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연설문

[연설문]장관-외신기자클럽 오찬 연설

작성일
2004-04-12 00:00:00
조회수
4934

 

The Tasks Facing Korea and Their Solutions

Luncheon Speech at the Seoul Foreign Correspondents' Club, April 12, 2004

 


President Sohn Ji-Ae,

Esteemed Members of the Seoul Foreign Correspondents' Club (SFCC),

Excellencies and distinguished members of the diplomatic corps,

Ladies and Gentlemen,


(Introduction)

        It is indeed a pleasure for me to be here today before such a distinguished group of foreign correspondents in Korea as yourselves.  As I am sitting here my mind goes back to the occasions on which I met with you when I served in the Blue House.  It is a great honor for me to find myself here again addressing you now as Foreign Minister.  My perspective is different since my responsibilities are greater, but my appreciation of the important role you are playing remains unchanged.

        I take this opportunity to express my gratitude to the Seoul Foreign Correspondents' Club for the role it has played in bringing to international attention the significant developments that have been unfolding in Korea.  The reports of foreign correspondents have played a valuable part in focusing the attention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on the Korean Peninsula.  I believe that, with the increasing importance of public diplomacy, a good working relationship between the Korean government and the Seoul Foreign Correspondents' Club is more vital than ever.  This relationship is a must if our foreign policy is to be correctly understood and responded to by the international community.  In light of this I am particularly glad to have this opportunity today.


(Domestic Political Situation in Korea)

        As you are all aware, Korea's domestic politics entered a critical phase with the March 12 impeachment of President Roh Moo-hyun.

        Although the current situation is "out of the ordinary", I am sure you would agree with me that it is by no means a "crisis".  The philosophies of the Roh Moo-hyun government and its domestic and foreign policies are firmly in place and have been consistently pursued.  There have been no setbacks in the stable management of the situation.

        As has been underlined many times, and as the development of the situation over the last four weeks has clearly demonstrated, my government's established foreign policy will continue as is.  In this regard, we are grateful to our friends around the world who have shown understanding and support in this challenging time for Korea.

        The Korean people have a unique ability to weather storms and emerge stronger from times of difficulty.  The current process of political change also will serve to provide an opportunity for Korea to forge an even more mature democracy.  I have no doubt that the Korean society will emerge even more capable to face the range of challenging tasks ahead of us.  Now I would like to briefly touch upon some of these tasks.


(North Korean Nuclear Issue)

        The most pressing of these tasks is that of resolving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  We have taken important first steps on the path towards a solution, having attained meaningful and positive outcomes through the two rounds of the Six-Party Talks.  During the second round, the participating countries agreed to establish a Working Group and to hold the next round of plenary sessions before the end of June.  The meeting produced some significantly positive results in institutionalizing the Six-Party Talks process.  There is indeed solid common ground for future efforts to find a resolution.  The parties participating in the Talks share the goal of the denucleariz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and are also united in their firm commitment to resolving the nuclear issue peacefully through dialogue.

        The resolution of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 however, is a process that will require a great deal of patience.  All parties should work hard through a process of earnest and serious discussions, efforts should be made to convince North Korea that the pursuit of nuclear programs will in no way enhance North Korea's security.  We must persuade them that in fact the only way for them to secure economic prosperity is by giving up their nuclear programs.

        What is crucial for the resolution of the issue is that North Korea make a full commitment to the CVID, or complete, verifiable, and irreversible dismantlement, of all its nuclear programs.  In the context of such a commitment, other issues, including security assurances, energy assistance and other corresponding measures, can be discussed.  In this regard, at the trilateral consultations held in San Francisco last week, Korea, the US, and Japan reaffirmed their commitment to an expeditious and effective resolution to the issue.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 will be a touchstone for the maintenance of peace and stability on the Korean Peninsula and in the Northeast Asian region.  It is also a matter that has a crucial bearing on the maintenance of the international nuclear non-proliferation regime.  Once the nuclear issue is resolved, we can seek to move towards the building of a permanent peace mechanism, which will take us a step closer to our ultimate goal of peaceful reunification.  This is a testament to the fact that, as Korea's national capabilities and interests have grown, Korea's diplomacy has transcended the boundaries of national interest : events in Korea and the steps we take assume far-reaching significance at the regional and global levels.


