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연설문

2015 아산플레넘 만찬사(4.28)

작성일
2015-04-29 10:00:00
조회수
5238


Dinner Remarks
by H.E. Yun Byung-se
Minister of Foreign Affairs

2015 Asan Plenum
April 28, 2015


Chairman Chung,
Dr. Hahm,
Former Prime Minister Lee,
Distinguished participants,
Ladies and gentlemen,

Yesterday, I came back to Korea after an exhausting but rewarding two-week visit to South America with my President. But seeing so many friends here today, I feel myself being charged up.

It was almost exactly this time last year that I spoke at some length in this Plenum about the “future of history.” In that keynote speech, I pointed out the “return of geopolitics” and how the world order is going through a major transition. So for me, returning to this forum one year later, to discuss whether the “the U.S. is back” feels very timely and relevant.

America’s rebalance to Asia is unfolding in the context of this region’s relentless geo-political and geo-economic transformation.

Over the last year, we have witnessed several new developments in the fields of politics, security and economic cooperation – such as the China-led Asia Infrastructure Investment Bank; the new U.S.-Japan defense guidelines; Russia’s push for engagement with Northeast Asian countries, amid the Ukrainian situation; and North Korea’s acceleration of its nuclear weapons capability and its cozying up to Russia, and recent reports suggested the North Korean leader Kim Jung-un may show up in Moscow. 

And as the latest U.S. Congressional Research Service report points out, history issues could upset regional relations for reasons very well known to you – but with some encouraging signs of reconciliation, such as the Korea-Japan-China Foreign Ministers’ meeting in Seoul, the Korea-Japan leaders’ conversation in Singapore, and the China-Japan leaders’ conversation in Bandung.

Furthermore, more than any time before, regional integration is a hot topic, with the FTAAP (Free Trade Area of the Asia-Pacific), RCEP (Regional Comprehensive Economic Partnership), and especially the TPP (Trans-Pacific Partnership), together with the ASEAN Economic Community to be launched later this year.

This brief juxtaposition of developments may help you realize why I call the current regional environment a complex multi-factor equation. For this reason, solving this intricate bilateral and regional matrix constitutes a key part of our foreign and security policy to achieve our goals of peace and prosperity in the Korean peninsula and Northeast Asia.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this is the role of the U.S. in Asia. Interestingly, the theme of today’s discussions is in the form of a question. There are different perspectives and analyses on this. Some argue that the U.S. actually never left Asia, so there is no return. Others counter that the U.S. was preoccupied with the Middle East and Afghanistan, and couldn’t afford to concentrate on East Asia, at least until a few years ago; that even now it has challenges in the Middle East, as well as the sequestration problem.

But for me, whichever way the argument might go, the bottom line is that the U.S. forward presence has been an integral part of our life in the region. As a matter of fact, U.S. involvement with the region has been adjusted in line with East Asia’s situation and strategic imperatives – for example, starting from the Nixon doctrine of the 1960’s, the East Asia Strategic Initiative and East Asia Strategic Review of the 1990’s, to the recent rebalance to Asia.

From my perspective, it is clear that the U.S. rebalance to Asia is not just a matter of rhetoric. Despite pressing issues such as Ukraine, Syria, ISIL, Israel-Palestine and Iran, the U.S. is showing a renewed commitment to and focus on Asia. President Obama has visited the Asia-Pacific more than any other region. In fact, his most frequent destination has been Korea.

And last February, at a major speech announcing the new National Security Strategy, National Security Advisor Dr. Susan Rice reaffirmed America’s rebalance to the region. And translating words into action, she announced the invitation to four key leaders – Korea, Japan, China and Indonesia – to visit Washington, D.C. this year, a very unusual gesture and commitment. 

This demonstrates that in word and deed, the U.S. – already engaged with the East Asia Summit (EAS), APEC and leading the TPP, is really investing in alliances and partnerships in this part of the world – not to mention its contribution to peace and prosperity over the last few decades.

