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연설문

J글로벌-채텀하우스 포럼 외교장관 오찬 연설문(10.6)

작성일
2014-10-06 00:00:00
조회수
5622

Remarks
by H.E. Yun Byung-se
Minister of Foreign Affairs

J Global – Chatham House Forum
September 6, 2014

Chairman Hong Seok-hyun,
Director Niblett,
Former Prime Minister Rudd,
Distinguished guests, and
Ladies and gentlemen,

Last week, I returned home after taking part in the UN General Assembly and related special summits. As many of you are well aware, my President and many world leaders had to grapple with a host of complicated issues simultaneously, from climate change, poverty eradication, and education to the Ebola outbreak, the extremism of ISIL and foreign terrorist fighters. The list goes on and on. It truly feels a global Pandora’s box is opening up. The message is clear: in this interconnected world we are no longer free, whether from problems of global governance, or from the conflicts of other regions. We cannot go it alone.

This sense of urgency and unease is now shared more widely. Last July in an interview with Foreign Policy magazine, Dr. Brzenzinski said, quote “we’re seeing the kind of world in which there is enormous turmoil and fragmentation and uncertainty – not a single central threat to everybody, but a lot of diversified threats to almost everybody” unquote. Dr. Henry Kissinger recently commented in his latest book, “World Order” that the world is now at a turning point.

But if one asked, ‘where do most daunting challenges to global peace and security come from?’ most would venture the Middle East and the Eurasian regions. Unfortunately, Northeast Asia is now adding its name on this list of conflict zones.

On previous occasions, I have been telling how this region is going through a transformation, how the tectonic plates are shifting under our feet.

For the past two decades, Northeast Asia focused more on the Korean peninsula due to North Korea’s nuclear weapons programs and its ongoing provocations. But in recent years, we are witnessing a surge of new problems compounding the tensions in the region: The underlying historical and territorial issues between regional countries have come to the fore. Challenges such as maritime security, space and cyber security, delimitation of the Exclusive Economic Zone(EEZ) have also emerged. Now it is not just North and South Korea, but also all key players, even China and North Korea that are having troubles.

Those of you from Europe might find this perplexing. After all, the predictions of this being a Pacific Century or an Asian Century are a very recent memory. So why and how things have come to be this way? Let me share with you my thoughts.

First, is what I call the Asia Paradox. Northeast Asia is a region of deepening economic interdependence but dithering political and military cooperation. There is a mismatch between high and low politics.

Second, comes the “return of geopolitics”. It isn’t just major regional powers grating on each other, nor does size or power necessarily matter. Different countries have competing dreams and visions, and they are not shy in being bold and assertive.

Third, is the admixture of atavistic historical revisionism to geopolitical tensions. This is putting enormous negative pressure on bilateral relations.

Fourth, geo-economic cooperation is being dampened by geo-political constraints. Those from this region will understand what I mean.

Fifth, is the lack of trust between and among regional countries. The trust deficit is at alarming levels.

Sixth, comes the detrimental fact that Northeast Asia has neither the mechanisms and nor a culture of multilateral cooperation to diffuse regional tension and conflict. It is the only part of the world where these are absent.

In short, the region has an over-supply of problems and a deficit of solutions. Our biggest challenge is to resolve this imbalance. Northeast Asia, like Europe, is a powerhouse. If Northeast Asia flares up in conflict, it will be a global conflagration on a different scale from the events in Syria, Iraq and Libya.

Under these circumstances, I have high expectations that the Forum will discuss the pressing issues of this historical turning point and show the path forward. I thank Chairman Hong and Dr. Niblett for bringing together the brightest minds of Asia and Europe under the prestigious aegis of Chatham House and the JoongAng Daily.

Ladies and gentlemen,

Keeping in mind the above-mentioned views and analysis, I would like to offer you a broad picture on the Korean government’s perspective and policy for regional peace and cooperation.

The main thrust of our government’s policy is to replace conflict and distrust with reconciliation and cooperation. In essence, we are endeavoring to build up more stable and constructive relations between countries, as well as to promote a culture of multilateral cooperation.

