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연설문

「통일과 한국경제」회의 장관님 오찬연설(10.22, 롯데호텔)

작성일
2012-10-22 00:00:00
조회수
5170

 
LUNCHEON SPEECH ON THE OCCASION OF
THE CONFERENCE ON UNIFICATION
AND THE KOREAN ECONOMY

BY HIS EXCELLENCY KIM SUNG-HWAN
MINISTER OF FOREIGN AFFAIRS AND TRADE

Sapphire Room, Lotte Hotel, Seoul
October 22, 2012

Excellencies, Distinguished Guests, Ladies and Gentlemen,

It is a great honor and pleasure for me to have this opportunity to share with you my thoughts on unification, a theme of crucial significance not only for Korea but also for Northeast Asia as a whole. My special thanks to Chairman Sakong Il for inviting me to speak before such an array of dignitaries and wise men.

I would first of all like to extend my heartfelt appreciation to you for your sincere interest in this issue as well as your willingness to make constructive contributions to the realization of our dream of a unified Korea. Without doubt, the government alone cannot pave the way for unification. There is a need for collective wisdom and support from as wide a base as possible. In this respect, your active role is greatly appreciated.

I would further like to say that I am very pleased to note the broad participation from abroad, especially from Germany, as the German unification has long served and will continue to serve as an invaluable reference for our own process of unification.

Distinguished Guests,

This morning you have actively engaged in a stocktaking of inter-Korean relations as well as exploring the benefits and costs of unification. Given the uncertainties surrounding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rapidly changing geo-political landscape of Northeast Asia, it is not an easy task to come up with a clear and reliable sketch of the current state. Nevertheless, we have to make relentless efforts to ensure that our policies and strategies are firmly based on an accurate and objective assessment, no matter how hard it may be.

In comparison, the economic, political and strategic benefits and costs of unification seem to be relatively less difficult to grasp. Bearing this in mind, I would like to expand further upon your discussions this morning by offering some reflections on the blueprint of a unified Korea and the essential prerequisites for unification.

Before getting into the details, I wish to emphasize that unification constitutes a heart-throbbing imperative for Koreans. Having developed a natural sense of national unity throughout our long history, we perceive the current division of Korea as a temporary aberration, and as such, harbor a strong ardent desire for unification.

Distinguished Guests,

It goes without saying that unification will bring numerous benefits. At the top of the list, I believe, are peace and security. The on-going tensions and intermittent military confrontations between the South and the North which might escalate into another bloody and devastating war, render the Korean Peninsula one of the world’s most dangerous potential flashpoints. Indeed, this has been one of the predominant factors in the so-called “Korea Discount” in the international financial markets.

In a unified democratic Korea, we will be able to enjoy much greater peace and freedom under a safer and more secure environment. In other words, a meaningful version of “turning swords into ploughshares” will be available. Resource-wasting confrontations will be replaced with cooperative efforts to form a single and integrated economy in which resources that are currently wasted under the unstable co-existence could be put to better and more efficient use.

In the unified free market economy, the complementary economic structure of the South and the North will serve as a catalyst for materializing the great potential for economic prosperity. As a case in point, the capital and technology of the South would be successfully combined with the competent labor force and rich mineral resources of the North to produce a lasting synergic effect. According to a Goldman Sachs’ analysis on the potential of the North Korean economy, in terms of GDP, a unified Korea would overtake France, Germany, and possibly Japan in 30~40 years, should the growth potential of North Korea be realized.

Moreover, unification would replace the Demilitarized Zone bisecting the Korean Peninsula with newly built high-ways, railroads, and air- and -sea routes connecting places not only on the peninsula, but also in Northeast Asia. As an open place where the continental and maritime economies meet, a unified Korea has great potential to become a geo-economic hub that could bridge the two economies and facilitate trade within the region.

It is also noteworthy that with the advent of the Asia-Pacific era, the center of the world economy is significantly gravitating towards East Asia. All in all, this global trend, in tandem with the advantageous locus of the Korean Peninsula, is sure to offer great opportunities for a unified Korea to play an expanded role in the region.

