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연설문

2015년 OSCE-아시아회의 기조연설

작성일
2015-06-01 16:40:00
조회수
5385

Keynote Speech
by H.E. Yun Byung-se
Minister of Foreign Affairs

2015 OSCE Asian Conference
Seoul, June 1, 2015


Minister Burkhalter,
Deputy-Prime Minister Tanasak (타나삭),
Chairman Žugic (주기치),
Ambassador Greminger (그레밍거),
Secretary-General Zannier (자니에르),
Distinguished delegates,
Ladies and gentlemen,

For Europe and for Korea, this is a year of significant milestones. It marks the 70th anniversary of the end of the Second World War; the 25th anniversary of German reunification, as well as the 40th anniversary of the adoption of the Helsinki Final Act, especially relevant for the OSCE. As for Koreans, not only does this year mark the 70th anniversary of our liberation, but also the division of the Korean peninsula.

So, this would be a good juncture for us to reflect on the past and to strengthen our resolve to build a more peaceful, secure and prosperous future. However, it is also true that at present, both Europe and East Asia are facing some daunting challenges and new kinds of threats, which are more serious than ever since the end of the Cold War.
Looking west, we see Europe dealing with a fundamental geopolitical challenge to its post-war order and stability in the aftermath of events in Ukraine. Fortunately, the OSCE has rolled up its sleeves, dispatching a Special Monitoring Mission, and keeping an eye on the implementation of the Minsk agreements.

Looking east, to my part of the world, we can see a region fraught with multiple problems, both old and new. North Korea’s nuclear and missile threats continue to destabilize the region. We have tensions on the skies, the seas, land and cyberspace, not to mention history issues. In part, this is due to the different dreams and visions of regional countries: the U.S. rebalance to Asia, China’s rise and its new security concept, Russia’s Look East policy, Japan’s policy to unshackle itself from the bondage of the Second World War – and more than anything else, North Korea’s anachronistic pursuit of nuclear weapons. The recent developments in the South China Sea are now taking a dangerous course. In short, we are seeing a divergence, rather than a convergence, of these visions. This reminds us of Dr. Kissinger’s stark warning in Munich last year, that “Asia is more in a position of 19th century Europe, where military conflict is not ruled out.”

So, in a sense, what we see at both the eastern and the western ends of the Eurasian continent looks like a fragile, rather than a durable, peace.

Moreover, it is not just regional security issues that are fueling instability and uncertainty. The global issues we are grappling with are complex, and often intertwined with each other: foreign terrorist fighters, violent extremism, cyber threats, epidemic outbreaks, maritime refugees, and climate change. All these are non-traditional, trans-national threats that affect us all. Like Dr. Brzezinski said, quote, “we’re seeing the kind of world in which there is enormous turmoil and fragmentation and uncertainty, not a single central threat to everybody, but a lot of diversified threats to almost everybody,” unquote.

However, for us, this gloomy outlook actually means that there is a wide scope for cooperation. In facing these challenges, Europe and Asia can work together by sharing experiences and engaging in cross-regional dialogue. Today’s 2015 OSCE Asian Conference is the perfect venue for this, and I would like to welcome all participants, including Minister Burkhalter, Deputy Prime Minister Tanasak, Secretary-General Zannier to this great gathering.

Ladies and gentlemen,

From the outset, my government allowed for a great transformation, a tectonic shift in the international landscape. In my speech at Chatham House last December, I referred to the multiple challenges Korea is facing on the Korean peninsula, in the region, and around the world, as our “triple waves.”

So, how are these challenges unfolding, and how can Korea – indeed, Asia – and the OSCE work together to meet them? I wish to elaborate on three dimensions.

First, is collaboration on vision and grand strategy. Europe’s vision and strategy for building a new Europe has inspired other regions to follow suit. Europe’s visionaries planned a new regional order, and brought forward creative strategies which built up trust, step-by-step.

