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연설문

외교부-EAI 중기외교전략 국제세미나 외교장관 기조연설(6.9)

작성일
2014-06-09 11:25:00
조회수
4753

Keynote Speech
by H.E. Yun Byung-se
Minister of Foreign Affairs

MOFA-EAI International Conference on
“Korea’s Vision for Unification and the Future of East Asia”
June 9, 2014


Chairman Ha Young-sun,
President Lee Sook-jong,
Distinguished Participants, and
Ladies and Gentlemen,

Quite often, history is a great source of inspiration for the future. In this vein, we know that this year marks the 25th anniversary of the fall of the Berlin Wall, ending the nearly four decades of the Cold War. It is also the centennial of the outbreak of the First World War.

Last week, many European leaders commemorated the 70th anniversary of D-Day on the coast of Normandy. As I watched the CNN news coverage of the 19 leaders of victors and defeated countries of the World War II together, I asked myself “can that kind of celebration take place here in East Asia as well?”

In particular, when President Hollande of France told his German audience that he [quote] “wish to pay tribute to the Germans who were actually victims of the Nazi rule,” [unquote] it resonated the true spirit of reconciliation and peace that the Europeans have achieved. It was in stark contrast with the situation here in East Asia.

Next year, China and Russia will jointly celebrate the 70th anniversary of their victory over fascism. Korea and Japan will mark the 50th anniversary of normalization of relations. For Koreans, it is the 70th year of the divided peninsula.

To our regret, as things persist like now, we may not have much to celebrate, as confrontation is once again intensifying in East Asia – on the ground, at the sea, in the sky, and even throughout the cyberspace. It was a somber reminder of the state of East Asia today.

Last week, I also visited Myanmar to take part in the unveiling ceremony of a special memorial dedicated to those who perished from the 1983 North Korean terrorist bombing.

As I stood on the hallow ground where the 17 lives were taken away, I was reminded of the tragic situation of the divided peninsula that continues to this day.

In my speech before the participants, I urged North Korea to follow the path of Myanmar that opted for reforms and openness in response to the global waves of changes.

Time is ripe for us to ponder upon where we are now, and which path we will take into the future. Our choices will dictate whether we will be able to overcome the confrontation and conflict and usher in an era of trust and cooperation, or shall let the specter of old history, i.e. “the curse of geopolitics” return to haunt us.
In this time of great challenge and transformation, I cannot but emphasize the significance of this gathering to discuss “Korea’s vision for Unification and the Future of East Asia.” I thank Chairman Ha Young-sun and East Asia Institute for organizing this timely conference, and welcome all the participants.

Ladies and Gentlemen,

Over the last 20 years, waters of the Pacific in East Asia remained indeed pacific. But what we are seeing now is the turbulent waters that tend to engulf all that is near and far, from the East Sea and the East China Sea, all the way down to the South China Sea.

If Thomas Hobbes was still alive, he may remind us of his well-known dictum that it is indeed, “everyone’s struggle against everyone.”

If you do not agree with my characterization of the current situation, you are also drawn to the warning of Dr. Henry Kissinger, who said this past February, “Asia is more in a position of 19th-century Europe, where military conflict is not ruled out.”

As if to prove us right, last month we saw in the South China Sea a rare incident of clash between Vietnamese and Chinese ships. Two weeks ago, in the air space above the East China Sea, there was a near clash between a Chinese fighter jet and a Japanese reconnaissance plane that came within a 30-meter distance against each other.

Thus, all over East Asia, it is as if Pandora’s Box has been opened and all sorts of problems are arising.


If this trend continues unchecked, it will seriously weaken the ever-growing economic inter- dependence East Asia has achieved over the last two decades since the end of the Cold War. The entire region may plunge into a deep crater of retrogression.

More fundamentally, seeds of confrontation are being sown in the hearts and minds of East Asians where defenses of peace should be constructed. Historical revisionism, aided by misguided nationalism is adding fuel to what is already an explosive situation over territory and arms race. Under these circumstances, any small incident can easily escalate into a wider, physical confrontation, placing relevant actors on a possible collision course.

When the French President Hollande said at the foregoing D-Day ceremony that we must [quote] “serve peace and find solutions so that conflicts do not degenerate into wars,” [unquote] it was also a warning for those of us in East Asia as well.