(Support for Iraq)

        The next task Korea has to handle wisely is providing support for the Iraqi people and participating in the international efforts to rebuild Iraq through the dispatch of troops to Iraq. 

        It is our sincere hope that the dispatch of additional Korean troops to Iraq will contribute to peace and stability in the Middle East and beyond.  In fact, by helping the people of Iraq to rehabilitate their economy, Korea wishes to repay the international community for its support in the reconstruction of the war-torn Korea of fifty years ago. 

        The Korean troops will be stationed at a location different from that originally planned due to changing local circumstances.  This is not a political decision, but the result of logistical, tactical considerations.  The situation in Iraq has been deteriorating lately, and there have been cases of Korean nationals being detained for some time.  However, I would like to reiterate that there is no change in the principles of the dispatch.  The Korean troops in Iraq will not be engaged in any offensive operations but concentrate on economic rehabilitation and humanitarian activities.  In addition to sending troops, Korea has pledged 260 million dollars over a period of five years to support the rehabilitation of the Iraqi economy.

        It is against this backdrop that Korea is seeking to reinforce its diplomatic efforts toward the Middle East.  This past February and March, five cabinet members, including myself, visited fifteen Middle Eastern countries.  The leaders of the countries we visited expressed their full support and understanding for the role the Korean troops will be playing in Iraq.  I am convinced that the tour of these Middle East countries has marked a meaningful milestone for the strengthening of cooperative relations with the countries in the region.

        The dispatch of troops will also have the effect of reaffirming the sound status of the alliance betwee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In this regard, we look forward to the visit to Korea by Vice President Dick Cheney of the US.  His meeting with the Acting President Koh Keun will be an important occasion to further deepen the bilateral relations.


(ROK-US Alliance and FOTA)

        The Korea-US alliance has served as the foundation for peace and stability not only on the Korean Peninsula but in the Northeast Asian region as a whole.  The security ensured by the strong alliance has also provided solid ground for the flourishing market economy and the democratization of Korea.  A thriving Korea-US alliance relationship will continue to serve as an anchor for Korea's various diplomatic efforts.

        Discussions are currently under way on realigning the Korea-US alliance, in order to utilize the high-tech weapons developed in recent years and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 alliance so as to fully meet the new demands of the 21st century.  The Future of the ROK-US Alliance (FOTA) Policy Initiative will proceed in such a way as to strengthen the combined military capabilities of Korea and the US.  We look forward to the full understanding and cooperation of the US as the relocation of the Yongsan Garrison is carried out as planned.

        In sum, the commitment of the Korean people and government to the Korea-US alliance remains firm.  On the basis of a strong alliance, Korea-US relations should be developed into a comprehensive and dynamic partnership, as agreed by President Roh Moo-hyun and President Bush at their summit meeting last year.  I have no doubt that the Korea-US alliance will continue to be an indispensible element for stability in this region in the years ahead.


(FTA)

        Now let me move on to an economic issue.  As I have already pointed out, with the deepening interdependence in the age of globalization, the peace and prosperity of one can translate into the peace and prosperity of all.  It was in recognition of this undeniable fact that the Korean government made all-out efforts to bring the Korea-Chile FTA into effect on April 1 2004.  This was of truly great significance as the agreement marked the first step Korea has taken to actively rise to the challenge of the regionalization of the global economy.

        The FTA with Chile is expected to serve as a catalyst for the pursuit of FTA's with other countries.  The Korean government will do its best to conclude FTA's with Singapore within this year, and with Japan by the end of next year.  Moreover, we are currently holding Experts Group Meetings with ASEAN, and plan to start an inter-governmental study with EFTA within 2004.

        In addition, Korea is looking into the possibility of concluding FTA's with Mexico and China, and also a tripartite arrangement with Japan and China.

        In order to maximize the positive effects of FTA's, we are considering a multi-track approach in the preparations for them, taking into account economic feasibility, political and diplomatic costs, and other relevant factors.