Yet, in order for the rebalance to Asia to be a real blessing to the region, several factors should be taken on board.

First, the U.S. needs not just to retain but also to reinforce its leadership role as a stabilizer in the face of regional security challenges. The importance of America’s forward presence cannot be overemphasized.

A latest case in point is the U.S. collaborating with Korea and other partners, in deterring North Korea’s fourth nuclear test, as well as major strategic provocations since early last year. Certainly, the firm stance on the UN Security Council sanctions against North Korea, as well as the unity of the five parties on the nuclear issue, is another contributing factor.

Even though the Iranian and North Korean nuclear cases are different in nature, one good lesson we can take from the Iranian nuclear case is that on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 too, the collaboration of the U.S. and others among the five parties has an important role in achieving a negotiated settlement or a modus vivendi.

As you already know, very early this morning the new U.S.-Japan defense guidelines were announced. Like my spokesperson has already stated, it should contribute to the peace and stability of the region by being implemented transparently within the framework of the U.S.-Japan alliance and the exclusively national defense-oriented policy.

As I have emphasized on many previous occasions, bilateral arrangements are only a necessary condition for peace and security unless they are reinforced by regional dialogue mechanisms. In this regard, countries in Northeast Asia can take advantage of the EAS, the ASEAN Regional Forum, and the Northeast Asia Peace and Cooperation Initiative, or NAPCI for short.

Second, is how the rebalance to Asia can be conducive to narrowing down differences and moving to constructive and harmonious ties between and among regional countries, not to magnify or aggravate tensions. I believe that the Plenum’s sub-sessions reflected on these very questions. Indeed, in recent years, there have been some heated discussions on geopolitical rivalries in this region, including at the Davos Forum this past January.

At the center of these lie the relations between the U.S. and China. On the one hand, some in China think that America’s stronger ties with its allies are to contain her. On the other hand, others in the U.S. view the AIIB initiative as an attempt to challenge the U.S.-led post-war global economic order. In short, the suspicions run both ways. The key question is how to turn this into a win-win situation by synergizing all the efforts for peace and prosperity in the region. In the case of Korea’s participation in the AIIB, we carefully weighed up various aspects, including governance, transparency and development needs.

The volatile situation in Ukraine seems to have some ripple effects, including in terms of Russia-North Korea relations. Under its desperate circumstances, North Korea may wish to use the Russia card. So, if Kim Jong-un travels to Moscow in May, I hope he will mingle with international leaders to make the trip a true eye-opener. There is much he could learn from foreign leaders, such as Vietnam, Cuba as well as East European transition countries.

On Korea-Japan relations, the U.S. has also played a constructive role, including a series of trilateral coordination meetings at many levels. Cooperation among Korea, the U.S. and Japan is crucial to deal with the strategic threat posed by North Korea’s nukes. The U.S. takes its alliance with Japan seriously, but as we can see from President Obama’s strong comments on history in Seoul, April last year, the U.S. has been working hard to ease the strains caused by wrangling over historical issues.

In this regard, the eyes of the world are now set on Prime Minister Abe, who is in Washington, D.C. at the moment. There have been strong voices from Korea, the U.S., regional countries and the international community urging him not to miss this year’s golden opportunities to make a clean break with the past as the Germans did. Like they say, only Nixon could go to China. Prime Minister Abe could show that kind of leadership to steer Japan’s future towards the right direction.   

