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연설문

제68회 유엔의 날 기조연설(10.24)

작성일
2013-10-24 16:55:00
조회수
5558

                 
                                               Keynote Speech

                                            by H.E. Yun Byung-se 
                         Minister of Foreign Affairs, Republic of Korea 

                           Luncheon on the Occasion of the UN Day
                             hosted by the UN Association of Korea 
                                              October 24, 2013


Ambassador Lee Ho-jin, Vice President of UNA-Korea,
Ambassador Park Soo-gil, President of WFUNA,
Distinguished members of the UN Association of Korea,
Excellencies, Ladies and Gentlemen,

Let me first convey to you my heartfelt congratulations on the 68th United Nations Day.

It is with special sense of emotion that I stand before you today, on the day that commemorates the noble causes and values that the UN stands for.

I remember those many sleepless nights and days 23 years ago, working tirelessly as Counselor at then Korea’s Observer Mission to the UN, to gain Korea’s entry into the UN; and specifically the day September 17, 1991, when the national flag of the Republic of Korea was first hoisted in front of the UN Headquarters. At this moment, it is as if the emotions of those days are vividly coming back to me.

And then, just a month ago, I attended the 68th UN General Assembly to deliver a keynote address as the Foreign Minister of Korea’s new government. Being back in the General Assembly Hall for the first time in 22 years, I was reminded of former Minister Lee Sang-ock’s historic speech before that august hall on the occasion of Korea’s admission to the UN, which I drafted.

After all, it took decades of efforts to move a distance of just a few meters from the observer’s seat to the member’s seat. Since then, 22 years have passed.

Leaving the hall after concluding my keynote address, the faces of former senior colleagues who worked selflessly for that historic task flashed before my eyes. Among them are Ambassador Park Ssang-yong and Ambassador Park Soo-gil who are here with us today.

As you are aware, Korea’s admission to the UN is the result of the sacrifices, wisdom, and strategic foresights of many people which triumphed over some very unfavorable circumstances. You, the members of the UN Associa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UNA-Korea) were behind all these noble endeavor and the witnesses in that chapter of history.

This year marks the 66th anniversary of UNA-Korea. Without exaggeration, Korea’s active participation in the UN today would not be possible without the unceasing support from UNA-Korea.

Taking this opportunity, I would like to express my utmost respect and gratitude to all those who have contributed to Korea’s triumphant admission and the subsequent achievements in the UN system.
Ladies and Gentlemen,

Last September, I had an absolutely crazy schedule in New York for UNGA. And as I lived through such a hectic schedule, I could feel firsthand the desire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to see more participation and a greater contribution from Korea. I could feel the sights of the world set on Korea, expecting to see a greater role undertaken.

In my view, what underlies these expectations is the international community’s trust with regard to Korea’s enhanced capability and role. Of course, the warm attention and strong support from Secretary General Ban Ki-moon, whose video message we have just seen, are always great encouragement to us. I would like to convey my sincere appreciation to Secretary General Ban.

During this year’s UNGA, I participated in the Ministerial Meeting of the Security Council, as well as High-level Meeting on Development in addition to delivering the keynote address to the General Assembly.

The message that I intended to convey was clear – the foreign policy of the new government in Korea places high importance on pursuing the “happiness of the global community” beyond that of the Korean Peninsula. This policy stems from our vision and philosophy that the happiness of our people cannot be attained separately from the happiness of the entire global community. In the same vein, the peace and stability of the Korean Peninsula are inseparable from those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From my stand point, such policy vision emanates from the following historical and policy related rationale.

To begin with, the Republic of Korea was founded with help from the UN. It repelled North Korea’s aggression thanks to the noble sacrifices of the UN forces. And its remarkable success in the course of national development was made possible with help from the UN and the international community.

Such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Korea and the UN has led the foreign policy of successive governments in Korea to always regard Korea’s contribution to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s one of its core objectives.

