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연설문

2014 동북아 평화협력 포럼 외교장관 기조연설(10.28)

작성일
2014-10-28 16:30:00
조회수
6068

Keynote Speech
by H.E. Yun Byung-se
Minister of Foreign Affairs

Northeast Asia Peace and Cooperation Initiative Forum
October 28, 2014


Ambassador Brahimi,
Ambassador Vershbow,
Ambassador Reiterer,
Assistant Minister Qian,
Chancellor Yoon,
Members of the diplomatic corps,
Distinguished participants,
Ladies and gentlemen,

Next year means much to many nations and regions represented here today. The U.S. and the countries of Europe commemorate the 70th anniversary of the end of World War Two; Russia will celebrate the 70th year of victory against fascism, as China does hers. For Korea and Japan, it will be fifty years of diplomatic ties. And the nations of southeast Asia will launch the historic ASEAN Community.

During all these decades, the world has gone through profound transformations. Europe rose from the ashes of war to a united Europe in the form of the EU. The OSCE and a reunified Germany have endowed the continent with peace and stability, and economic integration gave it affluence and prosperity.

China’s policy of openness and reform has paid off spectacularly. In mere decades, it has become the second largest economy in the world. Both Japan and Korea achieved economic miracle and maturing democracy. And Asia has become an engine of the global economic growth.

Where are we now then? With more than two decades after the end of the Cold War, a spate of inter-regional and intra-regional efforts are well underway, from the APEC to the Transpacific Partnership (TPP), the Regional Comprehensive Economic Partnership (RCEP) to the Transatlantic Trade and Investment Partnership (TTIP). ASEM is drawing up plans to tighten the collaboration between Asia and Europe in the lead up to its 20th anniversary of its birth in 2016.
So, on the façade, the world is pulling intense efforts for closer integration and enhanced connectivity, both between and within the regions. Korea is no exception. Next month, Korea will take part in a string of summits – APEC, ASEAN related meetings and the G20. later this year, Korea and ASEAN will hold a special commemorative Summit to mark 25 years of dialogue relations. It has been working with regional groups such as the Community of Latin American and Caribbean States (CEALAC), the Gulf Cooperation Council (GCC), the Visegrad group and the Nordic countries.

Having said that, some of you may have noticed there is a missing link in these attempts to connect the dots throughout the world. That blank part is Northeast Asia.

In terms of economic interdependence, for one thing, Northeast Asia accounts for a quarter of global output and more than 20% of world trade. The Korea-China-Japan FTA talks are moving at a slow but steady pace. But the potential remains untapped. Unlike other regions, the economic interdependence of Northeast Asia has not been translated into wider cooperation among the countries.

By now, the reasons are well known to you : In addition to North Korea’s ongoing nuclear weapons programs and its continued provocations, we are witnessing a surge of old and new problems compounding the tensions. The underlying historical and territorial issues between regional countries have come to the fore. Challenges such as maritime security, space and cyber security have also emerged. All these are holding back much broader collaboration.

More importantly, these tensions are not easing off. On the contrary, they tend to be on the rise. I call this the “Asia Paradox”. It means political and security cooperation remains minimal and lags behind the deepening economic interdependence; and there is a mismatch between high and low politics.

If this paradox happened to be a transient phenomenon, there would be no need for concern. But many recent events in this part of the world remind us the paradox will be deepening, if these challenges are left unaddressed. Though many of us are well aware of this, there is an inertia in the way we try to ease or solve problems. We rely too much on the conventional toolbox, with the narrow range of either bilateral means or realpolitik. If this pattern persists, there can be little hope for Northeast Asia in breaking out of the traditional security dilemma.

Now is the time for us to complement and reinforce our approach with a new mindset – that is, a collaborative, coordinated, future-oriented and sustainable regional cooperation. For this to happen, we have to deal with the main obstacle hindering such cooperation, namely the lack of trust – by turning the trust deficit into a trust surplus and by promoting the habit or culture of multilateral dialogue.