Moreover, our Northeast Asia policy cannot be decoupled from our policy toward the Korean peninsula. It has to be in sync with our objective of sustainable peace in the peninsula, and indeed the ultimate goal – the peaceful reunification of Korea. So the following are the concrete steps we are taking to this end.

First, comes the focus on strong bilateral relations with the region’s major powers. This is all the more so because of Korea’s historical experience, its geopolitical location, and its future vision of a unified Korean peninsula. German reunification would not have been possible without the support of its neighbors. Likewise, Korea’s reunification needs the backing and blessing of our neighbors.

In this vein, Korea’s most important bilateral relationship is undoubtedly with the U.S. As a recent U.S. Congressional report has noted, ties between the two nations are “at their best state in decades.” Seoul is the capital city president Obama has visited most frequently in office. The alliance is now serving as the linchpin for peace and security in the Asia Pacific.

And then, China. Our relations have made conspicuous strides for the past year and a half, under the new leadership of President Park and President Xi. Both sides fondly call our friendship the best-ever since the establishment of diplomatic relations 20-something years ago. Our two countries are giving substance to the strategic partnership in the three pillars of strategic, economic and people-to-people cooperation.

Some people suggest that Korea is tilting too much towards China or that Korea is sandwiched between the U.S. and China. These observations are as superficial as they are glib, in that they view Korea’s relationship with the two giants as a zero-sum game. The truth is, and I guess Prime Minister Rudd will agree with me, this isn’t a matter of pick and choose. As President Obama and his senior officials have noted, Seoul’s good ties with the U.S. and China are useful assets and completely compatible.

And then, on our relations with Japan, we’ve had some trouble for the last several years, mainly because of history-related issues, such as enforced sexual slavery during the WWII. We want to see Japanese political leaders make a clean break with the past, like German leaders. This sorry state of affairs, however, does not stand in the way of our bilateral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cooperation and exchanges, as well as close coordination on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 This is a principled but pragmatic approach.

Now, as we are nearing the 50th anniversary of Korea-Japan diplomatic ties next year, both Korea and Japan recognize the need to make a fresh start to a new future.

Now, North Korea. It has been an odd man out for many years, but especially so since the 3rd nuclear test in 2013 which triggered the toughest-ever international sanctions. Coincidentally, this year marks the 20th anniversary of the Geneva Agreed Framework. The key lesson for North Korea now is, it cannot have its cake and eat it too, as it wishes.

More recently, it has cooled down on China and warmed up to Japan and Russia, its own perceived ‘weakest links’ in the international sanctions regime. The upside is Russia’s principled position opposing North Korea’s nuclear development as negatively impacting their bilateral ties. Japan is also taking a comprehensive approach to the nuclear, missile and abduction issues.

It is against this backdrop that you may have to digest the sudden developments in the Korean Peninsula over the weekend. Some people say inter-Korean relations are like a rollercoast-ride and demand some theatrics. Whatever it is, jawjaw is better than warwar, a la Winston Churchill. So, last Saturday, there were very senior level contacts between the two Koreas at the margin of the Incheon Asian Games. Both sides agreed for a second round of long overdue high-level talks, either in late October or early November. We hope that the follow-up contacts and meetings could be conducive to building trust and peace, recognizing that we still have a long way to go.

Second, Korea is active in promoting various forms of minilateral cooperation in harmony with bilateral relations, such as Korea-US-Japan, Korea-U.S.-China, Korea-Japan-China, and North and South Korea and Russia. The Korean government will continue to test the waters to see whether other formats of minilateral cooperation would be feasible.

Third, in order to promote a culture of multilateral cooperation in Northeast Asia, Korea is pushing forward the Northeast Asia Peace and Cooperation Initiative, or NAPCI in short. NAPCI seeks to build up trust by starting with the easier and softer issues like in Europe. Then, we can gradually move on and expand to political and security dialogue. NAPCI takes a collaborative approach, so all participants will act as co-architects. Korea’s role will be of a facilitator in the journey towards our common goals.