At this juncture, Distinguished Guests, I would like to point out that the enormous benefits unification would bring will not be limited to within the confines of the Korean Peninsula. A unified Korea could substantially benefit its neighbors in various ways. Unification would transform Korea from the Cold War’s last fault line into the first springboard for regional peace and co-prosperity in the new era.

First of all, a unified Korea will bring about peace and stability in the region. The unpredictable nature and provocations of the North Korean regime have constituted one of the root causes of regional instability. A peaceful, stable and prosperous unified Korea would foster a security environment conducive to lasting peace and stability as well as prosperity for the whole region. From this peaceful regional environment, our neighbors will be able to garner considerable peace dividends.

On the economic front, a unified Korea will provide its neighbors with robust infrastructure for increased economic activities. For instance, the Korean railroad network connecting the Asian trans-shipment hub of Busan to the Trans Continental Railroad (TCR) would contribute to the opening up of a cheaper, faster and safer route for overland transportation between Eurasia and the Asia-Pacific region. As a result, neighbors of a unified Korea could greatly expand their trade volume in both directions via the land bridge stretching from Busan to Eurasia.

Moreover, a unified Korea would also provide a favorable business climate for its neighbors, especially with regard to the huge business opportunities that would be generated in the rebuilding process. Tapping these opportunities, neighboring countries would be able to gain fresh momentum to boost their economic growth. Especially, China and Russia would have every reason to raise the stakes in the development of their economically less developed areas bordering the Korean Peninsula as the reconstruction of the North would require massive new investment which could bring a positive spillover effect for the border areas.

Distinguished Guests,

I have briefly touched upon the blueprint of a unified Korea and the potential benefits that will accompany unification. As I turn to prerequisites for unification, I cannot overemphasize the importance of the elimination of the North Korean nuclear weapons program. Unification will considerably reshape the geopolitical landscape in Northeast Asia, translating a unified Korea into a force to be reckoned with quite seriously in the regional strategic equation. Against this backdrop, a unified but nuclear Korea is the last thing regional powers would want to see on the Korean Peninsula. This is why the Korean Government, together with the international community, time and again is urging North Korea to turn over a new leaf by taking concrete measures aimed at denuclearization and return to the negotiating table as soon as possible

In parallel with the denuclearization process, diplomatic efforts should be focused on creating an environment favorable for unification. In this context, some constructive suggestions merit our attention. Transforming the existing armistice agreement into a legal framework that can safeguard perpetual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would be a noble idea. At the regional level, we could take a positive look at the idea of keeping up the momentum of the Six-Party Talks and helping the Talks to evolve into a cooperative multilateral security architecture to cope with conflicts and frictions as well as various security issues in the region.

While exploring these multilateral initiatives, it is also imperative to continue to strengthen and deepen the strategic ties with our neighbors. With the Korean Peninsula located at the intersection of major strategic fault lines, it is crystal-clear that the success of the unification process will depend greatly on how well we can develop and manage our bilateral relations with important stakeholders. There is no denying that strong support by countries with vital stakes in the Korean Peninsula is an essential part of the unification process, as evidenced by the critical role played by the United States and the Soviet Union in the German case. As renewed Sino-American relations are evolving in the regional as well as global setting, it is of paramount importance, inter alia, to develop the Korea-China strategic cooperative partnership in harmony with the Korea-US alliance.


Distinguished Guests,

As I wrap up my remarks today, I would like to point to the ever-growing importance of “Multi-Layered Diplomacy.” In spite of all the positive aspects and rosy picture of a unified Korea, the path to unification shall not be free of hurdles. It is indeed a daunting task to successfully rise above such challenges and achieve unification. Even though some challenges, such as denuclearization, seem to be insurmountable at certain times, I believe that there is no challenge that cannot be overcome if we make concerted efforts with a firm resolve.