As you know, this year marks the 60th anniversary of the Korean War Armistice. I would like to take this opportunity to express my deepest tribute to the UN forces who sacrificed their lives fighting for the freedom and democracy of Korea. My appreciation also goes to all the ‘Blue Helmets’ who, even at this moment, are standing guard in the defense of peace and democracy.

Secondly, as former Secretary General Kofi Annan once likened to the “butterfly effect,” the world as a whole is interconnected in an inseparable way. Today, multitudes of problems created in the world are increasingly beyond the reach of a single country – thus, an era of globalization.

Global issues require global efforts. Therefore, more than any time in the past, there is a keen interest in a multilateral approach with the UN at the center.

In this time when the paradigm of international politics is gradually shifting from a previously state-focused approach to a citizens-, or people-focused approach, the basis of the Korean foreign policy – the happiness of the global community – is in line and in excellent harmony with the UN’s vision as outlined in “In Larger Freedom.”

Finally, as can be seen with the adoption of a series of Security Council resolutions condemning North Korea’s pursuit of nuclear development, there is a growing expectation that the UN play a pivotal role in the resolution of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 in securing lasting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and ultimately in the reunification of the two Koreas.

Against this background, the Park Geun-hye government came to power, and evidently its policy on global governance, including the UN, was incorporated as one of the three major pillars of Korea’s overall foreign policy – policy towards North Korea and policy towards major partners and regions being the other two.

Having said that, now I would like to turn to the details of the Park Geun-hye government’s policy towards the UN.

Ladies and Gentlemen,

Although Korea joined the UN as a late comer, Korea has been an active contributor in various UN activities. As we speak, “Hanvit” Unit in South Sudan and “Dongmyeong” Unit in Lebanon are diligently carrying out their peacekeeping missions. In addition, Korea is serving as a member of three major organs of the UN – the Security Council, Human Rights Council and Economic and Social Council (ECOSOC). Furthermore, Korea is the 13th largest financial contributor to the UN.

The Park Geun-hye government seeks to enhance cooperation with the UN, by upholding the values of peace and security, human rights, and development cooperation, among other things.

First, Korea will actively participate in the efforts to preserve peace and security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In particular, Korea places highest priority on the non-proliferation of weapons of mass destruction (WMD) and their means of delivery, as they represent the most serious threats to international peace and security.

Korea condemned the use of chemical weapons in Syria in the strongest possible terms and will actively join the UN and OPCW’s efforts in eliminating the chemical weapons in Syria. Furthermore, Korea strongly supports the UN and the international community’s efforts to resolve Iranian nuclear issue.

In this vein, the task of stopping North Korea from developing nuclear weapons and dismantling all its nuclear weapons programs are the most immediate challenges faced by Korea and the international community. North Korea’s insistence on claiming the status of a nuclear weapon state and pursuit of a nuclear weapons program along with economic development despite numerous Security Council resolutions prohibiting it from pursuing such a course of action are a direct challenge to the authority of the UN, which cannot be accepted.

North Korea must realize that it cannot win over the will of the entire international community and must choose the path towards genuine change. North Korea should reflect on the choice made by the Syrian regime to give up its chemical weapons when faced with resolute decisions of the UN and OPCW, and must make a similar strategic choice.

Second, Korea will make meaningful contributions for the promotion of human rights as universal values of the mankind. With the end of the Cold War, the instances of inter-state conflict decreased while the instances of intra-state conflict increased. In Rwanda, the Balkans, and most recently in Syria, humanitarian crises and violations of human rights are continuing. Issues of humanitarian and human rights concerns are basic responsibilities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that should not be neglected.

Korea attaches particular importance to human rights issues given our situation regarding human rights in North Korea, separated families in the two Koreas, and North Korean asylum seekers abroad.

Furthermore, Korea regards the issue of sexual violence in conflict as one of the most severe forms of human rights violations, calling for the international community to uphold justice regardless of the circumstances in this or the past centuries. In this regard, Korea is participating in the global efforts to fight against sexual violence as one of the champions of the newly launched Preventing Sexual Violence Initiative (PSVI).