Some of you in the audience may be wondering how the latest regional developments are viewed in Korea – because some in Korea tend to equate a bolstered U.S.-Japan alliance to a somehow diminished Korea-U.S. alliance, or even view it as evidence of Korea being isolated or secluded. Some tend to consider Korea-U.S. ties and Korea-China ties as in conflict with each other. However, I would humbly submit that these kinds of views do not reflect reality. As President Obama remarked in Seoul last year, Korea’s ties with the U.S. and with China are completely compatible. And for us Koreans, an alliance is an alliance, and a strategic partnership is a strategic partnership, and both relationships are valuable to us. In a similar vein, it hardly needs explanation that a robust Korea-U.S. alliance and a sturdy U.S.-Japan alliance can go hand-in-hand. The Korea-U.S. alliance, which is known as in its best state ever, cannot and will not be weakened or marginalized because of the U.S.-Japan alliance. We need to overcome this mentality of zero-sum game.

There are also some views that the latest Japan-China leaders’ dialogue happened over Korea’s head. But the truth is that Korea has always welcomed such dialogue over the past years. As a matter of fact, Korea, as the chair of the Korea-Japan-China trilateral Foreign Ministers’ meeting, spent the better part of last year to resume this meeting despite the respective bilateral tensions. Thanks to our efforts, this meeting offered opportunities for bilateral dialogue in the sidelines between Korea-Japan and Japan-China. More importantly, the three countries agreed to hold the Trilateral Summit at the earliest convenient time. The U.S. welcomed this development among the three neighbors. I am reasonably optimistic that this summit will be held within this year, especially in the wake of the leaders’ meetings in Singapore and in Bandung which I have mentioned. Such a summit would go a long way in reinforcing America’s efforts in the region.

In a similar vein, confidence building measures, either bilateral or trilateral, could ease tensions in the East China Sea as well as the South China Sea and Northeast Asia. Indeed, this is the very reason Korea proposed NAPCI, which is a regional mechanism involving key stakeholders.

Third, the rebalance to Asia needs to be in sync with an open, inclusive regionalism. Regional FTAs, whether the TPP, RCEP, or FTAAP, may start off with limited membership, but then, the doors should be opened for all other qualified regional countries as well.

At last year’s APEC Ministerial meeting, I paraphrased Richard Bach’s “Jonathan Livinston Seagull” to suggest that the Asia-Pacific region should aim higher, faster and broader to boost the regional economic integration. This reinforced my President’s message at the same APEC summit, that when it comes to the region’s FTAs, the various side streams should ultimately converge into a bigger waterway. 

You are reminded that the TPP negotiations were to some extent energized by the successful conclusion of the Korea-U.S. FTA. The TPP, in turn, has galvanized discussions on the Korea-China-Japan FTA.

Ladies and gentlemen,

The U.S. rebalance to Asia is an important part of the foreign and security policy debate.

However, these days Korea has now grown, and is reaching out of the confines of Asia. I already spoke about my President’s visit to South America, completing her tour to Pacific Rim countries. She will be also active in multilateral diplomacy, including the UN General Assembly,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and other global governance issues. All this demonstrates that Korea is actively engaged in global agendas as a responsible global member of the global community.

Of course, this is not an easy task. As I have already mentioned, I sometimes compare Korea’s current diplomacy to a multifactor equation because of its complexity. However, I believe that as Korean diplomacy has overcome many daunting challenges in the last couple of years, it will continue to do so. 

Having said all that, allow me to conclude on the following note. In the longer term, the course of history has been about the progress of human dignity. And time and again, the tides of change and reform have proved to be unstoppable. Only those who stand on the right side of history have prevailed and will do so. Like an American history professor eloquently said recently, “we must look back before we look forward.”

In this regard, today and tomorrow, we have the sharpest minds in foreign and security policy, as well as history, as our friends and companions. I thank Chairman Chung, Dr. Hahm and the Asan Institute for organizing this magnificent event, and sincerely hope it will continue to grow as a major Seoul-based forum with a world-wide reach. Thank you.  

(비공식 국문번역본) 

정몽준 아산재단 이사장님,
함재봉 아산정책연구원장님,
이홍구 前 총리님,
각계 전문가, 그리고 내외귀빈 여러분,

저는 지난 2주간 힘들었지만 보람된 대통령 중남미 순방 수행을 마치고 어제 귀국했습니다. 오늘 이 자리에서 많은 지인들을 만나니 재충전되는 기분입니다.

