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연설문

'평화와 번영을 위한 제주포럼 2013' 만찬사(5.29, 제주)

작성일
2013-05-29 22:28:00
조회수
4867


                                Dinner Address by H.E. Yun Byung-se 
                        Minister of Foreign Affairs, Republic of Korea 

                The 8th Jeju Forum for Peace and Prosperity, Jeju Island 
                                              May 29, 2013 

 

Prime Minister Mahathir Mohamad,
Prime Minister Hatoyama Yukio,
Prime Minister Han Seung-soo,
Minister Gong Ro-myung,
Chairman Hong Seok-hyun,
Ambassador Moon Tae-young,
Distinguished Guests, Ladies and Gentlemen,

May I first congratulate Ambassador Moon and the Jeju Peace Institute on the successful organization of the “8th Jeju Forum for Peace and Prosperity.” I am indeed delighted to be here with you on this beautiful island of Jeju on the eve of this very meaningful occasion.

The Jeju process was launched in 2001. Since then, it has emerged as a major forum for sharing valuable insights and ideas to promote multilateral security cooperation, confidence-building, as well as economic integration in the region. This year’s topic, "New Waves in Asia” is very relevant and timely in view of the current changes and developments in Asia. In this light, I look forward to lively discussions and exchange of ideas that will take place over the course of the next few days.

Distinguished Guests,

Recently, we are witnessing the waves of democratization and change in leadership that are spreading throughout many corners of Asia. New governments have emerged in Northeast Asian countries of Korea, China, and Japan. In Pakistan, there was a leadership change with the recent elections. In Myanmar, the long overdue “Myanmar Spring” has given the 60 million people of Myanmar the hope for future filled with freedom and prosperity. Against this backdrop, visions for the new order in the region are being presented. President Obama’s “Rebalance to Asia,” President Xi Jinping’s “Chinese Dream,” and President Putin’s “Looking East” policy are some of the examples.

In Korea, President Park Geun-hye took office in February as the first female president in the history of Korea, as well as in Northeast Asia. Through her inaugural speech, President Park presented her vision to pursue happiness for all people on the Korean Peninsula, Northeast Asia, and ultimately the entire global village.

However, we know that these waves of change also face daunting challenges. In many parts of the region, lies growing mistrust between nations over historical, maritime and territorial issues, which in some extreme cases may deteriorate into physical conflict. This is a reflection of what I call “Asia Paradox,” the mismatch between growing economic interdependence on the one hand, and backward political and security cooperation on the other.

An Asian historian once said, “The nation is to the body as history is to the soul.” True to these words, historical issues are binding to the soul of a people. This is why the mistaken historical perceptions are indeed becoming a serious problem. Furthermore, as one western scholar has recently observed, while landscape had been the source of past conflict in 20th century Europe, seascape seems to be a potentially major source of future conflict for 21st century Asia.

For an era of genuine peace and prosperity to take root in Asia, the old waves emanating from confrontation must give way to the new waves of cooperation. To this end, it is essential to make efforts to harmonize various competing visions and policies toward a common goal of building a structure of trust and cooperation.

In Asia as a whole, there is an abundance of multilateral experiments, namely APEC, ASEAN, ARF, and SAARC, just to name a few. But just looking at Northeast Asia, it remains as a sole region in the world where a multilateral mechanism to address various issues of common interest and resolve conflict among regional members has never come into being. Of course, there were a number of initiatives and concepts in the past, but none has ever taken root. There is a deficit of multilateral spirit here.

Perhaps the only viable recent attempt is the trilateral dialogue among Korea, China, and Japan. The leaders of three nations began to meet in 1999 on the margin of the ASEAN summit. Then from 2008, it developed into an independent, annual forum for the three nations. In 2011, the permanent secretariat was established in Seoul, further consolidating the foundation for the institutionalization of trilateral cooperation. Moreover, the three nations have concluded the investment agreement and initiated negotiations for a Free Trade Agreement last year.

