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연설문

제5회 아시안 리더쉽 초청 만찬 기조연설(3.3)

작성일
2014-03-03 20:28:00
조회수
5770

Keynote Speech
by H.E. Yun Byung-se
Minister of Foreign Affairs

2014 Asian Leadership Conference
March 3, 2014


Prime Minister De Maiziere (드메지에르),
Chairman Bang Sang-hoon (방상훈),
The Honorable Choi Kyung-hwan (최경환),
The Honorable Chun Byung-hun (전병헌),
Chairman Jim Rogers,
Excellencies, and
Distinguished Guests,

As was pointed out by many speakers today, this year marks the 25th anniversary of the fall of the Berlin Wall, and next year will mark the 70th anniversary of the division of the Korean Peninsula.

During this time, Germany has achieved political unification and is now nearing the completion of social and economic integration. It has become an integral part of Europe and a leading member of G-8 that contributes to the regional and global peace.

In contrast, 75 million Koreans are still living under the longest lasting armistice in history, that is neither war nor peace. As was clear from last week’s reunion of separated families, we haven’t even institutionalized the regular meetings among families, one of the most basic humanitarian issues between the two Koreas.

Furthermore, North Korea’s ongoing nuclear weapons development continues to present a grave threat to the peace and security of not only Northeast Asia, but the entire world.

Looking beyond the Peninsula, despite the accelerated economic interdependence, conflicts over history, territory, maritime security are heightening the political and security tensions in the region.

For the past 2 decades, we spoke of the dawn of the Asian Century. But what we are witnessing now is the growing Asian paradox.

Against such a turbulent geopolitical landscape, this conference organized under the theme of “One Korea, New Asia” is very timely and more than appropriate.

Taking this opportunity, I wish to welcome all participants from around the world for coming to Korea, and thank Chairman Bang Sang-hoon and Chosun Ilbo for organizing this important forum.

Ladies and Gentlemen,

They say that history is a mirror to the future. Although I may not always agree with the thesis that history repeats itself, but certainly history gives us ample insights.

40 years ago around this time, leaders of the US and China surprised the world with the announcement of the Shanghai Communique and ushered in an era of détente.

Both Koreas lost no time in adapting to this dramatic shift in global geopolitics and soon announced July 4 South-North Joint Statement. This was followed by June 23 Declaration on Peaceful Reunification that ended my country’s version of the Hallstein principle. I don’t need to delve into what a drastic shift of paradigm they were.

Since then, China embraced reform and liberalization to become an integral part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 developing into the so-called G-2, while Korea’s efforts to bring about détente on the Korean Peninsula was short lived.

20 years ago, the end of the Cold War symbolized by the fall of the Berlin Wall and the reunification of Germany brought about another round of historical transformation in the Asian and the global order. Korea once again pursued rapprochement with the North, giving birth to the South-North Basic Agreement and the Joint Declaration on the Denucleariz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Furthermore, Korea’s Nordpolitik significantly broadened its diplomatic horizon, reaching deeply into the former Soviet bloc and China.

Unfortunately, despite the continued success of Nordpolitik, North Korea continued to remain a missing link in the global wave of changes. Instead, it refused to abide by international obligations it accepted and opted to follow the path of nuclear weapons development. The nuclear crisis on the Korean Peninsula escalated and the inter-Korean relations again entered the phase of mistrust and confrontation.

Today, after the two decades of the end of the Cold War, we are in the middle of yet another geopolitical shift. In North Korea, as symbolized by the brutal execution of Jang Sung-taek (장성택), de-factor number 2 man in North Korea, the regime’s uncertainty and unpredictability has reached a new height and its nuclear capability has become more sophisticated.

In Northeast Asia, prolonged conflicts over territory and destructive historical revisionism of certain politicial leaders undermining the post-war global order in Asia. I call this the third round of tectonic shift.

Under such circumstances, the message to the people of Korea is clear. We cannot let the Korean Peninsula swept away again by the turbulent tides of history. Instead, we are called upon to overcome this tide wisely and play an active role in creating a new order in Asia and the world.