In this sense, it is essential that the government and civil society join forces in a concerted effort to tackle various challenges within Korea and at the international level and to foster an atmosphere favorable for unification. As I mentioned at the outset, the government alone cannot get the job done, and I sincerely hope for your active engagement in solidifying the foundation for a unified Korea.

In the past few months, I had the privilege to have the opportunity to exchange views on Korean unification with the former leaders of Germany, including Federal President Horst Koehler. They advised me: “You should be prepared for the day. It will come any time sooner or later.” This is the reason why we are having this conference, to be prepared for unification.

I do hope that I have succeeded in whetting your appetite for the immense task of Korean unification, and have offered you some palatable food to think about.

Thank you for your kind attention, and Bon Appetit!



----------------------------------------------------------------------------(비공식 번역본)



한반도 및 동북아와 관련한 중요한 주제인 통일에 대해 여러분들과 제 생각을 공유하게 되어 기쁘고 영광스럽습니다. 그리고 저를 금번 행사에 초청, 귀빈 여러분 앞에 연설하게 해주신 사공일 세계경제연구원장님께 감사를 드립니다.

무엇보다도 여러분들께서 통일문제 대해 깊은 관심을 가져주시고, 한반도 통일 실현을 위해 건설적 제안을 해주신 데 대해 심심한 감사를 전합니다. 의심할 여지없이, 통일기반 조성은 정부 혼자만의 힘으로는 어렵습니다. 지혜의 결집과 광범위한 지지기반이 필요합니다. 여러분의 적극적인 역할은 이 같은 측면에서 크게 평가됩니다.

해외귀빈들께서도 많이 참석해주셨는데, 특히, 우리 통일과정에 있어 그간 귀감이 되어왔고, 앞으로도 그러할 독일에서 많은 분들이 참석하셔서 기쁩니다.

귀빈 여러분,

금일 오전 여러분들께서는 남북관계현황과 통일편익 및 비용에 대해 토론하셨습니다. 한반도 정세의 불확실성과 동북아 정세의 유동성을 감안할 때, 현재 남북관계현황에 대한 명확한 그림을 그리기가 쉽지는 않을 것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의 정책과 전략은 적확하고 객관적인 평가에 확고한 기반을 두어야 합니다.

통일의 경제적, 정치적, 전략적 편익과 비용에 대한 내용을 파악하는 것은 상대적으로 덜 어렵습니다. 이런 점을 염두에 두고, 저는 금일 오전 여러분들의 논의내용을 조금 더 확장하여 통일한국에 대한 청사진과 통일의 전제조건에 대해 제 생각을 말씀드리겠습니다.

본격적으로 시작하기에 앞서, 한국인들에게 통일은 가슴을 뛰게하는 의무라는 점을 강조드리고 싶습니다. 오랜 역사를 통해 단일민족으로서 정체성을 발전시켜온 한국인들은 현재 분단상태를 일시적인 비정상적 상태로 인식하고 있고, 이러한 까닭으로 통일에 대한 강한 열망을 품고 있습니다.

귀빈 여러분,

통일이 막대한 편익을 가져다 줄 것은 명백합니다. 무엇보다도, 평화와 안보가 가장 큰 편익입니다. 현재 남북간 진행중인 긴장과 간헐적 군사대치 상황은 또다른 파괴적 전쟁으로 이어질 수 있으며, 이는 한반도를 세계에서 가장 위험한 잠재적 화약고 중 하나로 만들고 있습니다. 또한, 이 같은 상황은 소위 국제 금융시장에서 “코리아 디스카운트”의 주요 원인 중 하나가 되고 있습니다.

통일한국의 민주주의 체제가 제공하는 보다 안전하고 안정된 환경에서 우리는 한층 더 평화와 자유를 누릴 수 있게 될 것입니다. 즉, “전쟁을 멈추고 평화로운 삶으로 되돌아가게 될 것”입니다. 남북간 자원 낭비적 대립은 통합된 단일 경제를 이루고자하는 협조적 노력으로 대체될 것이며, 그렇게 되면, 현재의 불안한 공존상태에서 낭비되는 자원들이 보다 더 나은 방향으로 그리고 효율적으로 활용될 것입니다.