In her Liberation Day speech last August, President Park made a follow-up proposal to substantiate NAPCI. As Europe paved the road for wider collaboration by setting up Euratom, she suggested that Northeast Asia needs a more systematic mechanism to consult on nuclear safety. In fact, the three countries, Korea, Japan and China, account for some 25% of nuclear power plants operable or under construction around the world.
The Fukushima incident also has alerted us to the necessity of working together for nuclear safety. We are hopeful this can become a pilot project in this region.


As part of our efforts to implement NAPCI, Korea is hosting the Northeast Asia Peace and Cooperation Forum later this October. Regional organizations like the EU and the OSCE will also be welcomed as observers. Our arms are open to North Korea, too.

Fourth, our strategy is to move this regional cooperation beyond Northeast Asia to Eurasia. My government’s Eurasia Initiative envisions enhancing connectivity on several fronts, including transport and energy networks as well as people-to-people and cultural exchanges. We see some potential in the ongoing Rajin-Hassan Logistics Projects involving South and North Korea and Russia, as well as several Silk Road projects pursued by neighboring countries.

Distinguished guests,

Korea has been and will continue to make persistent diplomatic efforts to overcome the current dilemma facing us in Northeast Asia. Our quest for the re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is also intended for sustainable regional peace and cooperation. A reunified Korean Peninsula, peaceful and nuclear-weapons-free, will be a cornerstone for the region’s peace and cooperation.

The European experience is a source of inspiration to us. What we wish to realize in the eastern end of the Eurasian continent is like what Europe has achieved in its western part. I genuinely hope that all of you here today will offer your insights and wisdom for a new Korean peninsula, a new Northeast Asia, and a new Eurasia. Thank you. /End/

----------------------------------------------------------

(비공식번역본)

J글로벌-채텀하우스 포럼 외교장관 오찬 연설문



홍석현 중앙일보 회장님,
로빈 니블렛 채텀하우스 소장님,
케빈 러드 전 총리님,
커 의원님,
그리고 내외 귀빈 여러분,

저는 지난 주 유엔 총회 및 관련 특별 정상회의에 참석하고 돌아왔습니다. 여기 계신 많은 분들이 잘 알고 계시다시피, 박근혜 대통령님과 수많은 세계 정상들이 기후변화, 빈곤 척결 그리고 교육에서부터 에볼라 전염병, ISIL의 극단주의와 외국인 테러리스트 전투원 문제에 이르기까지 수많은 복잡한 문제들을 동시에 다뤄야만 했습니다만, 문제의 리스트는 끝도 없습니다. 마치 세계 도처에 판도라의 상자가 열린 것과 같습니다. 이것이 시사하는 바는 명확합니다. 상호 긴밀히 연결된 세상에서 글로벌 거버넌스의 문제로부터건 혹은 다른 지역의 분쟁으로부터건 우리는 더 이상 자유롭지 못하다는 것입니다. 또한, 우리는 혼자서는 문제를 해결해 나갈 수 없다는 것입니다.

점점 더 많은 사람들이 이러한 긴박감과 불안감에 공감하고 있습니다. 브레진스키 박사는 지난 7월 Foreign Policy와의 인터뷰에서, “우리는 지금 거대한 혼란과 분열, 그리고 불확실성의 세계를 목도하고 있다. 하나의 집중적인 위협이 아니라, 거의 모두를 향한 헤아릴 수 없이 다양한 위협들이 그것이다.”라고 평가했습니다. 키신저 박사도 최근 저서 “World Order"에서 “현재 세계가 전환기에 놓여있다”고 진단했습니다.

그런데, 만약 ‘세계 평화와 안전에 대한 가장 어려운 도전들은 어디에서 발생하는가’라는 질문을 받는다면, 여기 계신 많은 분들은 아마도 중동과 유라시아를 꼽을 것입니다. 불행하게도, 동북아도 이제 이러한 갈등 지역 중의 하나가 되었습니다.