Ladies and Gentlemen,

The Park Geun-hye government came into office under such difficult circumstances. In Chinese, the word for “crisis” is composed of two characters – “danger” and “opportunity.” In other words, a crisis can also be an opportunity in disguise. What turns a crisis into an opportunity is how one reads through the shifting tides of the time and stands ready to deal with the crisis.

President Park Geun-hye presented a series of policy initiatives aimed at transforming the vicious cycle of mistrust and confrontation to the virtuous cycle of trust and cooperation, paving the way toward a new Korea and a new Asia.

Based on trustpolitik, my government strengthened relations with its neighbors. In other words, Korea upgraded its alliance with the United States and deepened the strategic partnership with China and Russia.

In order to build confidence and promote common prosperity, my government took several initiatives such as what we call the Trust-Process on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Northeast Asia Peace and Cooperation Initiative. The announcement of the Eurasian Initiative late last year is another endeavor to expand the width of its diplomatic reach to Eurasia.

As the German reunification was closely linked to the European peace and integration, the issues surrounding the Korean Peninsula are also inextricably related to the peace and prosperity in Northeast Asia. As such, Korea is now seeking to create an international environment conducive to the peaceful unification of the peninsula, through building a strong network of trust among regional partners.

President Park Geun-hye’s declaration of “unification bonanza” is a corollary of such a broad vision and strategy. This government, from its inception, presented the happiness of all residents of the Korean Peninsula as one of the core prinicples of its foregin policy. In fact, it was a part of President Park’s vision for unification.

As President Park Geun-hye said in her speech this morning, “unification bonanza” is an expression of values such as peace, liberty, human rights, and prosperity that the unified Korea will embody. Furthermore, it is an expression of her will to pursue common prosperity and cooperation not only in the Korean Peninsula but also in Asia, and contribute to building a new future of the world.

Many tend to think that the fall of the Berlin Wall and the subsequent German reunification came all of a sudden. However, as the German Chancellor Helmut Kohl remarked, “without the foundation laid 15 years ago for a peaceful order encompassing the whole of Europe, it would not have been possible to accomplish German unity,” the German unification was a result of years of preparation, to turn the pain of division to the joy of reunification.

Whereas the German reunification took place within the half century of division, Korea remains divided for nearly 70 years. We will not leave the legacy of the divided country to another generation.

Ladies and Gentlemen,

In her March 1st Address made 2 days ago, President Park Geun-hye laid out her vision of a unified Korea as being “the heart of peace connecting Eurasia and Northeast Asia.” “In a peaceful and unified Korea,” she said, “Northeast Asian countries will be able to find new opportunities for growth.”

Yes. The unified Korea will be a peace generator. The unified Korea will be free of nuclear weapons and free of provocations. The unified Korea will forge a network of friendly and cooperative relations with its neighbors. To paraphrase Chancellor Kohl’s remarks, who said, “only peace will come from the German soil,” Only peace will come from the Korean Peninsula.

Next, the unified Korea will be a facilitator for regional stability. The unification will put an end to decades-long North Korean nuclear issue. The unified Korea will fend off the potential nuclear arms race in the region. It will not infringe on the security interests of its neighbors. It will expedite regional security cooperation, and promote universal values such as human rights and democracy. Peace and stability of Northeast Asia will be tightly anchored to the Korean Peninsula.

Finally, the unified Korea will be a new growth engine. The creation of 80-million large market in the Korean Peninsula will present new opportunities to its neighbors. The economy of unified Korea by 2030 will rival that of France, Germany, or Japan, according to Goldman Sachs. The value of unified Korea as an investment destination will grow exponentially, according to Chairman Jim Rogers.

The unification will connect Korea that remains as a virtual island back to the Eurasian continent. It will bridge the Pacific Ocean with Eurasia, making possible a network of logistics and transportation across the entire Eurasian continent. Like the blood circulating throughout a healthy body, people and goods will circulate throughout Eurasia.

As the German reunification was a critical turning point in the process of making a new Europe, the Korean unification will bring final closure to the last remnents of the Cold War and open a new chapter in history. As the unified Germany became the building block of European integration and prosperity at the western end of the Eurasia, the unified Korea will play the similar role at the eastern end of the Eurasia. It will usher in an era of Asian prosperity and the greater Eurasian integration and prosperity.

