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연설문

제9회 제주포럼 환영만찬 기조연설(5.28)

작성일
2014-05-28 19:00:00
조회수
4988

Dinner Remarks
by H.E. Yun Byung-se
Minister of Foreign Affairs

The 9th Jeju Forum for Peace and Prosperity
May 28, 2014


Prime Minister Julia Gillard,
Prime Minister Salam Fayyad,
Prime Minister Han Seung-soo,
Minister Li Zhaoxing,
Minister Gong Ro-myung,
Chairman Hong Seok-hyun,
Ambassador Moon Tae-young, and
Distinguished Guests,

It is my great pleasure to have you all here in this beautiful island of Jeju on the occasion of Jeju Forum for Peace and Prosperity 2014. I would like to welcome all the participants from around the world, and to thank Ambassador Moon Tae-young for his hard work.

The theme of this year’s Forum, “Designing New Asia” is especially timely and meaningful. In view of the multiple challenges and daunting problems that we are faced with, I imagine that the organizers of the conference consider today’s Asia as something old to be replaced, or at least fixed with something new – a new kind of Asia.

If such is the case, their diagnosis is in line with the sense of the direction with which my government intends to proceed, under the foreign policy objectives of “New Korea, New Asia and New World.”

Since the end of the Cold War, Asia has been dubbed as the world’s “Engine of Growth.” Over the past two decades, the future has been heralded as an “Asian Century” and a “Pacific Era.” Today, however, what I call “Asia Paradox” – the situation where political and security tensions increase despite growing economic interdependence – is deepening, threatening to derail that hopeful future.

Some pundits are even talking about the “return of geopolitics” here in Asia as well. If current problems are left unaddressed, prospects for Asia’s future will remain uncertain.

Let’s take a snapshot at where we are, following the path Prime Minister Gillard has flown from down under to this Jeju Island. Just four days ago, a Chinese fighter jet and a Japanese reconnaissance plane nearly avoided mid-air collision over the East China Sea, missing one another by a mere 30 meters. It was the first such incident in recent history.

For the past week or so, Vietnamese and Chinese vessels have been engaged in a rare physical confrontation in the South China Sea since their last military conflict ended in 1979. Last week, North Korea fired shells near a South Korean naval patrol ship below the NLL, in addition to the ongoing threat to conduct the fourth nuclear test “in a way nobody has ever imagined.”

More fundamentally, tensions arising from historical revisionism are adding fuel to territorial conflicts and arms race in Northeast Asia, while misguided nationalism is on the rise.

But this is not the whole picture. The ongoing move to reinterpret the Peace Constitution of Japan in a way to allow the exercise of collective self-defense is being watched closely with concern by not only its neighbors but also its own people. Confrontation over cyber security across the Pacific is only the latest addition. Competition over regional efforts for integration and cooperation is in some ways turning into a rivalry that could result in mutual exclusion. And the list goes on and on.

It looks like the 'Pandora's Box' is being opened, with all sorts of problems - both old and new - popping up, complicating the already very complex situation in Asia. Any of these developments, if mishandled or left unchecked, could escalate into a much more serious situation with far reaching consequences for the region. I hope I am not alarming you too much before we enjoy our dinner tonight.

This doesn’t need to be our destiny. If we travel back in time through a time machine to twenty years ago, we would encounter an Asia that is very different from today. Its economy was dynamic, and expectations were running high for a new order, as the movements for regional integration, such as APEC, ARF and ASEAN+3 were being launched with great enthusiasm.

Today, Asia once again faces a historical challenge. It is standing at the crossroads between progress and retrogression. Why and how have we come this far? Partly, this is accounted for by the new and divergent outlook for the regional order – a rising China, a resurgent Japan, strong Russia, anachronistic North Korea obsessed with the pursuit of nuclear weapons, and the United States who is rebalancing to Asia.

If my diagnosis is correct, what should be the right prescription? Which, by the way, is the task given to you for tomorrow. On my part, I wish to pick up two words from the conference theme, “Design” and “New”. These are the opposite of passive and old. The time has come for all regional stakeholders to make a commitment to design a “New Asia.” We need to dream a new dream for the future, albeit perhaps in different forms and shapes.

As the United States pursues the “Pacific Dream,” China is dreaming a “Chinese Dream.” ASEAN is dreaming its own dream for ASEAN Community. In Korea, we are dreaming a “Korean Dream” of the unified Korean Peninsula.