It is in the same vein, I would like to draw your attention to President John F. Kennedy’s 1963 speech titled Towards a Strategy of Peace. In it, he declared that “peace need not be impracticable, and war need not be inevitable.”

There is no other place than here in East Asia that such a strategy for peace is needed. “Peace is not attained by the strength of one or two powers,” as “a genuine peace must be the product of many nations, the sum of many acts. Peace is a process, a way of solving our problems.”

Ladies and Gentlemen,

The present state of East Asia, where centrifugal force is prevailing over centripetal force presents a grave challenge to Korea. No nation is immune from developments taking place outside its borders. For Koreans, we have come to recognize that our future is inseparable from that of East Asia. It is a hard lesson and instinct acquired from our 5,000-year history and the 70-year division of the Korean Peninsula.

From this perspective, I must point out a few likely misperceptions arising from the complexities surrounding East Asia in a larger context.


First, nations in East Asia should stay away from a temptation to entertain extremist frame of thought that assumes competing states to be enemies. In our world characterized by increased inter-dependence, it is clear that Cold War mentality will lead nowhere.

A peace built on only military power will not be sustainable. Moreover, any nation that values its people’s welfare must not resort to the indiscriminate pursuit of parochial national self-interests. After all, diplomacy is much more cost-effective way of solving problems. We are no longer living in a world of zero-sum games.

Second, a common security concern in East Asia should not be a political football or become hostage to bilateral conflicts. There has been a widely-shared belief that North Korea’s pursuit of nuclear weapons poses a clear and present danger to the peace and prosperity of the region, not to mention the very foundation of peace and security of the Korean Peninsula. The UN Security Council has already delivered a verdict on this question through a series of stern resolutions.

Any nation that may wish to compromise on the cause of peace for the sake of domestic politics will run the risk of losing a more serious bet it has arduously made. Conventional wisdom tells us that the marriage of convenience is not sustainable.

Third, the continuation of the status quo on the Korean Peninsula will serve nobody’s interests in East Asia. The history of 70-year-long division attests to the fact that this division is the major source of problems and misgivings in the region.

Rather, it should be clear by now that the 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will reduce the political conflict in Northeast Asia and present unimaginable economical opportunities. Thus, it will pave the way for a more peaceful and prosperous New Asia.

Ladies and Gentlemen,

If history is indeed a good source of inspiration, we Koreans certainly draw lessons from the German reunification. The German experience of pursuing exchange and cooperation between the East and the West, while seeking to change the strategic contours of Europe in favor of the reunification lends valuable insights for Korea’s unification strategy.


In the case of Korea, where geopolitical interests of major powers crisscross, the importance of diplomatic strategy cannot be emphasized enough. Korea’s unification policy seeks to pursue a balanced approach that takes into consideration both the inter-Korean relations as well as international efforts.

To this end, Korea is pursuing a unification policy to build sustainable trust between the two Koreas through the Trust-building Process in the Korean Peninsula. President Park Geun-hye further elaborated her unification policy in her Dresden speech as she outlined the three key elements of unification such as agenda for humanity; agenda for co-prosperity; and agenda for integration.

Bringing about change through contact is a necessary condition, but not a sufficient condition. In view of the past history and current state of affairs in East Asia, we clearly recognize the need to create an external environment that is amenable not only to the improved relations between the two Koreas, but also to the eventual 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First of all, in Northeast Asia, Korea is strengthening its ties with most of its neighbors and promoting the multilateral approach called Northeast Asia Peace and Cooperation Initiative in order to change the current structure of mistrust and confrontation into mutually beneficial mechanism of trust and cooperation.

Korea is also pursuing the Eurasia Initiative designed to promote cooperation with its partners in the Eurasian continent. It is a grand national strategy that will be pursued on the road to and in the aftermath of the unification.

To the south, Korea is strengthening its strategic partnership with ASEAN countries. In addition, Korea is pushing strategic dialogues with key partners and regional organizations in Latin America, the Middle East, and Africa. The establishment of a new cooperation mechanism among five advanced middle power states called “MIKTA” that share similar values with us is also the result of such efforts.

