhance connectivity by linking the Korean peninsula, Northeast Asia and Eurasia through railways, roads, and sea routes.

In particular, the opening of the Arctic Sea will inevitably generate both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Recently, Korea, the U.S. and Russia cooperated in a search and rescue operation in extreme conditions for a Korean vessel near the Arctic Ocean. Such cooperation for crisis management will continue to grow in importance.

Ladies and gentlemen,

For Korea, the acceptance to the Arctic Council as an observer was an important turning point. Korea is committed to working closely with the Arctic Council in preserving the Arctic’s pristine environment and securing its sustainable development.

In this vein, I am pleased to support the “Joint Statement on Climate Change and the Arctic.” My sincere hope is that the spirit of collaboration and cooperation we have witnessed here at the GLACIER Conference will also prevail in Paris in December. Thank you. /끝/

---------------------------------<비공식 국문번역>---------------------------------

Kerry 국무장관님,
Brende 장관님,
동료 장관님,
내외 귀빈 여러분,

오늘 우리는 지구의 끝이 아니라 전세계 기후변화의 최전선인 이곳 앵커리지에 모였습니다. 지난 해 Kerry 장관께서는 기후변화야말로“세상에서 가장 무서운 대량살상무기”라는 인상적인 말씀을 남기신 바 있습니다. 저는 이에 전적으로 공감하면서, 또한 이제 기후변화는 더 이상 “느리게 작동하는 대량살상무기”가 아니라고 얘기하고 싶습니다. 바로 이런 연유로 저는 오늘 한국 외교장관으로는 처음으로 북극 관련 회의에 참석하게 되었습니다.

이처럼 중요한 회의를 개최해 주신 Kerry 장관에게 사의를 표하며, 이번 세션을 주재하고 계신 Brende 장관께도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먼저 Brigham-Grette 박사께서 발표해 주신 “북극의 변화와 전세계적 연관성”이라는 주제에 관해 말씀드리고자 합니다. 어제 우리가 만났던 앵커리지 박물관에 적혀있던 어구와 같이, “알래스카는 몇몇 사람들에겐 멀리 외떨어진 장소에 불과할지 모르지만, 실상은 모든 곳의 중심”입니다.

한국에서 온 저로서는 북극의 기후변화와 중위도 지역에서의 동절기 혹한 현상간의 연관성에 주목하고자 합니다. 바로 오늘 한국 과학자들은 “동아시아의 동절기 한파는 바렌츠-카라海 지역의 이상 온난현상과 관련이 있으며, 북미의 혹독한 겨울은 동시베리아-축치海 지역의 이상 온난화와 관련이 있다”는 매우 중요한 연구결과를 발표하였습니다.

이것이 바로 非북극권 국가들 역시 북극지역의 변화를 이해하는데 관심을 갖고 있는 이유입니다. 한국의 경우, 니알슨에 위치한 “다산과학기지,” 환북극권 영구동토층 관측 거점들과 쇄빙연구선 “아라온號”를 기반으로 북극에 대한 과학적 연구를 해 왔습니다.

좀 전에 우리는 Bodin 박사의 발표를 통해 블랙카본과 메탄이 북극의 이상기후에 미치는 독특한 영향에 대해 들었습니다. 이와 관련하여, 옵서버 국가인 한국도 북극이사회에 블랙카본과 메탄에 관한 국가보고서를 제출할 수 있도록 준비하고 있습니다.

다음으로, 이번 회의는 서두에서 Kerry 장관이 말씀하신 것처럼 파리 기후변화당사국총회(COP21)를 앞두고 개최되었습니다. 그런 만큼, 금번 회의는 역사적인 COP21 회의의 성공을 위한 모멘텀을 제공해야 합니다. 오바마 대통령께서 오늘 오후에 이 회의에 참석하는 것도 그런 이유 때문입니다.

저는 COP21의 성공을 위해서 두 가지 측면이 특히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첫째는 국제 사회의 정치적 의지를 결집하는 것입니다. 이런 점에서 최근 미중간 기후변화에 관한 협력선언들은 좋은 모범 사례입니다. 아직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제출하지 않은 G20 국가들의 조속한 행동을 기대합니다.

둘째는 개발도상국들의 기후변화 대응 지원입니다. 한국이 녹색기후기금(GCF)과 글로벌녹색성장기구(GGGI)를 유치하고 있다는 점은 재원과 기술지원 등을 통해 기후변화의 도전을 해결하기 위한 한국정부의 강력한 의지를 대변합니다.

저는 어제 Murkowski (알래스카) 상원의원이 강조했던 바와 같이 인간과 환경 사이의 균형에 대해 언급하고자 합니다. 저는 도전에 대응하면서도 새로운 기회를 잡는 것이 가능하다고 생각합니다.

우리 정부는 역사상 처음으로 “지속가능한 북극의 미래”라는 비전하에 북극을 주요 정책영역으로 선정하였습니다. 북극은 또한 철도, 도로, 해상로를 통해 한반도, 동북아, 그리고 유라시아를 연결함으로써 그 연계성을 증진시키고자 하는 전략인 유라시아 이니셔티브에 있어서도 중요한 요소입니다.

특히, 북극해의 개방은 필연적으로 기회와 도전을 모두 가져다 줄 것입니다. 최근 한국은 미국, 러시아와 협력하여 위급한 상황에 처한 북극해 인근의 한국 선박에 대한 수색․구조 활동을 펼친 바 있습니다. 이러한 위기관리 협력은 앞으로 그 중요성이 더욱 커질 것입니다.

내외 귀빈 여러분,

한국의 북극이사회 옵서버 가입은 우리에게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습니다. 한국은 북극이사회와 긴밀히 협력하며 북극의 오염되지 않은 환경을 보전하고 지속가능한 발전을 이루어 나가고자 합니다.

이러한 맥락에서, 저는“기후변화와 북극에 관한 공동성명(Joint Statement on Climate and the Arctic)”을 지지합니다. 이번 GLACIER 회의에서 확인된 조화와 협력의 정신이 12월 파리에서도 계속 이어지길 진심으로 기원합니다. 감사합니다.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