저는 여러 계기에 동북아 지역이 지각 변동과 같은 전환기적 변화를 겪고 있다고 말씀드린 바 있습니다.

지난 20년 간 동북아는 북한의 핵문제와 계속되는 도발로 한반도 문제에 초점이 맞춰져 있었습니다. 하지만 최근 몇 년 간 새로운 문제들이 등장하여 역내 긴장을 증폭시키고 있습니다. 역내 국가들 사이에 잠재되어 있었던 역사문제와 영토문제가 전면에 부각되었고 해양안보, 우주 및 사이버안보, 배타적 경제수역 경계획정 등의 도전도 대두되고 있습니다. 이제는 단순히 한국과 북한 사이에서만 문제가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모든 행위자들, 심지어 중국과 북한 사이에서도 문제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유럽에서 오신 분들께서는 아마 의아해 하실 겁니다. 태평양의 세기 혹은 아시아의 세기가 도래할 것이라는 말이 최근까지도 있었기 때문입니다. 그렇다면 왜 그리고 어떻게 이런 상황이 발생하게 된 걸까요? 이에 대한 제 견해를 여러분들과 공유하고자 합니다.

첫 번째 원인은 제가 ‘아시아 패러독스’라고 명명하는 현상 입니다. 동북아는 경제적 상호의존도가 심화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정치적 군사적 협력이 이에 미치지 못하는 지역입니다. 즉, 상위정치와 하위정치간 부조화가 발생하고 있는 것입니다.

둘째는 “지정학의 귀환”입니다. 이제는 역내 강대국끼리만 서로를 자극하는 것이 아닙니다. 국가의 크기나 국력 때문에 반드시 그런 것도 아닙니다. 다양한 국가들이 상충하는 꿈과 비전을 가지고 대담하고 적극적으로 나서는데 주저하지 않습니다.

셋째는 시대착오적인 역사 수정주의가 지정학적 긴장을 부추기고 있습니다. 이는 양자관계에 심대한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넷째는 지정학적 한계가 지경학적 협력을 저해하고 있다는 점입니다. 아시아에서 오신 분들이라면 제 말이 무슨 뜻인지 잘 아시리라 생각합니다.

다섯 번째는 역내국가간 신뢰의 부족입니다. 동북아 국가간 신뢰 부족은 위험한 수준입니다.

여섯째로는 현재 동북아에 역내 긴장과 갈등을 완화하기 위한 다자협력 메커니즘이나 문화가 없다는 점을 꼽을 수 있습니다. 동북아는 세계에서 유일하게 다자협력의 메커니즘이나 문화가 부재한 곳입니다.

요컨대, 동북아 지역은 “문제의 과잉 공급과 해결방안의 부족”이라는 문제를 안고 있습니다. 우리의 가장 큰 당면 과제는 이러한 불균형을 해소하는 것입니다. 동북아는 유럽과 같이 세계의 견인차입니다. 만약 동북아 지역에서 충돌이 발생한다면, 시리아나 이라크, 리비아 등 중동 문제와 달리, 자칫 세계적 대재앙이 될 수도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오늘 포럼에서 역사적 전환점에서의 당면 과제들을 논의하고 앞으로 나아갈 길을 모색한다는데 대해 무척 기대가 큽니다. 명망 높은 채텀하우스와 중앙일보의 후원 하에 아시아와 유럽의 석학들이 한자리에 모일 수 있도록 해 주신 홍석현 회장님과 니블렛 소장님께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내외 귀빈 여러분,

조금 전 언급했던 시각과 분석을 염두고 두고, 동북아 지역에서의 평화와 협력을 위한 한국 정부의 입장과 정책의 큰 그림을 제시하고자 합니다.

박근혜 정부 동북아 정책은 기본적으로 역내 갈등과 불신을 화해와 협력으로 전환하는 것입니다. 그 요체는 역내 국가들간에 보다 안정적이고 건설적인 관계를 구축하고 역내 다자협력 문화를 증진하기 위해 노력하는 것입니다.