통일한국의 통합된 자유시장경제속에서 남북간 상호보완적 경제구조는 다대한 경제번영 잠재력을 실현시킬 것입니다. 예를 들어, 남한의 자본과 기술은 북한의 노동력 및 풍부한 광물자원과 성공적으로 결합하여 지속적인 시너지 효과를 발생시킬 것입니다. 북한경제의 잠재력에 대한 골드만 삭스의 분석에 따르면, 북한의 성장 잠재력이 실현될 경우, 국내총생산(GDP) 측면에서 통일 한국은 30~40년 내 프랑스, 독일, 그리고 일본까지도 앞설 수 있을 것입니다.

더욱이, 통일이 되면 한반도를 가르고 있는 비무장지대 대신 새로이 지어질 고속도로, 철도, 그리고 하늘길 및 바닷길이 열릴 것이며, 이로써 한반도 뿐 만 아니라 동북아 지역 어느 곳이든 서로 연결될 것입니다. 대륙경제와 해양경제가 만나는 열린 공간으로서 통일한국은 두 경제를 잇는 가교역할을 통해 역내무역을 촉진시키는 지경학적 허브(hub)가 될 가능성이 다대합니다.

또한, 아태시대 도래와 함께, 세계경제의 중심이 상당부분 동아시아로 이동한 점도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한반도의 지리적 이점과 함께 이러한 글로벌 트렌드는 통일한국의 지역적 역할이 확장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해 줄 것입니다.

귀빈 여러분,

통일이 가져다줄 막대한 편익은 한반도에만 국한되지 않을 것입니다. 통일한국은 다양한 측면에서 이웃국가들에게 상당한 편익을 줄 것입니다. 통일을 통해 한국은 냉전의 마지막 전선에서 역내 평화와 공동번영을 위한 새 시대의 첫 도약대로 변화할 것입니다.

무엇보다도, 통일한국은 동북아 지역에 평화와 안정을 가져다 줄 것입니다. 북한정권의 예측 불가능한 성격과 도발은 그간 역내 불안정의 근본적인 원인 중 하나였습니다. 평화롭고, 안정적이며, 번영하는 통일한국은 지역 전반에 걸쳐 지속적인 평화, 안정, 그리고 번영에 기여하는 안보환경을 조성할 것입니다. 이 같은 평화로운 역내 환경으로부터 우리 이웃국가들은 상당한 평화 배당금을 축적할 수 있을 것입니다.

경제적 측면에 통일한국은 주변국들의 경제활동 증대를 위한 확고한 인프라를 제공하여 줄 것입니다. 예를 들어, 아시아의 환적 허브인 부산과 대륙횡단 철도를 이어주는 한반도 철도 네트워크는 유라시아와 아태지역 사이에 더 저렴하고, 빠르며, 안전한 육상 운송로를 개통하는 데 기여할 것입니다. 이로써, 통일 한국의 주변국들은 부산에서 유라시아까지 뻗어나가는 육상가교를 통해 무역량을 크게 증가시킬 것입니다.

더욱이, 통일한국은 북한 재건과정에서 발생할 많은 사업기회 측면에서 주변국들에게 유리한 비즈니스 환경을 제공하여 줄 것입니다. 이러한 기회들을 활용하여, 주변국들은 그들의 새로운 경제성장 추진동력을 얻을 수 있을 것입니다. 특히, 북한 재건 과정시 필요한 새로운 대규모 투자가 북-중, 북-러 접경지역까지 긍정적 파급효과(spilover effect)를 가져다 줄 것이므로, 중국과 러시아는 경제적으로 아직 발전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은 한반도와의 접경지역 개발에 대한 지분을 더욱 늘릴 것입니다.