Third, addressing the challenges of under-development and extreme poverty is another priority of Korea. Eradicating poverty is at the core of the Millennium Development Goals (MDGs). Although the issue of absolute poverty has been addressed to some degree due to the efforts by many governments around the world, poverty is still the issue that attracts the most attention from the UN.

In this regard, at the 4th High-Level Forum on Aid Effectiveness in Busan, Korea adopted the Busan Global Partnership, presenting new possibilities in the field of development aid. In addition, Korea wishes to contribute to the UN’s newest endeavors under the theme of the Post-2015 Development Agenda by pursuing recipient-oriented development cooperation policy.

Finally, Korea will pro-actively address global challenges that require global responses. As new problems arise which cannot be addressed by a single state, such as climate change and environment, non-proliferation of WMD, nuclear security and safety, cyber-security, counter-terrorism, natural disasters, and epidemics, Korea will seek to muster global responses to address them.

In this vein, Korea is increasingly taking on an active role in addressing these new global challenges. Those efforts include the establishment of the GGGI, hosting of the GCF Secretariat, convening of the 2010 G20 Summit, 2013 Seoul Conference on Cyberspace, and 2014 ITU Plenipotentiary Conference. Using its unique leadership as a bridge between developed and developing countries, Korea will continue to play a meaningful role in shaping international norms and order on these emerging global issues.

As a part of such efforts, on the sidelines of UNGA, Korea launched the first-ever middle-power consultation mechanism – called MIKTA – in partnership with Mexico, Indonesia, Turkey and Australia, supplementing Korea’s multilateral diplomacy at the UN.

Furthermore, at last week’s Seoul Conference on Cyberspace, I, as the chair of the conference annoucned the Seoul framework and commitments, paving the way for full fledged discussion on global rules to govern the cyberspace, the unexplored new world for all mankind.

As you can see, Korea is expanding its diplomatic horizon, dealing with a larger scope of global issues.

Ladies and Gentlemen,

22 years ago, upon its admission to the UN as a full member, Korea solemnly declared that it would fulfill its commitment to respect the responsibilities and duties enshrined in the UN Charter.

Since then, Korea has kept its promise and will shoulder the burden of fulfilling the core values of the UN that the mankind fully enjoys “In Larger Freedom.”

In this noble endeavor, I ask for continuous support and encouragement from the members of UNA-ROK and all those who hold the United Nations dear to their hearts.

Thank you very much.



---------------------------------------------------------------------------------(비공식 번역)


                              
                                    제68회「유엔의 날」기념식 기조연설문


이호진 유엔한국협회 부회장님,
박수길 유엔협회 세계연맹 회장님,
유엔한국협회 회원 여러분,
주한 외교사절 및 내외귀빈 여러분,

제68회 유엔의 날을 진심으로 축하합니다. 유엔이 지향하는 고귀한 목표와 가치를 되새기는 오늘 이 자리에 서고 보니, 개인적으로도 감회가 각별합니다. 23년 전 주유엔 옵저버 상주대표부 참사관으로서 우리의 UN 가입을 위해 밤잠을 잊고 열정을 태우던 나날들, 그리고 1991년 9월 17일 유엔본부 앞 국기게양대에서 태극기가 게양되던 그 순간의 감격이 지금 다시 살아 전해오는 듯합니다.

바로 한 달 전, 본인은 제68차 유엔총회에 한국 신정부의 외교장관 자격으로 참석하여 기조연설을 시행하였습니다. 22년 만에 그 역사의 현장에서 당시 참사관으로서 본인이 작성했던 이상옥 전 외무부 장관님의 역사적인 신규 유엔회원 가입 연설이 떠올랐습니다. 옵저버 자리에서 정회원 자리까지 불과 몇 미터도 안 되는 거리를 이동하기 위해 수십 년간 각고의 노력을 기울인 사실이 떠올랐습니다. 그로부터도 22년이 지났습니다.