또한, 우리의 동북아 정책은 한반도 정책과도 불가분의 관계에 있습니다. 동북아 정책은 한반도에서의 지속가능한 평화라는 목적과 한반도의 평화 통일이라는 궁극적인 목표와 궤를 같이 하는 것입니다.

이제,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우리의 구체적인 노력을 말씀드리고자 합니다.

첫째는 역내 주요국들과의 굳건한 양자 관계를 구축하는 것입니다. 이는 한국의 역사적 경험과 지정학적 위치, 그리고 한반도 통일이라는 미래 비전을 염두에 두었을 때 더욱더 그러합니다. 독일통일은 주변국들의 지지 없이는 불가능했을 것입니다. 한국의 통일도 이와 마찬가지로 주변국들의 지지와 축복이 필요합니다.

이런 맥락에서, 한국의 가장 중요한 양자관계는 의심의 여지없이 미국입니다. 최근 미 의회 보고서에 명기된 바와 같이 양국관계는 “동맹 수립 이래 최상의 상태”에 있습니다. 서울은 오바마 대통령이 취임 이래 가장 자주 방문한 도시이기도 합니다. 한미동맹은 현재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서의 평화와 안보를 위한 핵심고리 역할(linchpin)을 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중국 관련, 한중 관계는 박근혜 대통령과 시 주석 취임 이후 지난 1년 반 동안 괄목할 정도로 발전을 이루어 왔습니다. 한-중 관계가 약 20년 전 수교 이래 최상의 상태를 맞이하였음을 양측 모두 공감하고 있습니다. 한중 관계는 전략적 소통 강화, 경제적 실질협력 심화, 인문 유대 발전이라는 3개의 축을 중심으로 전략적 동반자 관계를 내실화하고 있습니다.

일부에서는 한국이 중국 쪽으로 너무 경도되고 있다거나, 미국과 중국 사이에서 샌드위치 신세가 되었다느니 하는 식의 얘기도 합니다만, 이는 한미/한중 관계를 제로섬 관계에서 보는 것으로 피상적인 견해가 아닐 수 없습니다. 그러나, Rudd 총리께서도 동의하시리라 생각됩니다만 이는 선택의 문제가 아닙니다. 미국 오바마 대통령 및 고위관료들도 언급하였듯, 우호적인 한중/한미 관계는 매우 유용한 자산이며 완전히 양립 가능합니다.

일본과의 관계에 있어서는, 2차 대전 당시 군대 위안부 문제 등 과거사 문제를 중심으로 그간 어려움을 겪어 왔습니다. 우리는 일본의 정치 지도자들이 과거 독일의 지도자들처럼 과거를 분명히 청산하기를 희망합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상황이 한-일 간 북핵문제의 긴밀한 공조라든가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협력과 교류를 가로막고 있지는 않습니다. 이는 원칙에 기반하면서도 실용적인 접근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한-일 양국은 내년 외교관계 수립 50주년을 맞이하며, 새로운 미래를 위한 새출발의 필요성에 공감하고 있습니다.

다음으로 북한입니다. 북한은 이미 오랜동안 국제사회의 외톨이였습니다만, 특히 2013년 제3차 핵실험으로 국제사회의 가장 강력한 제재에 직면하였고, 고립은 더욱 심화되었습니다. 마침, 올해는 제네바 합의 20주년입니다. 북한은 아무리 원하더라도 케이크를 먹어치운 후 이를 소유할 수는 없다(it cannot have its cake and eat it too)는 교훈을 배워야 합니다.