(Global and Regional Roles)

        Increased international trade is one of the benefits of the age of globalization.  Yet, deepening globalization has also led to a rise in common threats, such as terrorism, weapons of mass destruction (WMD), and the degradation of the environment.  Korea is committed to actively participating in joint efforts to deal with these global issues and to making a contribution to the political and economic development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In these times of deepening interdependence, it is our goal to spread peace and prosperity throughout the region and indeed the world.  Korea seeks to contribute to peace and stability in Northeast Asia.  One means to achieve this end is through the pursuit of multilateral security cooperation in the region.  Another important means, which the current administration emphasizes, is realizing the vision of Korea emerging as an economic hub of Northeast Asia. 


(Conclusion)

        So far, I have quickly run through the important and rather pressing tasks Korea has to deal with in the diplomatic area.  But, as you all know, we stand before a more immediate issue than all of these.  After the General Election of April 15, which is three days from today, there will be a rapid development in the political situation of Korea.  Whatever the outcome, I have no doubt that Korean society will emerge stronger, more transparent and more cohesive than ever before.

        As foreign correspondents, you will all have to work very hard to cover the momentous events in the weeks ahead.  It will no doubt be an exciting time, but perhaps also highly demanding.  April may really prove to be "the cruelest month" for you (as described by T. S. Elliot in "The Waste Land").  I wish all of you the best of health and success in your jobs.

        Thank you for your attention, and now, I will be happy to         receive your questions.

                          

 

질의 및 응답 

 

【 질 문 】

장관님께서는 이라크파병이 전투병이 아니고 경제재건을 위한 파병이라고 하셨고, 파병지역이 바뀐 것은 logistical, technical 성격으로 바뀌었다고 말씀하셨는데 그렇다면 앞으로도 기술적인 요인으로 변동이 가능한 것입니까? 좀더 구체적으로 말씀드리자면 이번 선거결과에 따라서는 이라크파병이 미국 침략전쟁에 대한 지원이라고 파병을 철회하라는 얘기가 거세질 것으로 보이는데 그럴 경우 파병을 미국 대선이 끝나는 11월 이후로 미루거나 최소한 미국이 이라크 정권이양을 기다렸다가 그것이 완성된 후까지 기다렸다가 파병하는 것이 어떻겠는가 하는 생각으로...

 

【 장 관 】

우리 정부의 이라크 파병 원칙에 대해선 이미 여러 차례 입장을 밝혔기 때문에 제가 더 구체적으로 추가할 사항은 없습니다.

정부가 이라크 파병을 결정하는 과정에서는 국민들과 정치권의 여론을 충분히 수렴한 후에 결정했다고 생각을 하고 있습니다. 물론 지금 현재 이라크에서의 상황이 그때 당시보다는 좀 악화되어 가고 있는 것은 사실입니다마는 이라크의 상황이 기본적으로 안정됐기 때문에 우리가 파병을 하고 안정되지 않았기 때문에 파병을 안하는 이런 상황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이 문제는 우리가 국제사회에 약속한 내용이기 때문에 국제사회에 약속한 것은 지켜야 된다고 생각하고, 지금 현재 조사단이 가 있는 이런 상황에 비춰볼 때 이런 우리정부의 입장에는 변함이 없다는 것을 제가 다시 한번 말씀드립니다.

 

 

 

【 질 문 】

방금 이라크의 안보사태가 더 악화되고 있다고 말씀하셨습니다. 심지어 일반 내전까지도 거론되고 있는 상황인데요. 한국의 추가파병 또는 파병이 이라크 재건이나 인도주의적 차원이라고 말씀을 하셨는데 이 파병의 목적이 좀더 aggressive한 또 적극적인 더 군사적인 그러한 성격이 될 가능성이 있는지에 대해서 말씀해 주시기 바랍니다.

 

【 장 관 】

그 문제에 대해서 제가 결론적으로 단적으로 말씀드리면 우리 파병부대의 목적이 변경될 가능성은 없다고 분명히 말씀을 드립니다.

우리 파병부대의 목적은 재건지원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따라서 상황이 악화된다 이렇게 해서 우리가 파병부대의 목적을 변경하는 일은 없을 것이다 이렇게 생각을 하고, 다만 우리 파병부대의 안전을 보호하기 위한 필요한 조치는 우리 군 파병부대 내에서 적절한 조치가 취해지리라고 생각합니다.