기조연설을 마치고 회의장에서 나오면서, 당시 역사적인 과업을 달성하기 위해 헌신적으로 일했던 선후배 그리고 동료 외교관들의 얼굴이 주마등처럼 스쳐갔습니다. 오늘 그 주역이셨던 박쌍용 대사님과 박수길 대사님이 자리를 함께 하고 계십니다.

주지하시다시피 우리의 유엔 가입은 당시의 척박한 환경을 극복한 많은 분들의 헌신과 지혜 그리고 전략적인 혜안의 산물입니다. 이 자리에 계신 유엔 한국협회 회원 여러분들이 이러한 고귀한 노력의 주역들이시며, 역사의 현장에 계셨던 증인들이십니다. 올해로 유엔한국협회가 창립 66주년을 맞이하였습니다. 오늘날 우리나라의 활발한 유엔 활동은 유엔한국협회의 끊임없는 지원을 토대로 가능하였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이 자리를 빌어 우리의 성공적인 유엔 가입과 이후 유엔에서의 국위선양에 함께 기여한 모든 선배 동료분들께 깊은 존경과 감사의 마음을 표합니다.

내외 귀빈 여러분,

지난 9월 본인은 제68차 유엔총회가 개최된 뉴욕에서 몹시도 바쁜 일정을 보냈습니다. 이 같은 바쁜 일정을 소화하면서, 국제사회가 한국의 참여와 기여를 바라고 있다는 것을 피부로 느낄 수 있었습니다. 전세계가 한국에 주목하면서, 보다 큰 역할을 기대하고 있는 것이었습니다. 이와 같은 우리에 대한 기대의 근저에는 우리 국력의 성장과 역할에 대한 국제사회의 신뢰가 작용하고 있다고 봅니다. 또한 방금 전 영상 메시지를 통해 인사를 전해 주신 반기문 사무총장님의 따뜻한 관심과 지지는 언제나 우리에게 큰 격려가 되고 있습니다. 이 기회를 빌어 반 사무총장님께 깊은 감사의 말씀을 전해드립니다.

금번 유엔 총회 기간 중 본인은 유엔 총회 기조연설뿐 아니라 안전보장이사회 장관급 회의와 개발 관련 고위급 회의에도 참석 등 다양한 활동을 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본인이 국제사회에 보내고자 했던 메시지는 분명합니다. 그것은 대한민국 신정부의 외교정책이 한반도를 넘어 “지구촌 행복”을 핵심 축으로 삼고 있음을 강조하는 것이었습니다. 이러한 정책은 한반도와 국제사회의 평화와 안정이 긴밀히 연계되어 있으며 우리 국민의 행복과 지구촌의 행복을 분리하여 생각할 수 없다는 신정부의 세계 비전과 외교 철학에 기인한 것입니다.

이러한 신정부의 정책 비전의 기저에는 다음과 같은 역사적 논리적 배경이 자리 잡고 있습니다.

먼저, 대한민국 정부는 유엔의 지원하에 출범하였고, 유엔군의 고귀한 희생으로 북한의 침략을 격퇴할 수 있었으며, 이후 유엔과 국제사회의 도움으로 국가발전을 성공적으로 이루었습니다. 우리와 유엔간의 밀접한 관계는 우리 외교정책에 있어 항상 국제사회에 대한 기여를 핵심적인 고려사항으로 만들고 있습니다. 금년은 종전 60주년을 맞는 해인데, 오늘 이 자리를 빌어 본인은 대한민국의 자유와 민주주의를 위해 헌신하신 한국전 참전 유엔군 용사와, 지금 이 순간에도 한국의 평화와 민주주의를 위해 기여하고 계신 유엔사 장병들에게 감사를 표하고자 합니다.