작년 이맘때 개최되었던 플레넘 행사에서 저는“역사의 미래”에 대해 자세히 이야기한 바 있습니다. 당시 기조연설에서 “지정학의 귀환”과 전환기적 세계질서에 대해 지적했었는데 일 년 후 이 자리에서 “미국의 귀환”을 주제로 다루게 되니 매우 시의적절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미국의 아시아 재균형은 이 지역의 끊임없는 지정학적, 지경학적 전환 속에서 전개되고 있습니다.

지난 한 해 동안, 우리는 정치, 안보, 그리고 경제협력 분야에서 몇 가지 새로운 현상들을 목도했습니다. 중국 주도의 아시아인프라투자은행(AIIB), 미일 방위협력지침 개정, 우크라이나 상황 속에서 동북아 국가들과 관여를 증진시키고자 하는 러시아의 접근, 북한의 핵능력 고도화와 대러 접근, 그리고 북한 지도자 김정은의 모스크바 방문 가능성 관련 최근 보도 등이 그러한 현상들입니다. 

미 의회조사국(CRS) 최근 보고서는 여러분도 잘 아시는 이유로 인해 역사문제가 역내 관계를 어렵게 하고 있음을 지적하고 있습니다. 물론 서울에서의 한일중 외교장관회의, 싱가포르에서의 한일 정상간 조우, 반둥에서의 중일 정상 회동 등 화해를 향한 긍정적인 징후들이 있기는 합니다.

더욱이 아태자유무역지대(FTAAP), 역내 포괄적 경제동반자협정(RCEP),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TPP), 그리고 연말 출범 예정인 아세안경제공동체까지, 그 어느 때보다도 지역 통합이 화제가 되고 있습니다.

이처럼 전개되고 있는 상황들을 간략히 나열한 것만으로도 제가 왜 오늘날 역내 환경을 복합적인 다차원방정식이라고 부르는지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합니다. 이러한 이유에서, 복잡한 양자 및 지역 함수관계를 푸는 것이 한반도와 동북아에서 평화와 번영이라는 목표를 달성코자 하는 우리 외교안보정책의 핵심입니다.

여기서 가장 중요한 것은 아시아에서 미국의 역할입니다. 흥미롭게도 금일 토론의 주제(Is the U.S. Back?)는 의문형으로 되어 있습니다. 이와 관련해서는 다양한 관점과 분석들이 존재합니다. 혹자는 미국이 결코 아시아를 떠난 적이 없으므로 회귀할 것도 없다고 이야기합니다. 다른 이들은 미국은 그간 중동과 아프간 문제에 함몰되어 적어도 몇 년 전까지는 동아시아에 집중할 수가 없었고, 중동 지역의 도전들은 지금도 계속되고 있으며, 예산자동삭감(sequestration) 문제까지 있다고 반박합니다.

저는 어떤 논쟁이 옳든 간에 중요한 것은 미국의 전진배치 전략은 이 지역에서의 우리 삶에 있어 불가분의 부분이었다는 점을 말씀드립니다. 사실 미국의 역내 관여는 1960년대 닉슨 독트린, 1990년대 동아시아 전략 이니셔티브(East Asia Strategic Initiative) 및 동아시아 전략 검토(East Asia Strategic Review)에서 최근 아시아 재균형 정책에 이르기까지 동아시아의 상황과 전략적 필요성에 따라 조정되어 왔습니다.

우리의 관점에서 볼 때 미국의 재균형 정책이 수사에 불과한 것이 아니라는 것은 분명합니다. 우크라이나, 시리아, ISIL, 이-팔 문제, 이란 등과 같은 긴급한 현안들에도 불구하고, 미국은 아시아에 대해 지속적인 공약과 집중적 관심을 보여 왔습니다. Obama 대통령은 다른 어떤 지역보다도 아태지역을 더 많이 방문했습니다. 사실 그중에서도 가장 자주 방문한 나라가 바로 한국입니다.