We know the road to ultimate unification will be long and bumpy. In particular, the North Korea’s pursuit of nuclear weapons constitutes the biggest hurdle in our journey ahead. Thus far, we have engaged in a coercive diplomacy among the international community to dissuade North Korea from conducting its fourth nuclear test and to dismantle its nuclear weapons programs. We are also working closely together with core partners to create a necessary environment to secure complete, verifiable, and irreversible denuclearization of North Korea.

Ladies and Gentlemen,

At the outset, I told you that I visited Myanmar. Even a country like Myanmar who opted for seclusion for a long time is now on the course of what is called “Myanmar’s Way,” which describes the series of reforms and liberalizations under way there.

Since 2011, Myanmar expanded political freedom and accepted IAEA's monitoring of its nuclear facilities. Streets of Yangon and Naypyidaw, the present capital city, are now bustling with so many western visitors. The international community is welcoming Myanmar's new journey.

Now is the time for North Korea to follow the path of Myanmar and Vietnam. The sooner the North Korea makes that kind of strategic decision, the better. History is full of good examples on strategic decisions that changed the course of nations’ destiny, such as the birth of the EU, the normalization of relations between the US and China, and the peace treaty concluded between Egypt and Israel.

Setting aside the famous international relations theory of constructivism, Albert Einstein once said "imagination is the preview of life's coming attractions." The vision we imagine soon becomes a reality and a future. It is our will and our commitment that determines the direction of our journey into the future.

Ladies and Gentlemen,

For Koreans, June is a cruel month filled with painful memories of the Korean War. Over the course of the past half-century, Korea overcame the scars of war, achieved democratization and economic success at a speed unmatched by any in the world history.

Looking ahead, Korea will be undeterred as we embark on our journey toward unification, as we have successfully weathered through all the trials and tribulations throughout our past history.

I assure you that the democratic and prosperous unified Korea will be poised to serve the cause of peace, prosperity, and human dignity of East Asia and beyond. In that journey toward “a New Korea and a New Asia,” I count on your counsel and support.

Thank you very much.

------------------------------------------------------------------------

[비공식 번역본]

외교부-EAI 중기외교전략 국제세미나 외교장관 기조연설

2014.6.9(월)

하영선 동아시아연구원 이사장님,
이숙종 동아시아연구원 원장님,
국내외 저명학자 여러분,
그리고 내외 귀빈 여러분,

역사는 종종 위대한 영감의 원천입니다. 이런 맥락에서, 우리는 금년이 40여년 동안 지속된 냉전을 종료시킨 베를린 장벽 붕괴 25주년이자, 1차 세계 대전 발발 100주년이 되는 해임을 잘 알고 있습니다.

지난 주 노르망디 해변에서는 수 많은 유럽의 지도자들이 한자리에 모여 상륙작전 D-Day 70주년을 기념하는 행사를 가졌습니다. 본인은 CNN 방송을 통해 제2차 세계대전의 전승국과 패전국의 정상 19명이 함께하는 장면을 보면서, ‘저런 행사가 동아시아에서도 개최되는 날이 올 것인가’라고 스스로 질문하기도 하였습니다.

특히, 행사 주최국인 프랑스의 올랑드 대통령이 독일 국민들에게 “오늘 나치 통치의 희생자였던 독일인들에게 고개를 숙인다.”라고 말한 것은, 유럽인들이 이루어낸 진정한 화합과 평화의 정신을 웅변으로 전하는 것이었습니다. 이곳 동아시아의 상황과는 너무나도 뚜렷이 대비되는 순간이었습니다.

내년은 중국과 러시아가 ‘반파시즘 전쟁 승리 70주년 기념행사’를 공동 주최하고, 한일관계 정상화 50주년이 되는 해입니다. 한국민들에게는 분단 70주년이 되는 해이기도 합니다.

안타깝게도 만약 현재의 상황이 계속된다면, 동아시아인들에게는 그리 기념할 만한 해가 되지는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동아시아의 땅과 바다, 하늘과 심지어는 사이버 공간에서까지 가리지 않고 대결의 기세가 또 다시 넘쳐나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는 동아시아의 현 주소를 너무나도 생생하게 상기시켜주는 것이기도 합니다.