But all these dreams should better be incorporated into a greater Asian or Asian-Pacific dream. It is important that we share the same vision for the entire region. The European integration was possible because Europeans shared the vision of a united, peaceful, and prosperous Europe enshrined in the Schuman Declaration and the Treaty of Rome.

The Helsinki Process was also possible because the Eastern and Western blocs shared basic principles, such as the sovereign equality, refrain from the use of force and respect for human rights.

Distinguished guests,

To this end, I would like to share with you my three visions of a “New Asia.”

The first is a 'peaceful Asia.' We should build peace that is durable, instead of the fragile peace resulting from a balance of power; a peace that respects the common interests of all countries rather than the interest of a particular country; a peace that is based on justice and norms; a peace that promotes integration over division.

The second is a 'prosperous Asia.' We should build an Asia where regional economy is fully integrated, creativity is shared, and economic and social differences are addressed. The region should promote interconnectedness and facilitate free movement of people and trade across the border.

The third is a 'progressive Asia.' We should build Asia that is free, open, democratic, and contributes to the universal development of humanity.

Distinguished guests,

In my recent conversation with Dr. Henry Kissinger in New York, he emphatically said that when pursuing foreign policy objectives, an attitude that seeks “a balanced dissatisfaction over absolute satisfaction” is critical. Though his counsel is focused on states in the world of realpolitik, wisdom can be found for our discussion tomorrow.

In contrast, the Constitution of UNESCO is more focused on the importance of people. It provides "that since wars begin in the minds of men, it is in the minds of men that the defences of peace must be constructed".

Whether the focus is on the states or on the people, we should complement the traditional order of bilateralism with a multi-faceted and multi-layered network to promote mutual understanding and communication, and to build trust among the countries and people in the region – both in the areas of high and low politics.

Under the current tense political and security situation, we need to manage the growing tension through regional and sub-regional CBMs or CSBMs. Perhaps, we can begin to think about establishing a crisis management mechanism to avoid accidental clashes in the sea, air and space. In particular, the freedom of navigation should be secured, as it is vital to the economy and the security of the countries in the region.

While we’re on the subject of regional security, I would be amiss if I didn’t address the biggest obstacle to the regional peace, which is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 I would say that we are now at the crossroads of whether we will see a nuclear armed or a denuclearized North Korea. We are nearing the tipping point. As such, intensive efforts should be made to resolve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 once and for all, through the cooperation of the members of the Six Party Talks and the international community, including the United Nations Security Council.

As we have seen from the experiences in Europe, efforts for the regional peace gain momentum when coupled with regional integration. In Asia, we already have ongoing integration efforts at various levels, such as FTAAP, RCEP, TPP and the Korea-China-Japan FTA, in addition to ASEAN and EAS. Together with peace building efforts, we should intensify our regional integration efforts so that we may contribute to the common goal of attaining peace, prosperity, and human dignity for all of Asia.

Distinguished guests,

In building peace and prosperity in Asia, easing tension and building trust on the Korean Peninsula and in Northeast Asia are quintessential objectives of my government under the leadership of President Park Geun-hye.

To overcome the seven decades of the division of the Korean Peninsula, President Park proposed the trust building process on the Korean Peninsula and more recently, laid out three specific agendas for peaceful unification in her speech in Dresden, Germany, which includes agenda for humanity; agenda for co-prosperity; and agenda for integration.

President Park also proposed the Northeast Asia Peace and Cooperation Initiative that aims to transform the region’s mistrust and confrontation into trust and cooperation.

Furthermore, to reach out to our partners across the Eurasian continent, President Park proposed the Eurasia Initiative that aspires to transform Eurasia into a continent of peace and prosperity.

Our hope is that such diverse efforts toward cooperation and integration beyond our region will not only ease tension in Northeast Asia and Eurasia, but also build trust between the two Koreas on the Peninsula.

As Steve Jobs described with the phrase “connecting the dots,” even if individual efforts do not immediately result in tangible success, it does not mean that they are not worthwhile. In the long run, these efforts will serve as a valuable foundation for peace and prosperity in the region.

Distinguished guests,

Asia is now undergoing a historical transformation. It is a great challenge presented to all of us. However, we have the will and the capacity to meet these challenges. For Korea, we are willing and ready to play a proactive role in designing a “New Asia.”

With our collective wisdom and cooperation, we should send a very clear message to all those doomsayers who are predicting the “return of geopolitics” that the future of Asia is still bright, and the future of the world will rest on Asia. Thank you.