최근, 북한과 중국 관계는 소원해진 반면 북한은 자신이 보기에 국제제재 레짐의‘가장 취약한 연결고리’라고 여기는 일본 및 러시아와는 관계 개선에 나서고 있습니다. 다행스러운 점은 러시아마저도 북핵 문제에 관한 한 북-러 관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원칙적인 자세를 견지하고 있는 것입니다. 일본 또한 핵, 미사일, 납치 문제에 대한 포괄적 접근을 취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배경은 지난 주말 이곳에서 발생한 갑작스러운 동향을 이해하는데 참고가 될 것입니다. 일각에서는 남북관계가 마치 롤러코스터를 타는 것과 같으며, 극적인 상황이 빈번하다는 얘기도 합니다. 어떻게 보든지간에, 윈스턴 처칠 경이 강조했듯이 ‘대화는 전쟁보다 낫습니다’. 지난 토요일, 인천 아시안 게임 계기 남북 고위급 접촉이 이루어졌고, 양측은 오랫동안 미뤄져 온 2차 고위급 대화를 10월말 또는 11월 초 경에 개최하기로 합의하였습니다. 아직 가야할 길은 멀지만 후속 접촉과 대화가 남북한간 신뢰 및 평화 구축에 긍정적으로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둘째, 한국은 양자관계와의 조화 속에 적극적으로 한미일, 한미중, 한중일 및 남북러 등 다양한 형태의 소다자 협의 메커니즘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한국 정부는 앞으로도 다양한 형태의 소다자 협력 메카니즘의 실현가능성을 검토해 나갈 것입니다.

셋째, 동북아 지역 내 다자협력 문화의 촉진을 위해 동북아 평화협력 구상을 적극 추진하고 있습니다. 동북아 평화협력 구상은 보다 쉬운 연성 이슈부터 시작하여 신뢰를 쌓아, 점차 정치안보 대화로 이행․확장하고자 하는 구상입니다. 동북아 평화협력 구상은 협업적 방식을 취하고 있으므로, 모든 참가자들은 공동 설계자로서 활동할 것입니다. 한국은 공동의 목표를 향한 여정에 있어 촉진자로서의 역할을 할 것입니다.

동북아 평화협력을 위한 구체적 방안으로서 박 대통령은 지난 8.15 경축사를 통해 EU가 유럽 원자력공동체를 만들어 유럽에서의 포괄적 협력의 길을 닦았듯이, 동북아시아도 원자력 안전을 협의하기 위한 보다 체계적인 메커니즘을 만들 필요가 있다고 제안한 바 있습니다. 한중일이 보유 중이거나 건설 중인 원전은 전 세계의 약 25%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2011년 후쿠시마 원전사고로 원자력 안전 분야에서의 협력 필요성도 높아진 만큼, 동북아 평화협력 구상 추진을 위한 좋은 시범 사업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동북아 평화협력 구상 이행을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서, 한국은 오는 10월 동북아 평화협력 포럼을 주최합니다. EU 및 OSCE와 같은 지역기구의 옵저버 참여도 환영하는 바입니다. 또한 북한의 참여 또한 개방되어 있습니다.

넷째, 우리의 전략은 이러한 지역적 협력의 범위를 동북아라는 지역에 국한하지 않고 유라시아에까지 넓히는 것입니다. 한국 정부의 유라시아 이니셔티브는 교통․에너지 네트워크를 연결하고 인적․문화적 교류 등을 촉진코자 하는 것입니다. 남북러 간 추진 중인 나진-하산 물류 사업과 주변국들에 의해 추진되는 실크로드 프로젝트 등도 상당한 잠재력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내외 귀빈 여러분,

한국은 동북아 지역의 현 딜레마를 극복하기 위해 꾸준한 외교적 노력을 펼쳐왔으며, 앞으로도 이를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갈 것입니다. 우리가 한반도 통일을 추진하는 것은 역내에서의 지속 가능한 평화와 협력을 도모하기 위한 것이기도 합니다. 평화롭고 핵무기가 없는 통일된 한반도는 역내 평화와 협력을 위한 초석이 될 것입니다.

우리는 유럽의 경험으로부터 교훈을 얻어, 유럽인들이 유라시아 대륙의 서쪽에서 이룩한 성과를 이 대륙의 동쪽에서 이루고자 합니다. 오늘 이 자리에 계신 모든 분들이 새로운 한반도, 새로운 동북아, 새로운 유라시아를 위한 지혜와 통찰력을 모아주기를 진정으로 기대합니다. 감사합니다.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