 

【 질 문 】

오늘 한국 언론에 보도된 바에 의하면 김정일이 어쩌면 조만간 방중을 할 계획이 있다고 합니다. 한국 외교통상부가 이에 대해서 아는 바가 있으신지 또는 밝힐 수 있는 부분이 있는지 말씀해 주시기 바랍니다.

 

【 장 관 】

그 내용에 대해서 저도 오늘 신문보도를 봐서 알았고 우리정부가 그 내용에 대해서 알고 있는 바는 없습니다.

 

【 질 문 】

지금 이라크정세가 계속 악화되고 있고 참고로 이라크정세의 악화되는 원인은 어디에 있고 그 다음에는 많은 나라들이 이라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UN차원에서 해결해야 된다고 주장을 하고 있는데 이라크문제를 최종적으로 해결하자면 어떤 방법으로 해결해야 하는지 장관님의 생각은 어떤지?

 

【 장 관 】

상당히 광범위하고 어려운 질문을 하신 것 같고 이 질문에 대해서 답변하려면 상당한 오랜 시간이 걸리리라고 생각합니다.

이라크 사태가 최근에 더욱 악화되고 있는 사정에 관해서는 여러 가지 분석이 나오고 있다고 생각을 합니다. 상당수의 많은 전문가들이 보고 있는 이유중에 하나는 6.30일로 예정된 주권이양과 관련해서 이라크 내부의 종파간의 인종간의 여러 가지 내부간의 어떤 알력이라든지 투쟁관계 때문에 비롯한 것이 아니냐 이런 관측이 많이 있습니다. 특히 시아파의 과격파와 온건파간의 여러 가지 세력다툼으로부터 비롯되는 데 최근에 알사드르라는 지도자와 알사스타니의 온건파 지도자간의 여러 가지 세력다툼이 있어서 이러한 상황이 아마 6.30 주권이양전까지는 계속되지 않을 것인가 이렇게 우려하고 있는 관측도 있습니다.

이라크사태를 안정화시키는 방법도 지난 미국을 중심으로 한 연합군이 지난 1년간 많은 노력을 해 왔습니다. 물론 그사이에 UN 안보리결의도 채택이 됐고, UN도 관여했고, 국제사회의 여러 가지 많은 노력이 있었습니다마는 아직까지 사태가 원만히 해결되지 못한 것은 모든 국제사회가 우려하고 있는 바라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현 단계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전 국제사회가 합심해서 이 사태를 평화적으로 원만하게 해결하도록 모든 노력을 경주하는 것이고 이런 면에 있어서 미국을 주도로 한 연합군의 노력, 또한 UN의 역할도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제가 오늘 이 자리에서 어떤 구체적인 제 나름대로의 의견을 제시하기는 어렵고 국제사회가 모두 단결하고 합심을 해서 여러 가지 좋은 방안을 찾을 수 있도록 계속 노력을 해야 된다고 생각합니다.

 

【 질 문 】

북한 핵문제 6자회담과 관련해서 실무그룹 구성에 대한 논의가 현시점에 얼마큼 진행이 되어 왔습니까? 그리고 6월말로 목표가 되고 있는 제3차 6자회담의 실효성은 어느 정도 있습니까?

 

【 장 관 】

워킹그룹을 조기에 개최하기 위한 여러 가지 외교적 노력이 경주되어 온 것은 여러분 잘 아시리라고 생각합니다.

제가 지난 3월초에 미국과 일본을 방문했고 3월 하순에는 중국을 방문해서 이 문제를 협의를 했습니다. 아울러서 지난 주말에는 샌프란시스코에서 한.미.일간의 3자 협의가 개최되었고 이러한 모든 외교적인 협의 결과에 비춰서 우리로서는 가능한 한 조기에 가급적이면 4월중이라도 4월말이나 또는 5월초중이라도 워킹그룹이 개최될 수 있기를 기대하고 이를 위해서 노력하고 있습니다.