Fortunately enough, I believe those present here today understand the hard realities of Northeast Asia, and have a positive attitude that says we must, and we can, do something. As you have just heard President Park’s video message, the Park Geun-hye government and I have been grappling for the last 20 months with the question of how to overcome the Asia paradox and secure the momentum for a virtuous cycle of economic cooperation and peaceful and stable regional order. For Korea, this is a critical question, because when it comes to matters of peace and security, the Korea peninsula and the Northeast Asia are linked closely together.

Since President Park proposed the Northeast Asia Peace and Cooperation Initiative, or NAPCI, we have had discussions at the summit and ministerial level with regional countries, and also consulted with extra-regional partners such as OSCE, NATO, the EU and ASEAN.

This process has led us to share our views on the need of, and the vision for NAPCI. In this regard, today’s Forum is momentous – for this is the first gathering of government officials, from near and afar, to discuss and debate what and how we can do to open a new path to peace and cooperation in Northeast Asia.

The road ahead may not be smooth. But we have no shortage of inspirations from across the world. In particular, Europe has been a source of great inspiration for us. We know there are many differences between Northeast Asia and Europe.

Nevertheless, Europe’s experience also points to the need for a long term vision shared by the countries involved and their will to set up a roadmap to implement it in diverse forms such as ECSC, CSCE and normalization of relations between Germany and its neighbors.

On this positive note, and in the spirit of providing some food for thought, I would like to share the Korean perspective on six useful checklists that could be applied to NAPCI.

First, is an open, collaborative approach. Participating countries, as co-architects, may take the lead on or participate in discussing agenda items that interest them. This will ensure a sense of joint ownership and boost the solidarity and connectivity between member states.

Second, is the search for common denominators in the regional policies of participating states. Northeast Asia is a region where America’s rebalance to the Asia Pacific, China’s neighborhood diplomacy, Japan’s proactive diplomacy and Russia’s new Northeast Asia policy overlap and where South and North Korea should deal with each other. If we identify their commonalities and find the leeway for cooperation, this could be beneficial to all participants.

Third, is building complementary relations with existing regional or subregional mechanisms. For example, NAPCI would create a mutually beneficial synergy effect with trilateral cooperation among China, Japan and Korea, the Six Party Talks, the ARF and East Asia Summit (EAS). NAPCI will be a companion, not a contender, to the present bilateral and multilateral efforts. As Steve Jobs remarked, efforts come to fruition by “connecting the dots.” In a similar vein, NAPCI will be a focal point for the aspirations of Northeast Asians desiring peace and cooperation.

Fourth, comes the process of gradual evolution. The focus would not be on short term results, but on progressing at a speed the stakeholders will find comfortable. There would also be flexibility in the level of cooperation. The amount of trust will be taken into account, and participation will be on a voluntary basis. Its approach will be practical and realistic. It would try to garner the political will for high level dialogue, making it, in effect, a bottom-up process that will generate top-down momentum.

Fifth, NAPCI would start by practicing dialogue and cooperation in non-traditional soft security areas. Following the stocking up of a solid mass of trust, NAPCI will cast a wide net to encompass a broader scope of collaboration, and aim for a higher level of dialogue. In addition, NAPCI’s success can improve and reinforce the bilateral relations between regional members.

Sixth, comes the creation of new opportunities by connecting Eurasia with the Pacific. Regional states have already come up with various plans – Korea’s Eurasia Initiative, China’s New Silk Road Economic Belt, America’s Rebalance to Asia and Russia’s Eurasian Economic Union and the like. A successful NAPCI will bridge the Pacific region and the Eurasian continent, and has the potential to bring forth earlier a new Pacific era and a new Eurasian age.

Ladies and gentlemen,

“Start by doing what is necessary, then what is possible, and suddenly you are doing the impossible,” This wisdom of Saint Francis is still relevant in this day. Our resolve to do what we can do will lead us to the moment where our vision has become reality.