It is true that there are differences in Europe’s and East Asia’s security landscapes. Nevertheless, I believe that the OSCE’s comprehensive security concept can be tailored to fit the realities of the Korean peninsula, Northeast Asia and East Asia as a whole.

On the Korean peninsula and in Northeast Asia, North Korea’s nuclear conundrum is the most critical issue. This is an integral part of the wider North Korean problem – which also encompasses North Korea’s economic plight and its human rights issue. So, it is imperative that we take a holistic approach and look at North Korea not only in terms of security, but also the economy and human rights. Indeed, there can be no enduring peace and stability without respect for human rights.

Moreover, when we look at the region’s tensions, we can see that at their heart lies the “Asia Paradox”. This means that the region’s economic interdependence has to be dovetailed by the progress in its security and history issues.

In this regard, the proposals my President made towards North Korea last year – the agenda for humanity, the agenda for co-prosperity and the agenda for integration – together with our ongoing agenda for peace, through North Korea’s denuclearization – can be understood as a Korean version of the OSCE’s comprehensive approach.

In East Asia, the region’s countries are simultaneously engaged in two major trends. On the security side, there are efforts for regional confidence building measures and security architecture through the ASEAN Regional Forum and the East Asia Summit. On the economic side, regional integration is moving apace through bilateral and regional FTAs, such as the Trans-Pacific Partnership (TPP), the Regional Comprehensive Partnership and the Free Trade Area of the Asia-Pacific.

All of these are movements towards enhancing connectivity throughout the region. In Europe, the OSCE made crucial contributions in making Europe whole and free, and now has the greater vision of a Euro-Atlantic and Eurasian Security Community, from “Vancouver to Vladivostok.” In a similar vein, we believe that realizing our cherished vision of a unified Korea, whole and free, can be an important catalyst in connecting Eurasia.

Second, is collaboration on the modalities. The OSCE’s success in building trust through confidence and security building measures (CSBMs) has important lessons for Northeast Asia. In the middle of deepening “Asia Paradox,” this part of the world lacks trust, as well as a regional multilateral mechanism. Indeed, as UN Secretary-General Ban Ki-moon pointed out last November at the East Asia Summit, this region represents a crucial missing link in the UN’s network of regional partnerships.

Against this backdrop, my government has been working on the Northeast Asia Peace and Cooperation Initiative, or NAPCI. NAPCI was inspired by the OSCE’s experiences, and there are many fields where NAPCI and the OSCE can work together. I know you will be discussing this topic in detail this afternoon, and I believe nuclear safety could be one useful area. We have been working on the Northeast Asia Nuclear Safety Consultative Body as part of NAPCI’s efforts. Nuclear safety is an issue with relevance to issues such as energy security, disaster management and cyber security. Cooperation in this field could have spill-over and multiplier effects. Europe has the capabilities and experiences to offer advice and more for Northeast Asia.

Yet, multilateral mechanisms are crucial, but not sufficient in upturning this region’s trust deficit. What we should aim for is a virtuous cycle between bilateral and minilateral cooperation. In particular, this year we celebrate 50 years of the normalization of diplomatic ties between Korea and Japan. As we also mark the 70th anniversary of the Second World War, this is a golden opportunity for East Asia to heal the wounds of the past and move on to the future.

In this regard, we could take a leaf from Europe. European cooperation and reconciliation was made possible by those responsible for past wrongdoings making a clean break with the past and acting responsibly in the present.

In a similar vein, in Northeast Asia, Korea, Japan and China have been engaging in trilateral dialogue. Last march, Korea led the resumption of the trilateral Foreign Ministers’ meeting after a hibernation of three years. We will continue our efforts so that the Korea-Japan-China trilateral cooperation mechanism, including the summit, will stand on a secure footing, and become fully resuscitated.