3차 6자회담의 경우에 이미 지난 2월 2차회담에서 6개국은 3차회담을 6월말 이전에 개최하도록 합의한 바 있고 이러한 합의에 대해서 북한도 확인을 한 바가 있습니다. 따라서 이 문제는 한 두 차례 워킹그룹을 거쳐서 6월말 이전에 개최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 질 문 】

지금 대통령이 탄핵된 사태를 맞아서 대행체제가 있습니다마는 6자회담이라든지 여러 가지 외교사항을 추진하는데 문제 같은 것은 없는지, 두 번째는 딕 체니 미국 부통령 방한시에 외교부와 협의할 내용이라든지, 체니 부통령 방한에 즈음해서 지금 여러 가지 과격단체들이 시위를 계획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경호에 대한 우려는 없는지?

 

【 장 관 】

노무현대통령의 탄핵으로 인해서 우리 국민들이 많은 충격을 받았으리라고 생각합니다. 우리정부로서는 참여정부 이래 추진해 온 여러 가지 시스템과 로드맵에 입각해서 고건 대행을 중심으로 해서 모든 국정을 차질 없이 진행해 왔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우리의 대외관계도 아무런 변함 없이 계속 잘 추진되고 있고 이러한 데 있어서는 미국이나 일본, 중국, 러시아를 비롯한 우리 우방들의 적극적인 이해와 지지가 있었기 때문에 가능하다고 생각합니다. 제가 몇 번 대외적으로 말씀을 드린 바 있습니다마는 외교를 수행하는데 있어서 정상외교를 추진하는데 있어서는 약간의 제약적인 요소가 있는 것도 사실입니다. 정상외교의 경우에 노무현대통령 자신이 직접 수행을 하셔야 되는 문제가 있기 때문에 러시아 방문 예정을 비롯한 일부 정상외교의 스케줄을 잠정적으로 우리가 조정한 바 있고 그런 면에 있어서 우리로서는 가급적 이러한 탄핵정국이 하루빨리 끝나서 정상적인 정상외교가 수행될 수 있기를 기대하고 있습니다.

체니 부통령의 한국 방문과 관련해서 체니 부통령의 한국 방문을 성공적인 방문이 될 수 있도록 경호를 포함한 모든 조치에 대해서 아주 완벽한 준비를 할 것임을 말씀드리고 경호에 대해서는 큰 걱정을 하지 않으셔도 좋으리라고 생각합니다.

 

【 질 문 】

제1차 핵위기가 시작된지 근 10년이 됐습니다. 협상의 진행과정을 지켜보면 지금의 제2차 핵위기의 진행과정과 과거 1차 핵위기의 진행과정과 매우 흡사하다고 느껴지는데요. 가장 큰 차이점이 무엇인지. 즉 1차 핵위기와 현 핵위기와 협상 면 등에 있어서 가장 큰 차이가 무엇인지 질문을 하고 싶습니다.

 

【 장 관 】

물론 핵문제 해결하는 과정이 시간이 걸리고 좌절스러울 때도 있는 것이 사실입니다. 그러나 2차 6자회담을 개시한 이래 특히 지난 2차회담에서는 6자회담의 정례화라든지 제도화를 위한 절차적인 면에 있어서는 상당한 진전이 이루어졌고, 북한 핵문제의 완전하고 불가역적이고 검증가능한 이러한 폐기를 위한 국제사회의 공감대를 조성하는데는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왔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1차 핵위기와 2차 핵위기에 있어서 가장 큰 차이점이라고 말씀을 드리면 1차 핵위기를 해결하는 이런 과정에서는 핵의 현상을 동결하는 데 그쳤다고 생각합니다. 그런 핵 시설이나 물질을 동결하고 거기에 대한 보상을 해 주는 소위 제네바합의를 이룩했는데 이러한 제네바합의가 지켜지지 않았기 때문에 2차 핵위기가 발생했다고 생각을 합니다.

이번에 핵문제를 해결하는 기본 방침은 북한 핵을 완전하고 검증가능하며 불가역적인 방법으로 폐기를 하고 이에 대한 일종의 대가로서 북한에 대한 안전보장을 제공하고 또 필요한 경제지원, 에너지지원을 함으로써 궁극적으로는 한반도를 완전한 비핵화로 만들고 또 한반도에서의 평화와 안정을 확고히 하는 이런 데 있다고 생각을 합니다.