Ladies and Gentlemen,

The fragile peace we have had for the past 70 years is not durable. What the Park Geun-hye government is seeking is to build a genuine peace and to usher in an era of unification.

To make this into a reality, first, we will continue our efforts to build sustainable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We will strengthen cooperation with the international community so as to deter and prevent North Korea’s reckless provocations.

Our top priority will remain the resolution of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 (North Korea has broken its own commitments with the international community, simultaneously pursuing nuclear weapons and economic development and enhancing its nuclear capability.)

North Korea’s nuclear capability is in fact a clear and present danger, far more serious than the Iranian nuclear problem. We will pursue all possible means with sense of urgency to resolve the North Korean nuclear problem in a complete, verifiable, and irreversable manner.

Second, we will seek more actively to induce North Korea to change. From the Middle East to Myanmar, the world is witnessing the wave of change. North Korea cannot be free from such change. Change of North Korea is at the heart of building substantive peace.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of North Koreans, is a pressing humanitarian concern which requires our assistance.

Finally, we will endeavor to create an environment which a unified Korea will be regarded as blessing. Views that were negative to the idea of unification or preferring status-quo instead are now changing. We are making efforts to remind that the unification will be of benefit, not burden to the neighbors of the Korean Peninsula.

Ladies and Gentlemen,

President Bush, who participated in this year’s conference, made a historic visit to DMZ during his visit to Korea 12 years ago. On that occasion, he left a signature on a railroad tie with words “May this railroad unite Korean families.” Today, this railroad tie is being kept at Railroad Museum, waiting for the day when the rail track to North Korea will be reconnected, and this railroad tie will be placed at the end of the Southern track.

Mahatma Ghandi once said, “the future depends on what we do in the present.” If we do not wait for changes but make changes, the day that President Bush’s railroad tie is put to use will come sooner than later.

Nearly a century ago, our ancestors, unable to see clearly through the shifting tides of global politics experienced the unspeakable pain of losing their homeland. That pain continues to this day.

Today, Korea is endeavoring to realize a unified Korea in which all residents are happy and blessed by the global community. I wish to count on you to be our partner in making one Korea, a new Asia, and a better World.

In this journey toward a new kind of Korea and a new kind of Asia, I hope we can share the joy of being present at creation together.

Thank you very much.


---------------------------------------------------------------------------------


「아시안 리더십 컨퍼런스」외교장관 만찬 기조 연설

(비공식 번역문)

드 메지에르 전 총리님
방상훈 사장님
최경환 원내대표님, 전병헌 원내대표님
짐 로저스 회장님
그리고, 내외 귀빈 여러분

오늘 오전 박근혜 대통령을 포함한 기조연설자분들이 이미 지적하신 것처럼, 금년은 베를린 장벽 붕괴 25주년이 되는 해이자, 한반도 분단 70년을 앞두고 있는 해입니다.

독일은 정치적 통일을 넘어 사회.경제적 통합까지 거의 완성해 가고 있습니다. 유럽의 중심국가이자 G-8의 일원으로서, 역내 및 국제평화에 기여하는 모범국가로 도약했습니다.

반면, 7천5백만 한국민들은 아직도 전쟁도 평화도 아닌,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휴전 체제 아래 살고 있습니다. 지난 주 남북 이산가족 상봉 행사에서 보듯이, 가장 인도적 사안인 혈육간의 만남조차도 정례화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북한의 핵 개발 지속은 동북아를 넘어 세계의 평화와 안보에 커다란 위협을 제기하고 있습니다.

한반도 밖으로 눈을 돌리면, 그간 급속히 진행되어온 경제적 상호의존에도 불구하고 역사, 영토, 해양안보 등을 둘러싼 갈등으로 인해 정치.안보적 긴장이 고조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지난 20 여년간 우리는 아시아 세기의 도래를 말해 왔습니다만, 지금 우리가 보고 있는 것은 이와 같은 아시아 패러독스의 심화뿐입니다.