Last, is collaboration on trans-national and global issues. We can see events in Europe and Asia unfold as if they were mirror images. This means that more than ever, cooperation between the two regions is essential. In the Mediterranean and in the Andaman Sea, both are grappling with the safety of maritime refugees or migrants. This is not a stand-alone issue, but interconnected with maritime security, human trafficking and the protection of human rights as well.

East Asian countries can tap into the OSCE’s ample experience in CBMs and preventive diplomacy in coping with one of the toughest shells to crack – namely, the South China Sea disputes. At present, the ASEAN Regional Forum is still in the confidence building measure stage, and is envisioning of moving to the next stage, of preventive diplomacy, in the immediate future. As such, the recent developments in the South China Sea present the most serious challenge in its road ahead. I think that this can be an important area where Asia can learn from European cooperation in confidence building and preventive diplomacy.

Moreover, no single country – or even, no single region – can go it alone on terrorism, violent extremism, epidemics such as Ebola, cyber threats and climate change. On transnational and global issues, the OSCE has been reaching out to partners. So, I truly hope that East Asia and the OSCE will work closer together in the days to come.

Ladies and gentlemen,

The meeting’s logo uses a traditional Korean motif, to symbolize that Europe and Asia are “under the same roof” – interconnected and interdependent on each other for security. So, as we commemorate 40 years of the adoption of Helsinki Final Act, strengthening the collaboration between the OSCE and Asia, addressing common challenges, and working together to enhance the security environment in East Asia would be a meaningful achievement.

Back in the 1940s and 50s, when Winston Churchill floated the idea of a United States of Europe and Robert Schuman led the formation of the ECSC, the European project was still an idea ahead of its time. In the 1970s, at the time of the CSCE’s birth, Europe, whole and free, was still a vision, rather than the reality.

Likewise, what we are hoping for in East Asia is not an impossible dream. Indeed, I believe that such a vision can be realized in East Asia too. And with such hopes, we are working to build a new Korea, a new Asia, and a new world. I hope that the OSCE, as well as each and every one of you here today, will be our partners in this journey. Thank you very much. /끝/

------------------(비공식 번역본)----------------------

2015 OSCE-아시아 회의 장관님 기조연설

부르크할터 스위스 외교장관님,
타나삭 태국 부총리 겸 외교장관님,
주기치 OSCE 의장국 세르비아 대사님,
그레밍거 아시아접촉그룹 의장인 스위스 대사님,
자니에르 OSCE 사무총장님,
각국 대표, 그리고 신사 숙녀 여러분,

금년은 유럽과 한국에 여러모로 각별한 의미를 갖는 해입니다. 제2차 세계대전 종전 70주년일 뿐만 아니라 독일 통일 25주년이기도 합니다. 특히 유럽의 OSCE 회원국들에게는 헬싱키 최종의정서 채택 40주년입니다. 한국에게는 해방 70주년이자 분단 70주년이 되는 해입니다.

따라서 2015년은 과거를 돌아보고 보다 평화롭고 안전하며 번영하는 미래를 건설하고자 하는 의지를 다지는 좋은 계기가 될 것입니다. 하지만 현재 유럽과 동아시아 모두 냉전 종식 이후 그 어느 때보다 심각한 도전들과 새로운 형태의 위협들을 직면하고 있습니다.
서쪽을 보면, 전후 구축된 유럽의 질서와 안정이 우크라이나 사태 이후 근본적인 지정학적 도전에 직면해 있습니다. 다행히, OSCE는 특별 감시단 파견 및 민스크 합의 이행 점검 등을 통해 본격적으로 대응하고 있습니다.