두차례에 걸친 6자회담과 기타의 외교적인 협의과정을 통해서 북한 당국도 이제는 CVID에 대한 국제사회의 확고한 원칙 여기에 대해서 많이 이해를 하고 있으리라고 생각을 합니다. 따라서 워킹그룹과 3차 6자회담이 개최되는 경우에는 이러한 CVID문제에 대해서 좀더 구체적인 성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를 하고 있습니다.

 

【 질 문 】

6자회담과 관련해서 러시아와 한국간의 협력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 장 관 】

러시아는 6자회담의 한 당사국으로서 이제까지 북한 핵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 있어서 매우 건설적인 역할을 수행해 왔습니다. 푸틴 대통령께서 대통령특사를 북한에 파견하고 기타 고위협의과정을 통해서 러시아 나름대로 매우 긍정적이고 건설적인 역할을 해 왔고 앞으로 6자회담 진행 과정에 있어서 우리정부로서는 러시아가 그러한 건설적인 역할을 계속 해 주기를 기대하고 있습니다.

 

【 질 문 】

6자회담에 관한 것인데요. 직접적인 질문이 아니고 오늘 제가 이런 책자를 가져왔습니다. 국정홍보처에서 나온 책인데요. 참여정부의 1년간 어떤 성과가 있었는지 홍보하는 책자인데 만화책입니다.

대국민 홍보책인데 30페이지 보면 6자회담에 관한 것이 나와 있습니다. 그것을 보면 남과 북이 같은 자리에 앉고 있고 대치하는 위치에 일본과 미국이 앉아있습니다. 이것을 보면 남과 북이 손을 잡고 일본과 미국에 대치하고 있다 이런 만화가 되겠습니다. 그런데 남북이 풍선을 들고 있는데 이것을 보면 전쟁 'No'라고 되어 있어요. 그런데 미국과 일본측의 탱크나 비행기가 쓰레기통에 버려져있습니다. 이것을 보면 남북이 평화세력이고 일본과 미국이 전쟁세력이다 이런 식으로 되어 있습니다. 이것을 보면 대한민국의 6자회담에 관한 stance가 거의 3국공조가 아니라 남북공조가 아니냐 이렇게 이해할 수도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남북공조입니까? 3국 공조입니까?

 

 

【 장 관 】

북한 핵문제에 대한 우리정부의 입장은 북한 핵문제는 남북한간의 문제이기도 하지만 이것이 글로벌 이슈로서 전국제사회의 문제라고 생각을 하고 있습니다. 물론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을 비롯한 모든 한반도의 남북한간의 현안문제는 직접 당사자는 한국과 북한이라고 생각을 합니다. 핵과 같은 대량살상무기는 지금 현재 국제사회에서는 이것이 글로벌이슈라고 그래서 국제적인 노력과 힘을 합쳐서 해결해야 되는 문제라고 생각하고 있고 그러한 방향으로 추진을 하고 있습니다. 그러한 입장에서 우리가 처음에는 3자회담을 거쳐서 6자회담으로 발전을 해서 북한 핵문제를 국제적인 공조차원에서 해결하기 위해서 노력하고 있는 중입니다.

이 만화를 어떻게 보느냐 여러 가지 보는 측면이 있겠습니다마는 제가 봤었을 때는 구로다 특파원님께서 보신 것처럼 그러한 오해될만한 것은 아니라고 생각을 합니다.

지금 여러분 잘 기억하시겠습니다마는 제2차 북핵위기가 2002,10월 처음에 불거져 나왔었을 때, 국제사회의 여론은 한반도에서 북한 핵문제를 혹시 무력적인 방법으로 해결해야 되는 것이 아니냐 이러한 여론들도 나왔다는 것을 잘 기억하고 계시리라고 생각을 합니다.

우리 정부는 평화적인 방법으로 해결해야 된다는 원칙을 견지를 했고 지금 현재 한.미.일을 포함한 6자회담에 참여하는 모든 나라들이 평화적인 방법으로 해결해야 된다는데 대해서 의견의 일치를 보고 있다고 생각을 합니다.