Likewise, we know that “a small step for man” can be “a giant leap for mankind.” Human history has a record of small endeavors leading to great achievements. I sincerely hope this Forum will mark the beginning of a new era, an age where the Pacific ocean will literally be a pacific and prosperous sea. So today, let us all become co-architects present at the creation of a new Northeast Asia. /End/
------------------------------------------------------

(비공식 번역본)

2014 동북아 평화협력 포럼 외교장관 기조연설



브라히미 대사님,
버시바우 대사님,
라이터러 대사님,
첸 부장조리님,
윤덕민 원장님,
주한 외교단,
그리고 내외 귀빈 여러분,

내년은 여기 참석한 많은 국가와 지역에 있어 매우 의미 깊은 해입니다. 미국과 유럽 국가들에게는 제2차 세계대전 종식 70주년, 러시아 및 중국에게는 反파시즘 전승 70주년이 됩니다. 한국과 일본에게는 국교정상화 50주년이 되는 해입니다. ASEAN에게는 역사적인 아세안 공동체가 출범하는 해이기도 합니다.

지난 수 십년 동안, 세계는 커다란 전환을 경험하였습니다. 유럽은 전쟁의 폐허에서 오늘날 EU라는 통합된 유럽으로 일어섰습니다. OSCE 및 통일된 독일은 유럽에 평화와 안정을 가져왔으며, 경제적 통합은 이 지역에 부와 번영을 안겨주었습니다.

중국의 개혁과 개방정책은 눈부신 결과를 가져왔습니다. 불과 수십년만에 중국은 세계 제2위의 경제대국으로 우뚝 섰습니다. 한국과 일본은 경제기적과 성숙한 민주주의를 이룩하였습니다. 그리고 아시아는 세계 경제성장의 동력으로 발돋움 했습니다.

그런데 지금 우리가 놓여있는 상황은 어떠한가요? 냉전 종식 후 20여년이 지난 지금 APEC으로부터 TPP와 RCEP 및 TTIP에 이르기까지 지역간, 그리고 역내 협력을 위한 다양한 노력들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ASEM은 오는 2016년에 출범 20주년을 맞이하여 아시아와 유럽간 협력을 강화하는 계획을 구상하고 있습니다.

외관상으로만 보면, 세계는 지금 역내 또는 지역간 통합과 연계성을 강화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한국도 예외는 아닙니다. 내달에는 APEC, ASEAN 관련 정상회의, G20 정상회의 등 일련의 정상회의에 참가할 예정입니다. 한국은 아세안과의 대화 관계 수립 25주년을 기념하여 금년 말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를 개최할 예정입니다. 또한, 한국은 CEALAC, GCC, 비제그라드 그룹, 노르딕 등 주요 지역협력체와도 협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이와 관련, 여러분 가운데 이러한 범세계적인 통합과 연계성 증진 노력에서의 끊어진 고리가 있음에 주목하신 분들이 계실 것으로 생각합니다. 바로 그 비어있는 부분이 동북아 입니다.
경제분야의 상호의존성 측면을 보면, 동북아는 세계 총생산의 1/4과 교역의 20%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비록 느린 속도지만, 한중일 FTA 협상도 꾸준히 진행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잠재력이 발현되지 못하고 있습니다. 다른 지역과는 달리 동북아 지역의 경제적 상호의존성은 역내국간 보다 광범위한 협력으로 이어지지 못하고 있습니다.

그 이유는 여러분도 잘 알고 계실 것입니다. 북한의 지속적인 핵무기 프로그램에 더하여, 기존의 그리고 새로운 문제들이 이 지역의 긴장을 더욱 악화시키고 있습니다. 역내 국가들간 역사 및 영토 문제가 전면에 부각되고, 해양안보, 우주 및 사이버안보와 같은 도전들도 부상하고 있습니다. 이 모든 문제들이 더 큰 협력을 제약하고 있습니다.