본인은 지난 주 1983년 북한 공작원들의 테러에 의해 안타깝게 희생된 아웅산 순국사절 추모비 제막식에 참석하기 위해 미얀마를 방문하였습니다. 열 일곱 분의 목숨을 빼앗아간 신성한 현장에 서서 본인은 아직도 끝나지 않은 한반도 분단의 슬픈 현실을 다시금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제막사를 통해 본인은 북한에 대해 미얀마와 같은 개혁과 개방의 길을 선택할 것을 촉구하였습니다.

이제는 우리의 현 주소를 살펴보고 미래를 선택할 시점에 도달 했습니다. 대립과 갈등을 넘어 협력과 신뢰의 시대를 열어 나갈지, 아니면 동아시아 역사의 망령 즉, “지정학의 저주”가 귀환하는 것을 지켜볼지는 우리의 선택의 몫입니다.
이러한 도전과 변화의 기로에서, 『한국의 통일 비전과 동아시아의 미래』라는 주제로 금번 행사를 갖는 것은 그 의미가 매우 크다고 생각합니다. 행사를 준비해주신 하영선 이사장님을 비롯한 EAI 관계자분들께 감사드리고, 참석자 여러분 모두를 환영합니다.

내외 귀빈 여러분,
지난 20여년간 동아시아의 태평양은 그야말로 태평했습니다. 그러나, 오늘 우리 앞에 놓인 험한 바다는 동해와 동중국해에서부터 남중국해에 이르기까지 가깝거나 먼 곳에 있는 모든 것들을 가리지 않고 집어 삼킬 것 같은 기세입니다. 만약 토마스 홉스가 아직 살아있다면, 지금의 상황에 대해 “만인에 대한 만인의 투쟁” 같다고 말할지도 모릅니다.

만약 여러분이 현 상황에 대한 이러한 평가에 동의하지 않으신다면, 지난 2월 헨리 키신저 박사가 “현재 아시아의 상황이 19세기 유럽의 상황과 비슷하며, 군사적 충돌도 배제할 수 없다”고 한 경고를 상기해 주시기 바랍니다.

그러나, 이러한 진단이 옳다는 것을 증명이라도 하듯이, 지난달 남중국해에서는 베트남과 중국의 선박들간에 그간에는 거의 보지 못했던 물리적인 충돌사건이 발생하였습니다. 2주전에는 동중국해 상공에서 중국 전투기와 일본 정찰기가 겨우 30미터를 사이에 두고 부딪힐 뻔 했던 일이 발생하였습니다. 마치 판도라의 박스를 열기라도 한 것처럼, 동아시아 곳곳에서 온갖 문제들이 튀어나와 문제를 일으키고 있습니다.

만약 이와 같은 추세가 저지되지 않고 계속된다면, 이는 냉전 종식 이후 지난 20여년간 동아시아가 성취해온 경제적 상호의존도를 심각하게 훼손할 것입니다. 이 지역 전체가 퇴보의 깊은 수렁에 빠질 수도 있는 것입니다.

보다 근본적으로 본다면, 평화의 방벽이 세워져야 할 동아시아인들의 마음에 갈등의 씨앗이 자라나고 있습니다. 잘못된 민족주의와 결합된 역사수정주의는 영토 및 군비경쟁으로 인해 이미 폭발하기 쉬운 상황에 기름을 붓고 있습니다. 이와 같은 상황속에서는 아무리 작은 사건이라도 더 큰 규모의 물리적 충돌을 야기시켜, 관련 당사국들을 충돌의 길에 들어서게(collision course)할 가능성마저 우려되고 있습니다.

앞서 말씀드린 노르망디 상륙작전 D-Day 70주년 기념식에서 프랑스의 올랑드 대통령이, “평화를 위해 갈등이 전쟁으로 치닫지 않도록 방법을 찾아내야 합니다”라고 말한 것은, 동아시아에 대한 경종이기도 합니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본인은 1963년 케네디 대통령의 “평화를 위한 전략(Towards a Strategy of Peace)"이라는 연설에 주목코자 합니다. 이 연설을 통해 케네디 대통령은 “평화란 실현 불가능한 것이 아니며, 전쟁이 불가피한 것도 아니다”라고 선언하였습니다. 이와 같은 ‘평화를 위한 전략’이 지금, 여기 동아시아만큼 절실한 곳은 없습니다. “평화는 결코 한두 나라의 힘만으로 달성되는 것이 아니며,” “진정한 평화란 다수 국가들의 노력의 산물이자, 그들 행동의 총화”이면서, “평화는 과정이자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이기 때문입니다.