The vision for peace and cooperation in Northeast Asia, which President Park recently explained during her speech before the Joint Session of the US Congress, was in response to fill this vacuum, to strengthen this weak link in the multi-layered web of inter-dependence in Asia. It seeks to begin accumulating small but significant interactions in soft cooperative security issues such as environment, disaster relief, nuclear power safety, counter-terrorism so that they turn into habits of cooperation. Eventually these habits of cooperation can be nurtured into building of trust that will usher in an era of peaceful, cooperative, and responsible Northeast Asia.

I believe that the time is ripe for such an initiative in Northeast Asia. As the proponent of such an initiative, Korea is seeking to pool the wisdom of all stakeholders in the region, to start up a common endeavor. Fully aware of shortcomings of similar experiments in the past, a tailored approach that fits the circumstances of Northeast Asia is needed, which will proceed at a speed that all can be comfortable with, and adhere to the principle of open-participation for all stakeholders including the US, China, and Japan. Furthermore, this initiative will not dilute our attention away from North Korea’s nuclear ambition, as denuclearization of North Korea will be taken up in other relevant fora, and remain as our top policy concern.

Ladies and Gentlemen,

While the waves of change are blowing in all directions across the world, there is one place which remains not amenable to such change: North Korea. It defies such tendency toward change and continues to engage in provocations and threats through its nuclear weapons and missile programs. However, the Park Geun-hye government seeks to bring forth change from North Korea through the trust building process, with a view to establishing sustainable peace and ultimately the peaceful unification.

Many people question how the trust building process can begin with a partner such as North Korea. Yes, we are fully aware of that. Let me elaborate a little bit. For trust to materialize, each side must adhere to the promises made and the principles agreed while maintaining coherency. Breach of promises must incur corresponding consequences. There are two major aspects to the trust-building process: that is, safeguarding peace and making peace. To safeguard peace, we will never allow a nuclear armed North Korea, and make sure that there is a corresponding price for North Korea’s provocations. This must be done based on strong combined deterrence capacity. To make peace, together with our friends and partners, we will induce North Korea to make the right choice, while leaving open the door for a dialogue and cooperation. When and if North Korea makes such a choice, we will assist North Korea along with the rest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s a matter of reality, North Korea does not seem to be ready yet to enjoy the benefits of this trust-building process. As you well know, a special envoy of North Korea visited China last week. In my press conference the day before yesterday, I gave my government’s assessment and views on the visit. First, we appreciate the fact that China pressed North Korean envoy on the need for denuclearization. Second, with regard to North Korea’s reported willingness to resume various kinds of dialogue, a dialogue for the sake of dialogue itself will not go anywhere. North Korea must show its sincerity through actions. It must fulfill its international obligations and promises related to denuclearization. Third, my government will continue to closely cooperate with the members of the Six-Party Talks as well as the international community toward this end.

On a concluding note, let me say that a peaceful and cooperative Northeast Asia will help to settle a sustainable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At the same time, a peaceful and stable Korean Peninsula will help to foster a peaceful and cooperative Northeast Asia. We have seen in Germany where the issue between the two Germanys was interlinked with the greater European peace. In the Middle East, the issue between Israel and the Palestine is interlinked with the Middle East peace.

Ladies and gentlemen,

As I said at the beginning of my address, new waves are flowing towards freedom and prosperity in Asia. Many view these waves as an irreversible historical development in this part of the world. We should not be afraid of changes. But rather, we should make changes happen. I look forward to insightful visions on how to harness these waves of changes and respond to the challenges that may reach our shores, with a view towards truly opening a new era in Asia. Thank you.