더욱 우려스러운 것은 이러한 긴장이 수그러들지 않고 있다는 것입니다. 오히려 이러한 긴장이 고조되는 추세에 있습니다. 저는 이러한 현상을 ‘아시아 패러독스’라고 부르고 있습니다. 이는 정치·안보적 협력이 미미한 수준에 머물고 경제적 협력을 따라가지 못하며, 상위정치와 하위정치간 불균형이 있는 상황을 일컫습니다.

만약 이러한 현상이 일시적인 것이라면, 우려할 필요가 없을 것입니다. 그러나 최근 동북아 지역에서 벌어지는 일들을 보면, 이러한 도전들이 제대로 다루어지지 않는다면 아시아 패러독스는 더욱 심화될 것입니다. 우리 대부분이 이러한 문제를 알고는 있지만, 문제를 완화시키고 해결하려는 우리의 노력은 타성에 젖어 있습니다. 우리는 여전히 양자 관계나 현실정치적인 방식의 전통적인 도구(conventional toolbox)에 지나치게 의존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문제해결 방식을 고수할 경우, 동북아가 전통적인 안보 딜레마에서 벗어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기 어렵습니다.

이제 우리는 문제 해결을 위해 새로운 마음가짐으로 접근방식을 보완·강화해나가야 합니다. 즉, 협력적이고, 조율되고, 미래지향적이며, 지속 가능한 지역 협력을 이끌어 내야 합니다. 이를 위해 동북아 협력의 핵심 장애물인 신뢰부족의 문제를 해결해야 합니다. 다자간 대화의 습관 또는 문화를 촉진시킴으로써 신뢰 적자를 신뢰 흑자(trust surplus)로 바꾸어 놓아야 합니다.

다행히 오늘 포럼에 참석하신 분들은 동북아의 어려운 현실을 이해하고, 우리가 무엇인가를 해야만 하고, 할 수 있다는 긍정적인 자세를 갖고 계시다고 생각합니다. 조금전 박근혜 대통령님의 영상 메시지에서도 보셨듯이 박근혜 정부와 저는 지난 20개월 동안 어떻게 하면 아시아 패러독스를 극복하고 경제 협력과 평화적이고 안정적인 지역질서간 선순환 구조를 이루어낼 수 있을지에 대해 고민해왔습니다. 평화와 안정이라는 측면에서 한반도와 동북아는 상호 긴밀히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이 문제는 우리 대한민국에 있어 매우 중요한 문제입니다.

박근혜 정부가 동북아 평화협력 구상을 제안한 이래, 우리는 역내 국가들과 정상 및 장관급에서 논의를 가졌고, OSCE, NATO, EU, ASEAN 등 역외 파트너들과도 협의했습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동북아 평화협력의 필요성과 그 비전에 대한 우리의 생각이 공유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그런 의미에서 오늘 포럼이 가지는 의미가 매우 큽니다. 왜냐하면 역내외에서 오신 많은 정부 관계자분들이 처음으로 한자리에 모여서 어떻게 동북아 평화협력의 새시대를 열어갈 것인지를 구체적으로 논의하기 때문입니다.

동북아 평화협력의 새시대를 여는 길이 순탄치만은 않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우리가 하고자 하는 노력에 영감을 주는 사례들은 세계 곳곳에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유럽은 우리에게 큰 영감을 주는 지역입니다. 우리는 동북아시아와 유럽간 여러 상이점들이 있음을 알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유럽의 경험은 관련국들간 장기적인 비전을 공유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보여줍니다. 또한 ECSC, CSCE 등 다양한 형태의 협력을 통해 그러한 비전을 이행하고 독일 및 주변국들간 관계 정상화를 위한 로드맵을 구축하고자 했던 관련국들의 의지가 중요했다는 교훈도 일깨워줍니다.

이제 동북아 평화협력 구상을 추진하는데 있어서 적용될 수 있다고 생각되는 6가지 유용한 요소들에 대한 저의 생각을 나누고자 합니다.

첫째, 이 구상은 열린, 그리고 함께 공조하는 접근을 취합니다. 모든 참여국들이 공동의 설계자(co-architect)로서 각자 관심있는 이슈를 다루는 과정을 주도하거나 참여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공동의 주인 의식을 고취시켜 역내국들의 연계성과 연대감을 키워나가고자 합니다.