한국이 위치한 동쪽을 보면, 동아시아 지역은 오래된 문제 뿐 아니라 새로운 문제들이 다층적으로 산적해 있습니다. 북한의 핵 및 미사일 위협은 지속적으로 동아시아 지역을 불안정하게 만들고 있습니다. 역사문제는 말할 나위 없이, 역내국가간의 긴장이 하늘·바다·땅과 사이버 공간에서 까지 중층적으로 전개되고 있습니다. 이는 부분적으로는 역내 주요 국가들이 각기 다른 꿈과 비전을 추구하는데도 기인합니다. 미국의 아태 재균형 정책, 중국의 부상과 新안보관, 러시아의 극동정책, 그리고 2차대전의 족쇄에서 벗어나기 위한 일본의 대외정책, 그리고 무엇보다, 북한의 시대착오적 핵무기의 추구가 그러한 것들입니다. 남중국해의 최근 상황은 위험한 국면으로 접어들고 있습니다. 요컨대, 각각의 비전들이 하나의 큰 방향으로 수렴(convergence)되기보다는 서로 엇갈리는(divergence) 모습입니다. 이러한 상황은 작년 개최된 뮌헨안보회의에서‘현재 아시아의 상황은 19세기 유럽과 비슷하며 군사적 충돌도 배제할 수 없다’고 한 키신저 前 미 국무장관의 경고를 떠올리게 합니다.

이처럼 유라시아 대륙의 서쪽 그리고 동쪽에서 우리가 목도하는 것은 항구적이라기 보다는 깨지기 쉬운 평화 같습니다.

국제정세의 불안정과 불확실성을 부채질하는 것은 지역 안보 문제 뿐만이 아닙니다. 최근 제기되는 글로벌 이슈들은 복잡하며 종종 상호연계되어 있습니다. 외국인테러전투원, 폭력적 극단주의, 사이버 위협, 전염병, 해양난민, 기후변화 등이 바로 이러한 문제들입니다. 이러한 문제들은 비전통적이고 초국경적인 위협들로 우리 모두에게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브레진스키 박사가 말한 것처럼 “지금 우리는 거대한 혼란과 분열, 그리고 불확실성의 세계를 목도하고 있으며, 그것은 하나의 위협이 아니라, 거의 모두를 향한 수 없이 많은 다양한 위협”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암울한 전망은 사실 우리에게 더 넓은 협력의 영역이 있음을 의미하여 이러한 도전에 맞서 유럽과 아시아는 경험 공유와 지역간 대화를 통해 함께 협력할 수 있습니다. 오늘 2015 OSCE-아시아 회의는 이를 위한 최적의 자리로서, 부르크할터 스위스 외교장관님, 타나삭 태국 외교장관님, 자니에르 OSCE 사무총장님을 포함한 모든 참석자분들을 진심으로 환영합니다.

신사숙녀 여러분,

박근혜 정부는 출범 초기부터 국제정세에서의 지각 변동과 같은 커다란 전환기(great transformation)에 대비해 왔습니다. 저는 지난 해 12월 영국 Chatham House 기조연설에서 한국이 한반도, 동아시아 지역, 나아가 국제무대에서 직면하고 있는 다중적 도전들을 “3중파고”에 비유한 바 있습니다.

그렇다면 이러한 도전들이 어떤 모습으로 전개되고 있으며, 이에 맞서 한국과 아시아가 OSCE와 어떻게 협력해 나갈 수 있을까요? 저는 세 가지 차원에서 이를 설명해 보고자 합니다.

먼저, 비전과 대전략 차원의 공조입니다. 새로운 유럽을 구축하기 위한 유럽의 비전과 전략은 타지역들로 하여금 그 선례를 따르도록 영감을 주었습니다. 유럽의 선구자들은 새로운 지역 질서를 계획하고, 점진적으로 신뢰를 구축하는 창의적인 전략을 고안하였습니다.

유럽과 동아시아의 안보 환경에 차이가 있다는 점은 사실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저는 OSCE의 포괄적 안보 개념이 한반도, 동북아시아, 그리고 동아시아의 현실에 부합하도록 나름대로 조정되어 적용될 수 있다고 믿습니다.