----------------------------------------------------------------

[비공식 번역본]

제9차 제주포럼 외교장관 만찬사

2014.5.28(수)

줄리아 길라드 前 호주 총리님,
살람 파야드 前 팔레스타인 총리님,
한승수 총리님,
리자오싱 前 중국 외교부장님,
공로명 장관님,
홍석현 회장님,
문태영 대사님,
그리고 내외 귀빈 여러분,

아름다운 섬 제주에서 ‘2014 평화와 번영을 위한 제주포럼’ 계기에 세계 각국으로부터 오신 여러분들 모두를 만나 뵙게 되어 무척 기쁘게 생각합니다. 참석자 여러분들을 환영하고 행사 조직을 위해 수고해 주신 문태영 대사님께도 감사드립니다.
‘새로운 아시아의 설계(Designing New Asia)'라는 주제 하에 열리는 금번 포럼은 특별히 시의적절하고 의미가 깊다고 생각합니다. 우리가 직면한 복합적인 도전들과 엄중한 과제들에 비추어, 포럼 기획자들께서는 오늘날의 아시아를 낡은 아시아로 생각하고 무언가 새로운 것 즉, 새로운 아시아로 대체되거나, 적어도 교정되어야 하는 것으로 보는 것 같습니다. 만약 그렇다면, 그러한 진단은 “새로운 한반도, 새로운 아시아, 새로운 세계”를 외교정책의 핵심 목표로 추구하고 있는 박근혜 정부의 정책기조와도 일맥상통하는 것입니다.
냉전 종식 이후 아시아는 ‘세계 성장의 동력’으로 별칭되었으며, 지난 20여년간 앞으로 다가올 미래를 ‘아시아의 세기’, ‘태평양의 시대’라고 얘기하기도 하였습니다. 그러나, 오늘날 아시아는 본인이 ‘아시아 패러독스’라고 부르는 현상 즉, 경제적 상호의존성의 증대에도 불구하고 정치 안보적 갈등은 고조되는 현상이 심화됨으로써, 이와 같은 희망찬 미래를 위협하고 있습니다.
어떤 이들은 ‘지정학의 복귀’라는 말이 이곳 아시아에서도 적용된다고 얘기하고 있습니다. 만약, 당면한 과제들이 적절히 해결되지 않는다면, 아시아의 미래는 불확실해 질 것입니다.
오늘날 우리가 어떤 상황에 처해있는지를 길라드 전 호주 총리님께서 저 아래 남쪽의 호주로부터 제주도까지 비행하는 경로를 따라 마치 사진을 찍은 것처럼 보여드리고자 합니다. 불과 나흘전, 동중국해 상공에서는 중국 전투기와 일본 정찰기가 겨우 30미터를 사이에 두고 부딪힐 뻔 했던 일이 발생하였습니다. 이는 최근 양국 관계사에서 처음 있는 일입니다.
지난 1-2주 동안 남중국해에서는 베트남과 중국의 선박들이 1979년 중월전쟁 이후 거의 보지 못했던 물리적인 충돌사건이 발생하였습니다. 또한 북한은 “누구도 상상치 못할 형태의” 4차 핵실험을 실시하겠다는 위협에 더하여, 지난 주에는 NLL 이남 우리 수역에 있는 해군 초계함을 향해 포 사격을 가했습니다.
보다 근본적으로, 동북아에서는 역사수정주의로 인한 긴장고조가 영토갈등과 군비경쟁에 기름을 붙고 있는 한편, 잘못된 민족주의가 확산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그러나 이것이 전부가 아닙니다. 현재 일본에서 진행되고 있는 집단적 자위권 행사를 위한 평화헌법 재해석 움직임에 대해 이웃 국가들은 물론 일본 국민들까지도 우려 섞인 시선으로 주시하고 있습니다. 태평양을 가로질러 벌어지고 있는 사이버 안보를 둘러싼 대립은 가장 최근에 발생한 또 하나의 사건에 불과합니다. 지역 통합 및 협력을 둘러싼 경쟁은 어떤 부분에서는 서로를 배척하는 대립으로 변질되기도 합니다. 이와 같은 사례를 들자면 수없이 많습니다.
이것은 마치 ‘판도라의 상자’를 연 것처럼, 해묵은 또는 새로운 온갖 문제들이 튀어나와 서로 영향을 미치면서 아시아의 이미 복합적인 상황을 더욱 복잡하게 만들고 있습니다. 만약, 이러한 사태들 중 어느 하나라도 잘못 다루어지거나, 방지되지 않는다면, 역내 정세에 폭넓은 영향을 미치는 심각한 사태로 발전할 수도 있을 것입니다. 만찬을 즐기시기도 전에 여러분들을 너무 놀라게 하는 것은 아닌가 싶습니다.