지난 2월 새로운 국가안보전략을 발표하는 중요한 연설에서 Susan Rice 국가안보보좌관은 미국의 재균형 정책을 재확인했습니다. 또한, 이를 이행하는 차원에서 한국, 일본, 중국, 인도네시아 4개국 정상에 대한 금년 방미 초청을 발표하였습니다. 이는 재균형 정책에 대한 강한 의지를 보여주는 매우 이례적인 조치였습니다.

이러한 노력은 동아시아정상회의(EAS)와 APEC, 그리고 TPP 주도를 통해 이미 아시아에 관여하고 있는 미국이 이 지역의 동맹과 파트너십을 정말로 중시하고 있음을 말과 행동으로 보여주는 것입니다. 물론 미국이 지난 수십년간 역내 평화와 번영에 기여해왔음은 말할 필요도 없을 것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시아 재균형 정책이 이 지역에 진정한 축복이 되기 위해서는 몇 가지 요소들이 충분히 고려되어야 합니다.

첫째, 미국은 역내 안보 도전에 대한 안정자(stabilizer)로서의 리더십을 유지할 뿐만 아니라 보다 강화해야 할 것입니다. 미국의 전진배치 전략(forward presence)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을 것입니다. 

이런 측면에서 가장 최근의 사례는 미국이 작년 초 이후 북한의 4차 핵실험과 주요 전략적 도발을 저지함에 있어 한국 및 여타 파트너들과 공조해 왔다는 점입니다. 안보리 차원의 대북 제재에 대한 확고한 입장과 핵문제 관련 5자간의 단합 역시 중요한 기여를 해왔습니다.

이란핵과 북핵은 다른 문제이지만, 이란핵 사례로부터 얻을 수 있는 훌륭한 교훈은 북핵문제와 관련해서도 한미간 그리고 5자간 공조가 협상을 통한 해결 또는 잠정협정을 도출하는데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는 점입니다. 

잘 아시다시피 (서울 시간) 오늘 이른 아침 새로운 미일 방위협력지침이 발표되었습니다. 외교부 대변인도 이미 논평했듯이 동 지침은 미일 동맹의 틀 내에서, 전수방위 원칙하에 이행됨으로써 지역의 평화와 안전에 기여해야 합니다.

제가 누차 강조하였듯이 양자간 관계는 평화와 안보를 위한 필요조건에 지나지 않기 때문에 역내 다자 대화 메커니즘에 의해 강화될 필요가 있습니다. 이러한 점에서, 동북아 국가들은 EAS, 아세안지역안보포럼(ARF), 그리고 동북아평화협력구상(NAPCI)을 활용할 수 있을 것입니다.

둘째, 아시아 재균형 정책은 역내 국가간 갈등을 확대시키거나 악화시키는 것이 아니라, 이들이 상호 이견을 좁히고 건설적이며 조화로운 관계를 항해 나갈 수 있도록 기여해야 합니다.

저는 이번 플레넘의 세부 세션들이 바로 이러한 질문들을 반영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실제로 지난 1월 다보스 포럼 등에서는 최근 몇 년간 이 지역에서의 지정학적 경쟁관계에 관해 열띤 논의들이 진행된 바 있습니다.

그 중심에는 미중 관계가 있습니다. 중국 일각에서는 미국의 강화된 동맹관계가 중국을 견제하기 위해서라고 보고 있습니다. 다른 한편으로 미국 일각에서는 중국의 AIIB 구상을 미국이 주도해 온 전후 글로벌 경제질서에 도전하기 위한 시도로 보는 시각도 있습니다. 요컨대, 상호간에 의구심이 존재합니다. 중요한 것은 역내 평화와 번영을 위한 모든 노력에서 시너지를 일으킴으로써 이를 윈윈(win-win) 상황으로 전환시키는 것입니다. 한국의 AIIB 참여의 경우, 우리는 거버넌스, 투명성, 개발 소요 등 다양한 측면을 면밀히 고려하여 결정하였습니다.