내외 귀빈 여러분,
구심력이 사라지고 원심력이 지배하는 동아시아의 정치 현실은 한국에게도 도전을 제기하고 있습니다. 그 어느 국가도 자국의 국경 밖에서 이루어지는 일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습니다. 특히 한국민들은 한반도의 미래와 동아시아의 미래가 서로 긴밀히 연결되어 있음을 익히 알고 있습니다. 그것은 5천년 한국의 역사가, 그리고 지난 70여년 한반도 분단의 역사가 우리에게 가르쳐준 교훈이기도 합니다.

이런 점에서, 본인은 최근 특히 두드러지고 있는 복잡한 동아시아 정세의 흐름과 관련하여 흔희 가지기 쉬운 몇 가지 잘못된 시각을 지적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첫째, 동아시아 모든 관련국들은 경쟁국을 적으로 생각하는 극단적인 생각의 틀에서 벗어나야 합니다. 점증하는 상호의존성의 세계에서 냉전시대의 사고 방식은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군사력에만 기초한 평화는 지속가능하지 않습니다. 더욱이, 국민의 복지를 중시하는 국가들은 편협한 국가이익만을 추구하면 안 될 것입니다. 결국에는 외교를 통한 문제해결이 가장 효율적이기 때문입니다. 우리는 제로섬 게임이 지배하는 세상에 더 이상 살고 있지 않습니다.

둘째, 동아시아 공동의 안보문제가 국내정치적 목적으로 활용되거나 특정국가들의 양자적 갈등의 희생물이 되어서는 안 될 것입니다. 북한의 핵개발이 동아시아 지역의 분명하고 현존하는 위협임은 물론, 한반도 평화와 안보에 근간을 흔들고 있다는 점에 대해서는 이미 광범위한 공감대가 형성되어 있습니다. 유엔 안보리 역시 일련의 강력한 결의를 통해 확실한 결론을 내린 바 있습니다.

그 어느 국가라도 국내정치적 목적을 위해 평화를 위한 공동의 명분을 훼손코자한다면, 그간 힘겨운 노력 끝에 이룩한 더 중요한 성과를 잃어 버리는 위험에 직면하게 될 것입니다. 편의주의적 결합은 결코 지속가능하지 않다는 것은 잘 알려진지혜이기도 합니다.

셋째, 한반도에서의 현상유지는 동아시아 그 어느 누구의 이익에도 부합하지 않을 것입니다. 지난 70년의 역사는 한반도의 분단이 이 지역에서 수많은 문제와 우려만을 야기시고 있다는 점을 증명해주고 있습니다.

오히려, 한반도 통일은 동북아의 정치군사적 갈등을 줄이고, 막대한 경제적 기회를 제공하게 될 것입니다. 즉, 통일은 보다 평화롭고 번영하는 새로운 아시아를 향한 길을 만들어 줄 것입니다.

내외 귀빈 여러분,
역사가 진정 영감의 원천이라면, 한국민들은 독일의 통일 경험으로부터 많은 영감을 받고 있습니다. 동서독간 교류와 협력을 추구하는 동시에 유럽의 전략적 지형을 통일에 우호적인 방향으로 변화시켜 나간 독일인들의 경험은 오늘날 한국의 통일 전략에 시사하는 바가 큽니다.

한국의 경우, 주요국들의 지정학적 이해 관계가 첨예하게 교차하는 상황에서, 외교 전략의 중요성은 말할 나위가 없습니다. 따라서, 한국의 통일 정책은 남북관계와 국제적 노력을 포괄하는 균형 잡힌 접근법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한국은 한반도 신뢰프로세스를 통해 남북간의 지속가능한 신뢰를 구축하는 통일 정책을 추구하고 있습니다. 박근혜 대통령은 이와 같은 통일 정책을 드레스덴 연설을 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였으며, 한반도 통일 3대 원칙, 즉 인도주의적 과제, 공동번영의 과제 및 통합의 과제를 제시한 바 있습니다.