그러나 이것이 우리의 운명이라고 생각할 필요는 없습니다. 만약 우리가 타임머신을 타고 20년 전으로 시간 여행을 한다면, 오늘날의 아시아와는 매우 다른 아시아를 발견하게 될 것입니다. 경제는 역동적이었고, APEC, ARF와 ASEAN+3 등 역내 통합 움직임이 태동하면서 새로운 질서에 대한 기대감도 높았습니다.
이제 아시아는 다시 한번 역사적 도전에 직면하고 있습니다. 아시아는 진보와 퇴보의 기로에 서 있는 것입니다. 우리는 왜, 그리고 어떻게 이런 상황에 처하게 된 것일까요? 부상하는 중국, 부활하는 일본, 강한 러시아, 핵무기에 집착하는 시대착오적인 북한, 그리고 아시아로의 재균형 정책을 추진하는 미국과 같이, 각국이 모두 새롭고 다양한 역내 질서를 추구한다는 데에서 그 해답의 일부를 찾을 수 있을 것입니다.
만약 이러한 본인의 진단이 맞다면, 올바른 처방은 무엇이겠습니까? 이것은 물론 내일 여러분들이 주로 다루어야 할 과제이기도 합니다. 대신 본인은 금번 회의 주제 속에 있는 “설계”라는 단어와 ”새로운"이라는 단어에 주목하고자 합니다. 이는 수동적이고 낡은 방식과 대비되는 단어들 입니다. 이제는 역내 모든 이해당사자들이 “새로운 아시아”를 설계하겠다는 각오를 다질 때 입니다. 비록 각자의 꿈의 모양이 다르다 하더라도, 우리는 미래를 위한 새로운 꿈을 꾸어야 합니다.
미국이 ‘태평양의 꿈’을 추구한다면, 중국은 ‘중국몽’을 꿈꾸고 있고, 아세안은 아세안 공동체를 위한 그들의 꿈을 꾸고 있습니다. 한국에서 우리들은 통일된 한반도라는 한국의 꿈을 꾸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 모든 꿈들은 보다 커다란 아시아, 더 나아가 아시아-태평양의 꿈으로 통합되어야 할 것입니다. 모든 아시아를 포괄하는 동일한 비전을 공유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유럽의 통합 과정도 슈망 선언과 로마 조약에 규정되어 있는 ‘하나된 유럽’, ‘평화로운 유럽’, ‘번영하는 유럽’에 대한 비전을 공유하였기에 가능하였습니다. 헬싱키 프로세스도 동서 진영간 주권평등, 무력행사 자제, 인권 존중과 같은 기본적인 원칙을 공유하였기에 가능하였습니다.
내외 귀빈 여러분,
이를 위해 본인은 새로운 아시아의 3가지 비전을 여러분과 공유하고자 합니다.
첫째, ‘평화로운 아시아’입니다. 세력 균형에 따른 일시적인 평화가 아닌 지속가능한 평화, 특정국의 이해보다 모두의 공동 이익을 존중하는 평화를 만들어야 합니다. 정의와 규범에 입각한 평화, 분열이 아닌 통합을 추구하는 평화가 구축되어야 합니다.
둘째, ‘번영하는 아시아’입니다. 역내 경제가 완전히 통합되고 창의성이 공유되며, 경제적ㆍ사회적 격차가 해소되어야 합니다. 상호 연계성을 강화하고, 국경을 넘어 사람과 무역의 자유로운 이동이 촉진되어야 합니다.
셋째, ‘진보하는 아시아’입니다. 자유롭고, 개방적이며, 민주적인 아시아, 인류의 보편적 발전에 기여하는 아시아를 만들어야 합니다.
내외 귀빈 여러분,
최근 뉴욕에서 본인과 대화를 나눈 키신저 박사는 외교정책 목표를 추구하는 과정에서 “절대적인 만족보다는 균형잡힌 불만족”을 추구하는 태도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역설하였습니다. 비록 그의 조언은 현실정치의 세계속에 있는 국가에 초점을 두고 있는 것이지만, 내일 있을 우리의 논의에도 도움이 되는 지혜가 되리라 생각합니다.
반면, 유네스코 헌장은 인간의 중요성에 대해 보다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동 헌장은 “전쟁은 인간의 마음에서 비롯되는 만큼 평화 수호는 인간의 마음을 다스리는데 있다"고 명시하고 있습니다.