우크라이나의 불안한 상황은 북러 관계 등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절박한 상황에 있는 북한은 러시아 카드를 사용코자 할 수 있습니다. 만약 김정은이 5월에 모스크바에 간다면, 국제사회의 지도자들과 어울림으로써 이 방문이 진정으로 두 눈을 뜨게 하는 계기가 되기를 바랍니다. 동유럽 체제전환국들은 물론 베트남과 쿠바 정상들과 같은 지도자들부터 배울 점들이 많을 것입니다.

미국은 한일 관계와 관련해서도 다양한 차원에서 한미일 3자협의를 추진하는 등 건설적인 역할을 해왔습니다. 한미일 3국간 협력은 북핵이라는 전략적 위협에 대응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미국은 일본과의 동맹을 중시하지만 작년 4월 서울에서 Obama 대통령의 역사 관련 분명한 언급에서 볼 수 있듯이 미국은 역사문제를 둘러싼 관계 경색을 완화하기 위해 열심히 노력해왔습니다.

이러한 점에서, 세계의 눈이 지금 워싱턴에 있는 아베 총리를 주목하고 있습니다. 한국과 미국, 역내국과 국제사회에서는 아베 총리가 과거 독일이 했던 것처럼, 금년의 절호의 기회를 놓치지 말고 과거를 명확히 청산할 것을 촉구하는 강한 목소리들이 나오고 있습니다. 흔히 사람들이 말하듯이, 닉슨만이 중국에 가는 결단을 내릴 수 있었습니다. 아베 총리도 그와 같은 리더십을 보여 일본을 올바른 방향으로 이끌어 주길 바랍니다.

한국이 최근 역내 환경 변화를 어떻게 바라보고 있는지 궁금해 하시는 분들이 계실 겁니다. 한국 내에서 미일동맹 강화를 한미동맹 약화와 동일시하거나, 심지어 한국이 고립되거나 배척되는 증거로 보는 시각이 있기 때문입니다. 어떤 이들은 한미관계와 한중관계를 제로섬(zero-sum) 관계로 보기도 합니다. 그러나 제 소견으로는 이러한 시각들은 현실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고 봅니다. Obama 대통령이 지난 해 한국 방문 계기에 말씀하셨듯이, 한미관계와 한중관계는 완전히 양립 가능합니다. 그리고 한국인들에게 있어 동맹은 동맹, 전략적 파트너십은 전략적 파트너십이며, 이들 모두 우리에게 중요합니다. 마찬가지로, 강력한 한미동맹과 굳건한 미일동맹이 양립할 수 있다는 점은 설명할 필요도 없을 것입니다. 역대 최상의 상태에 있는 한미동맹은 미일동맹 때문에 약화되거나 주변화될 수 없으며, 그렇게 되지도 않을 것입니다. 우리는 이와 같은 제로섬 게임적 사고방식을 극복해야 합니다.

또한, 최근 일중 정상간 대화가 한국을 배제한 채 진행되었다고 보는 시각도 있습니다. 그러나 사실 그러한 대화는 우리가 지난 수년간 환영해온 일입니다. 실제로, 한국은 한일중 외교장관 회의 의장국으로서 3국간 긴장 관계에도 불구하고 지난해 이래 3국 외교장관회의가 재개되도록 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였습니다. 이러한 노력에 힘입어, 동 회의가 3년만에 최근 개최되어 3국간 양자 대화 기회를 제공하기도 하였고, 그보다 중요한 점은 3국이 가장 빠른 편리한 시기에 한일중 정상회의를 개최키로 합의한 것입니다. 미국은 세 이웃국가간 이러한 진전을 환영하였습니다. 저는 최근 싱가포르와 반둥에서의 지도자들간 회동에 비추어 볼 때 동 정상회의가 금년 내 열릴 수 있다고 어느 정도 낙관하고 있습니다. 3국 정상회의 개최는 미국의 역내 노력을 강화하는 데 있어서도 크게 도움이 될 것입니다.