이와 같은 한반도와 아시아의 역사적 전환기에, "One Korea, New Asia"라는 주제 하에, 통합된 한반도가 어떻게 새로운 아시아 구현에 기여할 수 있는가를 논의하는 것은 매우 시의적절하고 정책적 함의가 크다고 생각합니다. 이 기회를 빌어, 이렇게 뜻 깊은 자리를 마련해 주신 방상훈 사장님과 조선일보사측에 감사드리며, 아울러 전 세계로부터 오신 각계 지도자 여러분들께도 따스한 환영의 말씀을 드립니다.

내외 귀빈 여러분,

흔히 역사는 현재의 토대이고 미래의 거울이라고 합니다. 역사가 반복된다는 주장에 항상 동의하는 것은 아니지만, 역사는 우리에게 늘 많은 시사점을 주고 있습니다.

40년전 바로 이맘때 쯤, 미국과 중국의 지도자들은 상해 공동성명을 발표하여 세계를 놀라게 했고, 이는 데탕트 시대를 열었습니다. 이러한 급격한 정세 변화에 부응하여 남북한도 7.4 공동성명을 발표하였고, 한국은 한국판 할슈타인 원칙을 포기하는 평화통일 외교정책에 관한 특별성명(6.23 선언)을 발표했습니다. 당시의 여건으로 보더라도 이러한 조치가 얼마나 커다란 발상의 전환이었는지는 굳이 설명을 요하지 않습니다. 이후 중국은 과감한 개혁.개방 정책을 통해 국제사회에 통합되고 오늘날 이른바 G-2로 성장한 반면, 당시 한반도 해빙 무드는 단명에 그치고 말았습니다.

지금으로부터 20년 전, 베를린 장벽의 붕괴와 분단 독일의 통일로 상징되는 냉전의 종식은 아시아와 전세계 정세에 또 다른 역사적 변화를 가져왔습니다. 한국 정부는 다시 한번 대북 화해정책을 시도하였고, 남북 기본합의서와 비핵화공동선언에 합의하였습니다. 아울러, 한국의 성공적인 북방외교는 구소련권 국가, 그리고 중국과의 수교라는 성과를 거두었습니다. 그러나, 북방외교의 지속적인 성공과는 달리, 남북 관계는 또 다시 불신과 대립의 길로 들어섰습니다. 북한은 국제적 의무 이행을 거부하고 핵 개발을 계속 추구함으로써 한반도 핵위기는 가속화되고 국제사회로부터 더욱 고립되었습니다.

20년이 지난 오늘날, 한반도와 동북아에 또 다시 커다란 지각변동이 일어나고 있습니다. 장성택의 처형으로 상징되듯이 북한 내부 정세의 불확실성이 심화되고, 북한은 핵 능력을 더욱 고도화하고 있습니다. 오랜 영토 갈등과 역내 일부 정치 지도자들의 파괴적인 역사 부정주의 내지 수정주의적 언동으로 인해, 전후 아시아의 국제질서가 다시 한번 커다란 도전을 맞고 있습니다. 저는 이것을 제3의 지각변동이라고 부르고 있습니다.
이와 같은 상황이 한국민에게 주는 메세지는 분명합니다. 한반도가 역사의 격랑에 휩쓸리는 것이 아니라, 이를 지혜롭게 극복하고 아시아와 세계의 새로운 질서를 만드는데 능동적인 역할을 하는 것입니다.

내외 귀빈 여러분,

박근혜 정부는 이렇듯 엄중한 외교안보 환경 속에서 출범하였습니다. 그러나, 한자어 危機가 말해주듯이, 위기에는 위험과 기회가 항상 혼재합니다. 위험을 기회로 바꿀수 있을지 여부는 시대의 흐름을 제대로 읽고 준비하느냐에 달려 있습니다.