논의의 중심에 국가가 있든 인간이 있든, 우리는 전통적 양자관계에 기반한 국제질서를 상위(high) 및 하위정치(low politics) 모두에서 상호 이해와 소통 및 신뢰 제고를 위한 다면적이고 중층적인 네트워크를 구축함으로써 보완해야 할 것입니다.
현재와 같이 긴장된 정치안보 정세 아래에서는, 지역 또는 소지역 차원의 신뢰구축조치 또는 신뢰안보구축조치를 통해 고조되는 긴장을 관리해 나가야 합니다. 바다, 하늘, 우주에서의 우발적인 충돌을 방지하기 위한 위기관리 메커니즘 구축에 대한 고민을 시작할 시점에 도달했다고 봅니다. 특히 역내 국가들의 경제활동 및 안보에 핵심적인 자유로운 항행이 보장되어야 합니다.
지역안보라는 주제에 관해 말씀드리고 있는 상황에서 본인은 아시아 평화의 가장 큰 장애물인 북핵 문제를 언급하지 않을 수가 없습니다. 본인은 지금 우리가 핵무장한 북한과 비핵화된 북한 중에서 어떤 북한과 마주치게 될 것인가의 갈림길에 서 있다고 보고 있습니다. 우리는 임계점에 다가가고 있는 것입니다. 따라서, 북한 핵문제의 철저한 해결을 위해 6자회담 당사국과 유엔 안보리를 포함한 국제사회의 집중적인 노력이 필요합니다.
유럽의 경험을 통해 알 수 있듯이, 지역의 평화 구축을 위한 노력은 지역 통합 노력과 연계될 때에 탄력을 받습니다. 아시아는 이미 FTAAP, RCEP, TPP, 한·중·일 FTA, ASEAN 및 EAS 등 다양한 수준에서의 지역 통합을 위한 노력을 경주하고 있습니다. 우리는 아시아 전체의 평화와 번영 그리고 인간의 존엄성 확보라는 공동의 목표에 기여할 수 있도록 지역 통합 노력을 평화 구축 노력과 더불어 강화해 나가야 합니다.
내외 귀빈 여러분,
아시아의 평화와 번영을 구축하기 위해, 한반도와 동북아에서 긴장을 완화하고 신뢰를 구축하는 것이 박근혜 정부의 핵심적인 목표입니다.
분단 70년을 극복하기 위해, 박근혜 대통령은 한반도 신뢰 프로세스에 이어, 최근 독일 드레스덴 연설을 통해서 평화적인 통일을 위한 3대 원칙, 즉 인도주의, 공동번영, 그리고 통합의 어젠다를 구체적으로 제안하였습니다.
박근혜 대통령은 동북아 지역의 불신과 대립의 구도를 신뢰와 협력의 구도로 전환시키고자 동북아 평화협력 구상을 제안하였습니다.
나아가, 유라시아 대륙에 있는 우리의 파트너들과 협력하기 위해, 박근혜 대통령은 유라시아를 평화와 번영의 대륙으로 전환하자는 유라시아 이니셔티브도 제안하였습니다.
우리의 희망은 이 지역을 넘어 협력과 통합을 이루려는 우리의 이러한 다양한 노력들이 동북아와 유라시아의 긴장을 완화할 뿐만 아니라, 한반도에서의 신뢰까지도 구축할 수 있기를 바라는 것입니다.
스티브 잡스가 “Connecting the dots”라는 말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러한 하나하나의 노력이 당장 가시적인 성공으로 이어지지는 않더라도 이는 헛된 것이 아니며, 장기적으로 역내 평화와 번영을 위한 소중한 밑바탕이 될 것으로 확신합니다.
내외 귀빈 여러분,
아시아는 지금 역사적 전환기에 있습니다. 이는 우리 모두에게 큰 도전이기도 합니다. 그러나, 우리는 이러한 도전을 극복하기 위한 의지와 역량을 갖추고 있습니다. 한국은 ‘새로운 아시아’를 설계하는데 있어서 능동적인 역할을 해나갈 의지가 있고 준비도 되어있습니다.
우리 모두의 지혜와 협력을 통해, ‘지정학의 회귀 (return of geopolitics)’를 예상하는 모든 비관론자들에게 아시아의 미래는 밝으며, 세계의 미래는 아시아에 달려있다는 아주 명확한 메시지를 보내야 할 것입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