둘째, 코피 아난 전 유엔사무총장이 언젠가 언급한 ‘나비효과’라는 용어에서 볼 수 있듯이, 지구촌 전체는 불가분의 관계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국제사회에서 일어나는 수많은 문제는 어느 한 나라의 역량으로는 해결할 수 없는, 즉 글로벌 시대가 도래한 것입니다. 따라서, 과거 어느 때보다 유엔을 중심으로 한 다자적 접근 방식이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국제 정치의 패러다임이 국가 중심에서 국민과 인간 중심으로 변화하는 시대에, 우리의 지구촌 행복 외교기조는 유엔이 구현코자 하는 ‘보다 큰 자유(In Larger Freedom)’와 일맥상통하며 최적의 조화를 이루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마지막으로, 북한의 핵 개발 추진에 대한 유엔 안보리의 다양한 결의에서 보듯이, 북한 문제를 해결하고 한반도에 지속가능한 평화를 이루고 궁극적으로 통일을 이루는 과정에서 유엔과 국제사회가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는 시대적 상황을 적극 반영하였습니다.

유엔을 포함한 우리의 글로벌 거버넌스 정책은 신정부의 출범과 함께, 대북한 정책, 주요국 및 지역과의 동맹/동반자 정책과 함께 우리 외교정책의 3대 핵심축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이제 박근혜 신정부의 대 유엔정책을 좀더 상세히 말씀드리고자 합니다.

내외 귀빈 여러분,

한국은 후발주자로 유엔 회원국으로 가입하였지만 가입 이후 유엔의 활동에 적극 협력하여 왔습니다. 지금 이 순간에도 남수단의 한빛부대, 레바논의 동명부대가 어려운 환경속에서 유엔 평화유지 활동을 성실히 수행하고 있고, 한국은 유엔의 3대 이사회인 안전보장이사회, 인권이사회, 경제사회이사회의 이사국으로서 맡은 바 소임을 다하고 있습니다. 아울러, 유엔 분담금에 있어서도 유엔 회원국 중 13번째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새로 출범한 박근혜 정부는 유엔이 대표하는 평화 안보, 인권, 개발의 가치를 기반으로 유엔과의 협력을 한층 더 강화해 나가고자 합니다.

첫째, 국제사회의 평화와 안보를 유지 강화하기 위한 노력에 적극 동참할 것입니다. 특히 인류에 대한 가장 심각한 도전인 대량살상무기와 그 운반수단의 개발과 확산 방지에 대한 우리의 입장은 그 누구보다 단호합니다. 한국은 시리아에서의 화학무기 사용을 강력 규탄하였으며, 시리아 화학무기 폐기를 위한 유엔과 화학무기금지기구(OPCW)의 노력에 적극 동참해 나갈 것입니다. 또한 이란의 핵무기 개발 저지를 위한 유엔과 국제사회의 노력을 적극 지지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맥락에서 북한의 핵무기 개발을 저지하고 모든 핵프로그램을 폐기시키는 것은 우리가 당면한 가장 시급한 과제입니다. 유엔 안보리가 핵무기 개발 금지를 수차 결의했음에도 북한이 핵보유국 지위 내지 핵과 경제개발 병진론을 주장하는 것은 유엔의 권위에 대한 도전으로서 결단코 용납될 수 없습니다. 북한은 전 국제사회의 의지를 꺾을 수 없음을 자각하고, 하루 속히 진정한 변화의 길로 나와야 할 것입니다. 북한은 시리아 정부가 유엔과 OPCW의 단호한 조치를 받아들여 화학무기 폐기를 결정한 것을 교훈으로 삼아 유사한 전략적 결단을 내려야 합니다.