박근혜 정부는 한반도와 이 지역에서의 대립과 갈등의 악순환 구도를 지속가능한 평화와 협력의 선순환 구도로 대체하여, 새로운 한반도, 새로운 아시아를 만들기 위한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신뢰외교의 기조하에, 주변 핵심국들 과의 관계를 대폭 강화하였습니다. 미국과의 동맹을 업그레이드하고, 중국 및 러시아와는 전략적 동반자 관계를 심화하였습니다. 한반도와 동북아에서 신뢰를 구축하고 공동 번영을 도모하기 위해, 한반도신뢰프로세스와 동북아평화협력구상을 추진하고, 최근에는 그 범위를 유라시아까지 확대하는 유라시아이니셔티브를 발표하였습니다. 이는 독일 통일이 유럽의 평화 및 통합과 불가분의 관계에 있는 것처럼, 한반도에서의 지속가능한 평화와 통일을 이루는데 있어 주변국 및 역내국들과의 신뢰를 강화하여 평화 통일에 유리한 국제환경을 조성하고자 하는 것입니다.
박근혜 대통령의 통일 대박론은 바로 이러한 정책적 구상의 연장선상에 있습니다. 이미 박근혜 정부는 출범 당시부터, 한반도 구성원 모두의 행복을 달성하는 것을 대북정책과 대외정책의 핵심기조로 천명하였는데, 이는 바로 통일의 비전을 강조한 것이기도 합니다.

이러한 맥락에서, 오늘 아침, 박 대통령이 금번 컨퍼런스 축사에서 밝히신 것처럼, 통일 대박론에는 한반도에서의 평화와 자유, 인권은 물론 번영의 가치가 모두 함축되어 있습니다. 또한, 한반도에서 뿐 아니라, 아시아의 공동 번영과 협력을 견인하고 더 나아가 세계의 새로운 미래를 만드는데 기여하겠다는 의지의 표현입니다.

흔히 베를린 장벽의 붕괴와 독일통일을 갑자기 일어난 사건처럼 보려는 경향도 없지 않습니다. 그러나,“만약 15년 전 유럽 전체를 아우르는 평화적 질서의 기초를 세우지 않았더라면 오늘날 독일 통일은 없었을 것”이라는 콜 전 수상의 회고와 같이, 독일 통일은 분단의 고통을 축복으로 바꿀수 있도록 오랜 기간에 걸쳐 준비한 노력의 결과입니다. 독일은 반세기만에 통일을 성취했으나, 한반도의 분단은 70년이 되어가고 있습니다. 우리는 이제 더 이상 이 분단의 유산을 또 다른 세대에 물려주지 않고자 합니다.

내외 귀빈 여러분,


박 대통령은 3.1절 기념사에서“통일된 한반도는 유라시아와 동북아를 연결하는 평화의 심장이 될 것이며, 동북아 국가들은 평화롭고 통일된 한반도에서 새로운 경제성장의 기회를 찾게 될 것”이라는 비전을 밝혔습니다.

그렇습니다. 우선, 통일 한반도는 평화의 발신지가 될 것입니다. 통일 한반도는 핵 없는 한반도, 도발이 없는 한반도, 모든 주변 국가들과 우호협력 관계를 맺는 한반도가 될 것입니다. 여기 계신 드 메지에르 총리님과 함께 독일 통일을 이루어 내신 콜 총리께서 통일 독일로 부터는 오직 평화만이 흘러나올 것이라고 말씀하신 바와 같이, 통일 이후 한반도로부터도 오직 평화만이 흘러나올 것입니다.

다음으로, 통일 한반도는 역내 안정의 촉진제가 될 것입니다. 한반도 통일은 수 십년간 역내 안정을 위협해온 북핵 문제를 해결하게 될 것입니다. 핵무기 없는 한반도는 잠재적인 역내 핵무기 경쟁을 중단시키는데 기여하게 될 것입니다. 통일 한반도는 주변국들의 안보 이익을 저해하지 않고, 역내 안보협력을 촉진시킬 것이며, 나아가 인권과 민주주의 등 보편적 가치를 확산시킴으로써, 평화와 안정의 기반을 더욱 단단히 할 것입니다.

마지막으로, 통일 한국은 역내 성장의 견인차가 될 것입니다. 인구 8천만을 가진 통일 한반도 경제권의 등장은 주변국들에게도 새로운 기회를 안겨 줄 것입니다. 골드만 삭스는 통일 한반도가 2030년 경에는 프랑스, 독일, 일본에 버금가는 경제규모를 갖추게 될 것이라고 예측하고 있습니다. 이 자리에 계신 짐 로저스 회장께서 전망하신 바와 같이, 통일 한국의 투자 가치는 즉각 상승할 것입니다. 통일은 그간 북한으로 인하여 고립된 섬과 같았던 한국을 유라시아 대륙에 연결함으로써, 마치 새로운 피가 혈관에 돌듯이, 유라시아를 하나로 묶어줄 물류ㆍ교통 네트워크의 완성을 촉진할 것입니다. 이를 통해 시장을 확대하고 역내 통합을 촉진시킬 것입니다.