비슷한 맥락에서 양자간 또는 삼자간 신뢰구축조치는 동중국해와 남중국해는 물론, 동북아에서의 긴장도 완화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것이 바로 한국이 핵심 국가들의 참여를 바탕으로 하는 역내 메커니즘인 동북아평화협력구상을 제안한 이유입니다.

셋째, 아시아 재균형 정책은 개방적이고, 포용적인 지역주의와 보조를 맞추어 진행되어야 합니다. TPP든 RCEP이든 FTAAP든 지역 FTA는 제한된 구성원들로 시작하겠지만 이후에 자격을 갖춘 여타 모든 국가들에게도 문호는 개방되어야 합니다.

작년 APEC 각료급회의에서 저는 Richard Bach의 “갈매기의 꿈”을 인용해 아태지역이 지역 경제통합의 진전을 위해 보다 목표를 높이 세우고, 빠르고 넓게 나아가야 한다고 제안했습니다. 이것은 APEC 정상회의에서 지역 FTA들의 다양한 지류들이 궁극적으로 보다 큰 강으로 합쳐져야 할 것이라고 한 박근혜 대통령의 메시지에서도 확인되었습니다. 

TPP 협상은 성공적인 한미 FTA 타결에 의해 일정 부분 자극을 받았다는 점을 상기시켜 드립니다. 한편, TPP는 한중일 FTA 논의에 활기를 불어 넣었습니다. 

내외 귀빈 여러분,

미국의 아시아 재균형 정책은 작금의 외교안보 분야 논의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요소입니다. 

그러나, 오늘날 한국도 성장하였으며, 아시아를 넘어 밖으로 뻗어나가고 있음을 잊지 말아야 합니다. 저는 이미 환태평양 정상외교를 완결하신 대통령의 최근 중남미 순방에 대해 말씀드렸습니다. 대통령께서는 유엔 총회, 지속가능한 개발목표 및 여타 글로벌 거버넌스 이슈를 포함한 다자외교도 활발히 참여할 예정입니다. 이 모든 것은 한국이 책임 있는 국제사회 구성원으로서 글로벌 아젠다에 활발히 참여하고 있음을 잘 보여줍니다.

물론 이는 쉽지 않은 일입니다. 제가 이미 말씀드렸듯이, 저는 복합적인 성격 때문에 현재 한국 외교를 다차원방정식에 비유하곤 합니다. 그러나 저는 한국 외교가 최근 수년간 어려운 난제들을 잘 극복해왔듯이 앞으로도 그렇게 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지금까지 말씀드린 내용을 토대로 저의 연설을 다음과 같이 마무리 짓고자 합니다. 장기적으로 역사의 발전은 곧 인간 존엄의 진전이었습니다. 그리고 언제나 변화와 개혁의 조류는 멈출 수 없었습니다. 역사의 옳은 편에 서는 자만이 승리했고, 또 그렇게 될 것입니다. 미국의 한 역사학 교수가 최근 웅변적으로 말한 것처럼“앞을 바라보려면 먼저 뒤를 돌아보아야”합니다.

이러한 점에서, 오늘과 내일 외교안보 정책 및 역사 분야에 가장 정통한 분들이 한 자리에 모이신 것을 뜻깊게 생각합니다. 이처럼 훌륭한 행사를 준비해주신 정몽준 이사장님, 함재봉 원장님과 아산정책연구원에 감사의 말씀드리며, 아산플레넘이 서울에 거점을 둔 세계적 수준의 주요 포럼으로 계속해서 발전해 나가기를 기원합니다.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