귀빈여러분,

지금까지 통일한국의 청사진과 통일시 수반될 잠재적 편익에 대해 간략히 설명했습니다. 이제 통일의 전제조건에 대해 말씀 드리고자 하는데, 북한 핵 프로그램 제거의 중요성에 대해 강조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통일은 동북아의 지정학적 양상을 상당부분 재구성할 것이며, 이는 통일한국을 역내 전략방정식에서 매우 중요한 변수로 만들 것입니다. 핵을 보유한 통일한국은 주변국들이 가장 바라지 않는 결과입니다. 바로 이것이 한국 정부가 국제사회와 더불어, 북한에게 비핵화를 목표로 한 구체조치를 취하고, 가능한 빨리 협상테이블로 돌아올 것을 거듭 촉구하는 이유입니다.

비핵화와 병행하여, 통일에 유리한 환경조성을 위한 외교적 노력도 경주되어야 합니다. 이 같은 맥락에서 몇몇 건설적 제안에 주목해야 합니다. 현재의 휴전협정을 한반도 영구평화 담보가 가능한 법적틀로 전환하는 것이 그 한 가지입니다. 동북아 지역차원에서는 6자회담의 추동력을 이어나가 동 회담을 역내 갈등과 충돌, 다양한 안보현안을 다루는 다자안보협조체제로 진화시켜나가는 방안도 긍정적으로 볼 수 있겠습니다.

이와 같은 다자적 노력과 함께, 각 주변국과의 전략적 관계를 지속 강화하고 심화시켜야 합니다. 한반도가 전략요충지임을 감안할 때, 너무도 분명한 사실은 통일과정의 성공 여부가 주변 핵심국들과의 관계를 얼마나 잘 관리하고 발전시켜 나가느냐에 달려 있다는 것입니다. 독일 통일과정에서 미국과 소련의 역할에서도 보듯이, 통일과정에 있어 한반도에 이해관계가 있는 주변국들의 확고한 지지는 필수적이라는 사실 또한 부정할 수 없습니다. 특히, 미-중 관계가 지역적, 세계적 차원에서 새로운 양상으로 변화되어 감에 따라,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한-중 전략적 협력 동반자 관계를 한-미 동맹과 조화․발전 시켜나가는 것입니다.

귀빈여러분,

연설을 마치며, 저는 증대되고 있는 “총력복합외교”의 중요성에 대해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통일한국의 모든 긍정적 측면과 장밋빛 청사진에도 불구하고, 통일로 가는 길은 장애물이 없을 수 없습니다. 이러한 도전들에 대해 성공적으로 대응해 가며, 통일을 달성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과제입니다. 비핵화 같은 몇몇 도전들은 특정시점에는 극복할 수 없는 듯 보이지만, 우리가 단호한 의지로 노력해나가면 극복하지 못할 도전은 없을 것으로 믿습니다.

이러한 면에서 정부와 시민사회가 힘을 모아 대내외 다양한 도전들에 대처해 나가며 통일에 유리한 환경을 조성해야 할 것입니다. 서두에도 언급했듯이, 정부 혼자서는 이 일을 할 수 없으며, 통일한국의 기반을 공고화함에 있어 저는 진정으로 여러분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희망합니다.

지난 몇 달간 저는 한반도 통일 문제에 대해 전(前) 독일 대통령이신 호르스트 퀠러를 포함한 전(前) 독일 지도자분들과 의견을 교환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질 수 있었습니다. 그 분들은 저에게 “통일의 그 날을 대비해야 합니다. 통일은 어느 때건 올 것입니다.” 라고 충고했습니다. 이것이 우리가 통일 준비를 위해 오늘과 같은 회의를 개최하는 이유입니다.

저는 이 연설을 통해 한반도 통일이라는 중차대한 과제에 대해 여러분들께서 더욱 관심을 갖게 되시길 바라고, 아울러 여러분들께서 통일에 대해 생각해 보실 수 있도록 유용한 아이디어를 제공해드리는 바입니다.

감사합니다. 즐거운 오찬되시기 바랍니다.


공공누리
외교통상부 이(가) 창작한 「통일과 한국경제」회의 장관님 오찬연설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