독일의 통일이 새로운 유럽을 만드는데 결정적인 전환점이 되었듯이, 통일 한국도 냉전의 마지막 잔재를 청산하고 새로운 아시아를 만들어 가는 역사적 전환점이 될 것입니다. 유라시아 대륙의 서쪽 끝에서 독일이 통일을 통해 유럽의 통합과 번영을 선도했듯이, 유라시아 대륙의 동쪽 끝에서 통일 한국은 아시아의 통합과 번영을 촉진해 나갈 것입니다.

내외 귀빈 여러분,

지난 70년간 한반도에는 언제 깨질지 모르는 취약한 평화가 지속되어 왔습니다. 이제, 박근혜 정부는 통일 시대를 열어나감으로써 한반도에 진정한 평화를 구축하고자 합니다.

이를 위해, 첫째, 한반도에 지속가능한 평화를 정착시켜 나갈 것입니다. 북한의 무모한 도발이 더 이상 통하지 않도록 국제사회와 함께 공조를 강화할 것입니다. 또한, 북핵 문제 해결에 최우선 순위를 둘 것입니다. 북한은 핵.경제 개발 병진 노선을 고집하면서, 스스로 한 국제적 약속을 어기고 이미 3차례의 핵실험을 실시하는 등 핵능력을 고도화하고 있습니다. 북핵 문제는 이미 분명하고 현존하는 위협이 되고 있으며, 이란 핵 문제보다훨씬 심각하다고 봅니다. 북핵 문제가 검증가능하고 돌이킬 수 없는 방식으로 완전히 해결될 수 있도록 국제사회와 함께 모든 수단을 강구할 것입니다.

둘째, 북한의 변화를 적극적으로 유도해 나갈 것입니다. 중동에서 미얀마에 이르기까지 전 세계가 변화하고 있습니다. 북한도 변화의 조류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습니다. 북한의 변화야말로 실질적인 평화 정착의 핵심입니다. 박근혜 정부는 북한의 변화를 유도해 내기 위해 국제사회와 긴밀히 협조해 나갈 것이며, 그 과정에서 북한 주민들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대북 인도적 지원도 꾸준히 시행해 나갈 것입니다.

셋째, 한반도의 통일이 국제사회로부터 축복받을 수 있는 환경을 적극 조성해 나갈 것입니다. 그간 통일에 대해 부정적이거나 현상 유지를 바라는 시각도 많이 바뀌고 있습니다. 한반도의 통일이 주변국들에게 부담이 아니라, 해택이 될 것이라는 인식을 확산시킬 것입니다.

내외 귀빈 여러분,

금번 컨퍼런스에 참석하신 부시 대통령께서 12년전 방한 당시, DMZ 최전방에서 통일이 되면 남북을 이어줄 철로 침목에 문구를 남기셨습니다. "이 철로가 한국의 가족들을 재결합해 주기를". 그 침목은 철도박물관에 보관되어 있으며, 후일 철로가 연결될 때, 남측 철로의 마지막 침목으로 사용될 것입니다.

마하트마 간디가 "The future depends on what we do in the present"라고 말했던 것처럼, 우리가 변화를 기다리지 않고 변화를 만들어 간다면, 부시 대통령의 침목이 DMZ 철로에 놓이는 날이 빨리 올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100여년전 우리 선조들은 국제정세를 정확히 보지 못하고 주권을 빼앗기는 망국의 한을 겪었고, 이후 한국민은 분단 시대의 아픔을 견디며 살았습니다. 이제 대한민국은 국제사회의 축복을 받는 한반도 통일 시대를 열어 가고자 합니다. 하나된 한반도가 새로운 아시아, 더 나은 세계를 만드는 역사적 과정에 참여하는(present at creation) 기쁨을 함께 하시기를 기대합니다.

감사합니다.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