이 만화에서 주고자 하는 메시지는 북한 핵문제를 평화적인 방법이 아닌 것 말고 평화적인 방법으로 대화를 통해서 해결해야 된다 이런 것을 강조하기 위한 것이고, 여기에 나와있는 무기라든가 이런 것이 꼭 이 만화상으로 볼 때에 미국이나 일본이 무력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다고 보기는 어렵다고 생각을 합니다.  카툰 한 장으로 모든 복잡한 메시지를 전달하는 과정에서 만화가의 개인적인 의사로서 이러한 내용이 되어 있는데 혹시 이러한 것으로 인해서 여러분들께서 오해가 없으시기를 바라마지 않습니다.

 

【 질 문 】

이번 주에 UN 인권위원회에서 북한에 대한 결의안이 나오는 것으로 아는데요. 한국정부의 입장이 결정되었는지. 우리 입장이 만일에 기권을 한다면 그것에 대한 정당성이 어떤 것인지. 특히 만약에 그것이 북한을 자극하는 것에 대한 우려라고 한다면, 북한이 그 동안에 한.미 군사훈련과 한국정부에 대해서 여러 가지 자극적인 말을 한 것에 비추어 볼 때, 인권문제가 가진 심각한 문제에 대해서 우리가 입장을 분명하게 취하지 않는 것에 대해서 정당화 할 수 있는지 설명해 주시기 바랍니다.

 

【 장 관 】

국제사회의 북한 인권상황에 대한 깊은 우려와 관심을 우리정부도 잘 알고 있고 대한민국 정부도 북한의 그러한 인권실태에 대해서 깊은 우려를 가지고 있는 것이 사실입니다. 이러한 국제사회의 여러 가지 관심표명과 협조로 인해서 북한의 인권상황이 앞으로 계속 개선되기를 바라고 있는 것이 또 대한민국정부의 입장입니다. 그간 EU를 비롯한 서방제국이 북한과 인권대화를 가지는 등 여러 가지 인권개선 노력을 해 온 점도 우리정부는 평가하고 있습니다.

UN인권위에서의 대한민국의 입장에 대해서는 지금 현재 정부 관계기관내에서 신중히 검토를 하고 있습니다. 한국정부로서는 북한의 인권상황을 개선해야 되겠다는 국제사회의 희망, 인권에 관한 가치, 대한민국이 현재 처해 있는 남북한간의 특수한 상황 등 여러 가지 상황을 종합적으로 검토해서 우리의 입장을 결정할 것이고, 어떠한 입장을 취하든간에 우리정부로서 필요한 설명을 국제사회에 또 우리국민에게 할 것으로 생각을 하고 있습니다.

 

【 질 문 】

장관님 아시다시피 지금은 이라크에서 일본사람 3명이 구금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일본정부는 관련국에 해결을 위해서 협조를 요청하고 있습니다. 한국정부로서는 해결을 위해서 어떤 협조를 계시고 어떤 협조를 할 수 있는지?

 

【 장 관 】

우선 우리 대한민국 정부와 국민모두 일본인 3명이 불법적으로 억류되어 있는 상황에 대해서 가슴 아프게 생각을 하고 이분들이 조속한 시일내에 안전하게 석방될 수 있기를 기대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뜻을 제가 가와구치 외무대신에게도 지난 주말에 전달을 했고, 한국정부로서도 가능한 한 모든 노력을 경주해서 이들의 조기 석방을 위해서 협조를 하겠다는 뜻을 밝힌 바 있습니다.

우리 정부로서는 일본정부나 기타 다른 관련국들과 필요한 입수한 정보를 교환을 하고 또 우리 나름대로 어떠한 일을 할 수 있는지 지금 현재 많은 걱정을 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서 우리 인근국의 대사들이 일본 외교관 또 일본에서 파견된 고위관리들에게 현지 상황을 설명해 주었습니다. 아울러서 우리 종교인 7명이 억류됐다 풀려놨었을 때의 상황도 상세히 일본측에 설명함으로써 일본이 어떠한 단서를 확보할 수 있는데 도움이 되도록 노력을 했고 앞으로 이러한 노력은 계속될 것입니다.

 

【 사 회 】

오늘 오찬은 이것으로 마치겠습니다. 반기문 외교통상부장관님께 시간을 내주셔서 감사드린다는 말씀을 드리구요. 또 회원여러분들 참석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