둘째, 인류 보편적 가치로서의 인권 증진을 위해 의미 있는 기여를 하겠습니다. 냉전 종식후 국가간 전쟁은 감소하였으나 국가내 분쟁은 오히려 증가하여 르완다, 발칸반도에서부터, 최근의 시리아에 이르기까지 인도주의적 재앙과 인권침해는 지속되고 있습니다. 인권과 인도주의 문제는 인류가 결코 방치해서는 안 될 기본적인 책무입니다. 특히, 북한 인권 문제, 이산가족과 탈북자 문제를 가진 우리로서는 인권 문제에 대해 남다른 중요성을 부여하고 있습니다. 또한, 지난 세기와 금세기 들어 가장 심각한 인권 침해의 하나인 분쟁하 성폭력 문제가 시대를 불문하고 보편적 인권의 차원에서 국제사회가 정의를 실현하는데 앞장서야 하는 문제라고 판단하고 있습니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 신정부는 “분쟁하 성폭력 방지 구상(PSVI)”의 대표국가로 참여하는 등 다양한 관련활동에 적극 참여하고 있습니다.

셋째, 우리가 관심을 갖고 있는 또 다른 분야는 개발과 빈곤퇴치의 문제입니다. MDG의 핵심은 빈곤의 퇴치입니다. 많은 국가의 노력으로 절대빈곤 그 자체는 개선되었지만, 아직도 빈곤은 유엔이 가장 큰 관심을 갖고 행동하는 의제입니다. 이와 관련, 한국은 지난 2011년 부산세계개발원조총회에서 부산 글로벌파트너십을 채택하여 개발 분야에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해 주었습니다. 또한, 개도국 맞춤형 개발협력 추진을 통해 POST-2015 개발의제 목표에 더욱 부응코자 합니다.

넷째, 전 지구적 대응을 필요로 하는 수많은 글로벌 의제들을 선도적으로 해결하는 것입니다. 기후변화와 환경, WMD 비확산, 핵안보와 핵 안전, 사이버 안보, 테러, 자연 재해, 전염병 등 단일 국가의 차원을 넘어 인류 공동의 대응이 필요한 현상들이 끊임없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새로운 글로벌 도전을 해결해 나가는 과정에 있어서 한국은 적극적인 역할을 하고 있으며, 이는 기후변화와 환경 분야에서의 GGGI 설립과 GCF 사무국 유치, 핵안보 관련 서울 핵안보정상회의 개최, 글로벌금융대책에 있어서 G20정상회의 개최, 사이버공간문제에 있어서의 2013 사이버스페이스 서울 총회 개최와 2014년 예정된 ITU 전권회의 등 모든 글로벌 의제 분야를 망라하고 있습니다. 한국은 선진국과 개도국을 연결하는 가교의 리더쉽을 발휘하여, 새로운 국제 규범과 질서를 만들어 가는데 기여와 역할을 지속해 나갈 것입니다.

이와 관련, 우리는 지난 9월 유엔 총회 계기에 멕시코, 인니, 터키, 호주와 함께 우리 외교사상 처음으로 외교장관간 중견국 협의체인 MIKTA 발족을 주도하여, 유엔 외교를 보완하는 새로운 중견국 협의 메커니즘을 구축했습니다. 또한, 지난주 개최된 세계 사이버스페이스 서울 총회를 통해서는 인류에게 새로운 미지의 세계로 등장한 사이버 공간 이슈에 대한 국제규범 논의의 출발을 알리는 서울 프레임워크와 공약을 도출하는 성과를 거두기도 하였습니다. 이처럼, 한국은 글로벌 이슈를 다루는 새로운 외교의 지평을 적극 열어가고 있습니다.

내외 귀빈 여러분,

22년전 유엔 가입 당시, 한국은 모든 유엔 회원국 앞에서 유엔헌장에 규정되어 있는 모든 의무를 수락할 것을 엄숙히 선서하였습니다. 한국은 세계에 대한 약속을 성실히 지켜왔습니다. 그리고 앞으로도 한국은 책임있는 국제사회의 일원으로서 인류가 "더 큰 자유(In Larger Freedom)" 속에서 살 수 있도록 하는 유엔의 가치 실현에 일익을 담당할 것입니다. 유엔한국협회 회원 여러분과 유엔을 사랑하는 모든 분들의 변함없는 지지와 성원을 당부 드립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