한반도와 동북아시아에서, 북핵문제는 가장 중대한 이슈입니다. 이는 북한의 경제적 어려움 및 인권 이슈를 포괄하는 보다 넓은 개념의 북한 문제의 본질적인 부분입니다. 따라서, 북한을 단지 안보의 관점뿐 아니라 경제와 인권 차원에서 바라보면서 종합적인 접근을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인권에 대한 존중 없이 지속적인 평화와 안정을 이룰 수는 없습니다.

또한, 동아시아 지역의 긴장을 살펴보면, 그 기저에는 “아시아 패러독스”가 자리잡고 있습니다. 이는 아시아 지역의 경제적 상호의존이 안보 및 역사문제의 진전과 함께 맞물려 나아가야 함을 의미합니다.

이와 관련하여, 작년 우리 대통령께서 북한에 제시한 제안 즉, 인도적 지원, 공동번영, 그리고 동질성 회복의 어젠다는 우리가 북한의 비핵화를 위해 추진하고 있는 평화 어젠다와 함께 한국형 포괄적 접근이라고 이해될 수 있습니다.

동아시아에서는 역내 국가들이 두 가지 큰 흐름을 동시에 추진중입니다. 안보 측면에서는, ARF 및 EAS를 통한 지역 신뢰구축 조치와 안보적 틀을 위한 노력들이 있습니다. 경제 측면에서는, TPP, RCEP 및 FTAAP와 같은 양자 및 지역적 차원의 FTA를 통한 지역 통합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움직임들은 모두 역내 연계성을 강화하려고 합니다. 유럽에서는 OSCE가 하나되고 자유로운 유럽(Europe whole and free)을 만드는데 결정적 기여를 하였으며, 이제는 “밴쿠버에서 블라디보스톡”에 이르는 유럽-대서양 및 유라시안 안보 공동체라는 보다 큰 비전을 갖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맥락에서, 우리는 하나되고 자유로운 통일한국이라는 소중한 비전을 실현하는 것이 유라시아를 연결하는 데 중요한 촉매제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두 번째는 방법론(modalities) 차원의 공조입니다. OSCE의 성공적인 신뢰안보구축조치(CSBMs)는 동북아시아에 중요한 교훈을 주고 있습니다.‘아시아 패러독스’가 심화되는 가운데, 동북아시아는 신뢰가 결핍되어 있으며 다자 협력 메커니즘이 부재한 상황입니다. 반기문 유엔사무총장께서 지난 해 11월 EAS 정상회의에서 지적한 바와 같이, 동북아는 유엔과 지역협력 메커니즘간 파트너십이 결여된 유일한 지역(crucial missing link)입니다.

우리 정부가 추진중인 동북아평화협력구상(동평구, NAPCI)은 이러한 문제 인식에 바탕을 두고 있습니다. 동평구는 OSCE의 경험에서 영감을 얻었으며, 동평구와 OSCE가 함께 협력할 수 있는 분야들이 많습니다. 오늘 오후 여러분들이 이 주제에 대해 심도 있게 토의할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만, 예컨대 저는 원자력 안전이 하나의 유용한 협력분야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우리 정부는 동평구 이행의 일환으로 「동북아원자력안전협의체(Northeast Asia Nuclear Safety Consultative Body)」설립을 추진해 오고 있습니다. 원자력안전 문제는 에너지안보, 재난 관리 및 사이버 안보와 연관성을 가진 이슈입니다. 이 분야에서의 협력은 파급효과와 승수효과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이 분야에서 역량과 경험을 갖춘 유럽이 동북아시아에도 조언과 그 이상을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입니다.

한편, 다자적 협력 메커니즘이 중요하긴 하지만 이 지역의 신뢰 결핍을 해소하기에는 충분치 않습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양자․소다자 협력의 상호 선순환을 목표로 해야 합니다. 특히, 올해는 한일 국교정상화 50주년이며,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70주년으로서, 아시아도 유럽과 같이 과거의 상처를 치유하고, 이를 바탕으로 미래로 나아갈 수 있는 절호의 기회입니다.