둘째, 역내 국가들의 지역 정책에서 협력 공통요인을 찾고자 하는 구상입니다. 동북아는 미국의 아태재균형 정책, 중국의 주변국 외교, 일본의 적극적 외교, 러시아의 신 동북아 정책들이 혼재되어 있고, 그리고 남북한이 서로를 상대해야 하는 지역입니다. 이들간의 공통점을 발굴하고, 협력이 가능한 요소들을 찾아나간다면 모든 참가국들에게 도움이 될 것입니다.

셋째, 기존 지역 또는 소지역 메커니즘과의 보완적 관계 구축입니다. 예를 들어, 동북아 평화협력구상은 한중일 3국협력, 6자회담, ARF, EAS 등과 상호호혜적인 시너지 효과를 창출할 것입니다. 동북아 평화협력구상은 현재의 양자적 그리고 다자적 노력과 경쟁자가 아닌 동반자가 될 것입니다. 스티브 잡스가 모든 노력의 결실은 "connecting the dots" 하는 과정이라고 강조한 바와 같이, 동북아 평화협력구상은 평화와 협력을 바라는 동북아인들의 염원을 하나로 모으는 구심점 역할을 하게 될 것입니다.

넷째, 진화하는 개념의 프로세스를 지향합니다. 단기간 내에 가시적인 성과를 거두기보다는 모든 이해당사국들에게 편안한 속도로 추진될 것입니다. 협력의 수준에서도 유연성이 발휘될 것입니다. 참여국들 간 신뢰의 정도를 감안하면서 자발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할 것입니다. 이 구상의 접근은 실용적이고 현실적입니다. 고위급 대화를 위한 정치적 의지를 결집함으로써 top-down 모멘텀을 창출하는 bottom-up 프로세스입니다.

다섯째, 동북아 평화협력구상은 비전통 연성안보 분야에서 대화와 협력의 관행을 축적해 나가는 것부터 시작할 것입니다. 축적된 신뢰를 통해 보다 넓은 의미의 협력을 이끌어 내고, 이를 통해 보다 높은 수준의 대화를 지향할 것입니다. 또한 동북아 평화협력구상의 성공은 역내 국가들간 양자관계의 강화에도 기여할 수 있습니다.

여섯째, 태평양과 유라시아를 잇는 새로운 기회를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합니다. 이미 이 지역에는 유라시아 대륙을 대상으로 한 다양한 정책이 존재합니다. 한국의 유라시아 이니셔티브, 중국의 신(新)실크로드 경제권, 미국의 아시아 재균형 정책, 러시아의 유라시아경제연합 등이 바로 그것입니다. 동북아 평화협력구상이 성공적으로 정착될 경우, 태평양 지역과 유라시아 대륙을 연결하고, 새로운 태평양 시대와 새로운 유라시아 시대를 가져올 잠재력을 갖게 될 것입니다.

내외 귀빈 여러분,

“필요한 것에서 시작하여 가능한 것부터 하라, 그러면 어느새 불가능한 것을 하고 있을 것이다.” 라는 성 프란시스의 지혜와 같이, 지금 우리가 할 수 있는 것을 찾고자 하는 노력은 마침내 꿈이 현실로 되는 순간으로 우리를 이끌어 줄 것입니다.

마찬가지로, 우리는 한 사람의 작은 발걸음이 인류에게는 위대한 도약이 될 수 있다는 사실을 잘 알고 있습니다. 인류의 역사를 보면 작은 노력들이 놀라운 성취로 이어지는 예를 얼마든지 찾을 수 있습니다. 저는 오늘 포럼이 태평양이 문자 그대로 평화롭고 번영하는 바다로 거듭나는 새로운 시대의 출발점이 되기를 희망합니다. 여기 계시는 모든 분들이 새로운 동북아를 만들어나가는 역사의 현장에서 공동의 설계자가 되어 주시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