접촉을 통한 변화는 통일을 위한 필요 조건이지만 충분 조건은 아닙니다. 우리는 역사와 현재의 동아시아 정세에 비추어, 남북관계의 개선 뿐 아니라 한반도의 통일에 우호적인 외부 환경을 만들어 나가는 것이 필수적임을 잘 알고 있습니다.
따라서, 한국은 우선 동북아 지역에서 대다수 주변국들과의 관계를 강화하고 있으며, 불신과 대립의 구도를 신뢰와 협력의 상생 구도로 전환시키고자 동북아 평화협력 구상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아울러 한국은 유라시아 대륙에 있는 우리의 파트너들과 협력하기 위해, 유라시아 이니셔티브도 꾸준히 추진하고 있습니다. 이는 통일 과정은 물론 통일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추진될 수 있는 국가 대전략이기도 합니다.

남쪽으로는 아세안을 대상으로 전략적 동반자 관계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나아가, 중남미, 중동, 아프리카 지역의 주요 파트너 및 지역 협력체와의 전략대화도 추진하고 있습니다. 한국과 가치를 공유하고 있는 선진 중견국 5개국으로 구성된 MIKTA라는 새로운 협력 메카니즘 창설 또한 이러한 노력의 결과입니다.

궁극적으로 통일로 향하는 여정이 멀고 험할 것이라는 점을 우리는 잘 알고 있습니다. 특히, 북한의 핵개발은 통일을 향한 우리의 여정에 가장 큰 장애물이 되고 있습니다. 현재로서는 북한의 4차 핵실험을 저지하기 위한 국제적 공조 외교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아울러, 북한의 완전하고, 검증가능한 그리고 되돌릴 수 없는 비핵화를 위해 필요한 여건을 조성하고자 핵심 국가들과 긴밀하게 협력하고 있습니다.

내외 귀빈 여러분,
서두에 말씀드린 바와 같이 지난주 본인은 미얀마를 방문하였습니다. 장기간 은둔과 고립을 택했던 미얀마와 같은 국가조차 일련의 개혁과 자유화라는 소위 ‘미얀마의 길’을 걷고 있습니다.

2011년부터 미얀마는 정치적 자유를 확대하고 핵시설에 IAEA의 사찰을 수용했습니다. 양곤과 현재의 수도인 네피도의 거리에는 서양 방문객들이 넘쳐나고 있습니다. 국제사회는 미얀마의 새로운 여정에 큰 성원을 보내고 있습니다.

이제 북한도 미얀마나 베트남과 같은 길을 선택할 때입니다. 북한이 이와 같은 전략적 선택을 빨리 하면 할수록, 더 나은 결과를 갖게 것입니다. 역사적으로 보면 과거 EU 탄생과 발전, 미국과 중국의 수교 이후의 관계 발전, 이집트와 이스라엘의 평화협정 체결 등 전략적 결정을 통해 국가의 운명이 전환되었던 많은 사례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국제관계 이론 중 하나인 구성주의를 차치하더라도, 아인슈타인은 “상상(imagination)은 미래를 미리 보여주는 것(preview)이다”라고 말한바 있습니다. 우리가 생각하는 비전이 곧 현실이 되고, 미래인 것입니다. 역사의 여정에서 그 방향을 결정짓는 것은 바로 우리의 의지와 결단이기 때문입니다.

내외 귀빈 여러분,
한국민들에게 6월은 동족상잔의 6․25전쟁이 발발한 아픈 기억이 생생한 때이기도 합니다. 한국은 전쟁의 참화를 딛고 지난 반세기 동안 세계사에서 그 유례를 찾기 어려울 만큼 빠른 속도로 민주화와 경제발전을 공히 이뤄냈습니다.

과거 여정속에서 많은 고난과 어려움을 성공적으로 극복해 왔듯이, 앞으로도 한국은 흔들림 없이 통일을 향한 여정을 계속해 나갈 것입니다.

본인은 민주적이고 번영된 통일 한반도가 평화, 번영 그리고 인간의 존엄을 동아시아는 물론, 그 이원으로 확산하는데 기여할 것이라고 확신합니다. “새로운 한반도, 새로운 아시아”로 나아가는 우리의 여정에 여러분들의 조언과 지지를 기원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