이런 점에서 우리는 유럽으로부터 교훈을 얻을 수 있습니다. 유럽의 화해·협력은 과거의 잘못에 대한 책임이 있는 당사자가 과거를 명확히 청산하고 책임있는 행동을 현재에 함으로써 가능했습니다.

이와 관련, 동북아시아 지역에서는 한국, 일본, 중국이 3국협력 체제에 참여하고 있습니다. 지난 3월 한국은 3년간 정체되어 있던 3국 외교장관회담의 재개를 주도하였습니다. 우리는 3국 정상회담을 포함한 한일중 3국 협력 메커니즘이 견고한 기반위에 올라서고 완전히 정상화될 수 있도록 계속 노력해 나갈 것입니다.

마지막으로, 초국경적 그리고 범세계적 이슈 차원의 공조입니다. 글로벌 이슈들은 마치 거울에 비춘 모습처럼 유럽과 동아시아에서 공히 전개되고 있습니다. 이는 그 어느 때보다 양 지역간 협력이 긴요함을 의미합니다. 유럽과 아시아는 각각 지중해와 서남아 안다만海에서 해양난민 내지는 이주민의 안전 문제에 대처하고 있습니다. 이는 단절된 이슈가 아니라 해양안보, 불법 인신매매 및 인권보호와도 연계된 이슈입니다.

동아시아 국가들은 가장 어려운 난제중 하나인 남중국해 분쟁에 대응하는데 있어서도 OSCE의 풍부한 신뢰구축조치(CBMs)와 예방외교 경험을 활용할 수 있을 것입니다. ARF는 현재의 신뢰구축조치 단계에서 조만간 다음단계인 예방외교 단계로 넘어갈 것으로 예상됩니다. 남중국해 문제는 ARF의 앞길에 가장 심각한 도전이 되고 있습니다. 저는 아시아가 이 분야에 있어 유럽의 신뢰 구축과 예방외교의 경험을 배울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아울러, 테러리즘, 폭력적 극단주의, 에볼라 등 전염병, 사이버 위협, 기후변화와 같은 이슈들은 어느 한 국가나 지역의 힘으로는 해결할 수 없습니다. OSCE는 이러한 글로벌 이슈에 대응하기 위해 파트너와의 협력을 확대하고 있는 만큼, 저는 앞으로 동아시아와 OSCE간의 협력이 증진되기를 기대합니다.

신사숙녀 여러분,

금번 회의의 로고는 한국 전통가옥의 지붕인‘기와’를 형상화한 것입니다. 이는 유럽과 아시아가 안보문제에서 커다란 지붕 아래 서로 연계되어 있고 상호 의존하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OSCE와 아시아 국가들이 협력하여, 공통의 도전에 대응하고, 동아시아의 안보환경 개선을 위해 협력하는 일은 헬싱키 최종의정서 채택 40주년을 기념하는 의미 있는 작업이 될 것입니다.

1940년대 및 1950년대 윈스턴 처칠이 유럽 合衆國을 구상하고 로버트 슈만이 ECSC의 창설을 주도했을 때, 유럽통합은 여전히 시대를 앞서간 아이디어였습니다. 1970년대 CSCE가 탄생할 무렵, 하나되고 자유로운 유럽은 아직 현실이 아닌 비전에 머물렀습니다.

이처럼, 우리가 동아시아에서 추구하는 바가 실현불가능한 꿈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저는 동아시아에서도 우리의 비전이 언젠가 실현될 수 있다고 보고 있습니다. 이러한 희망을 품고 우리는‘새로운 한반도, 새로운 아시아, 새로운 세계’건설을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OSCE와 이곳에 계신 여러분 한 분 한 분이 이 여정의 동반자가 되어 주실 것을 기원합니다. 감사합니다.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