/End/

--------------------

                                                                                               [비공식 번역본] 

                                       제8차 제주포럼 외교부장관 만찬사 

                                                                                                2013.5.29(수)

마하티르 모하마드 말레이시아 전 총리님,
하토야마 유키오 일본 전 총리님,
한승수 총리님, 공로명 장관님,
홍석현 회장님, 문태영 대사님,
그리고 내외 귀빈 여러분,

「제8차 평화와 번영을 위한 제주포럼」이 성황리에 개최된 것에 대해 문대사님과 제주평화연구소측에 우선 축하의 말씀을 전합니다. 그리고 아름다운 제주도에서 뜻 깊은 행사의 전야에 여러분들과 만찬을 함께하게 된 것을 매우 기쁘게 생각합니다.

제주포럼은 2001년 출범하였습니다. 이후 제주포럼은 역내다자안보협력, 신뢰구축 뿐만 아니라 경제통합 증진을 위한 식견과 아이디어를 공유하는 주요 포럼으로 등장했습니다. 금번 포럼의 주제인 「아시아의 새로운 물결」은 최근 아시아에서 나타나고 있는 변화와 발전추이를 잘 반영하는 매우 적실성있고 시의적절한 것으로 생각됩니다. 이와 관련하여 포럼 기간중 활발한 토론과 의견 교환이 있기를 기대합니다.

내외 귀빈 여러분,

최근 우리는 아시아 전역에서 민주화와 리더십 변화의 물결(waves of change)이 일고 있는 것을 목격하고 있습니다. 한국을 비롯한 중국, 일본 동북아 3국에서는 새로운 정부가 출범하였습니다. 파키스탄에서는 최근 선거를 통한 리더십의 변화가 있었으며, 미얀마에서는 오랜 염원이었던 “미얀마의 봄”을 통해 6천만 국민들이 자유와 번영의 미래에 대한 희망을 갖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배경하에 역내 새로운 질서에 대한 비전들이 제시되고 있습니다. 오바마 대통령의 ‘아시아 재균형’, 시진핑 주석의 ‘중국몽’, 푸틴 대통령의 ‘아태 중시’ 정책 등이 대표적인 예라고 할 수 있을 것입니다.

한국에서도 지난 2월 박근혜 대통령이 한국 뿐 아니라 동북아 역사상 최초의 여성 대통령으로 취임하였습니다. 박근혜 대통령은 취임사를 통해 한반도, 동북아, 궁극적으로 전 지구촌 행복을 추구하는 비전을 제시하였습니다.

그러나, 우리는 이러한 변화의 물결이 어려운 도전에 직면하고 있다는 것도 알고 있습니다. 아시아 지역 곳곳에서는 역사, 해상 및 영토 문제 등을 둘러싼 국가간 불신이 증대하고 있으며, 일부 극단적인 경우는 물리적 충돌로 악화될 가능성도 있습니다. 이러한 현상은 역내 경제적 상호의존이 확대됨에도 불구하고 정치․안보 협력이 이에 미치지 못하는 불일치 현상, 소위 “아시아 패러독스”에 기인한 것입니다.

아시아의 한 역사학자는 나라가 몸이라면 역사는 혼이라고 하였습니다. 이러한 격언과 같이, 역사문제는 민족의 영혼에 연관되어 있기 때문에 잘못된 역사인식은 실로 중대한 문제를 야기하고 있는 것입니다. 또한, 서양의 한 학자는 최근 20세기 유럽의 분쟁이 육상경계(landscape)를 놓고 일어난 데 반해 21세기 아시아의 분쟁은 해상경계(seascape)를 두고 발생할 수도 있을 것이라는 관찰을 제시하기도 하였습니다.

아시아에서 진정한 평화와 번영이 정착하는 시대가 구현되기 위해서는 갈등의 옛 물결(old waves)이 협력의 새로운 물결로 대체되어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다양한 비전과 정책들이 신뢰와 협력의 구축이라는 공동의 목표를 향해 서로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기울이는 것이 긴요합니다.

아시아 지역 전체에는 아․태경제협력체(APEC), 동남아시아국가연합(ASEAN), 아세안지역안보포럼(ARF), 남아시아지역협력연합(SAARC) 등 다자협력을 위한 많은 시도들이 있습니다. 그러나, 동북아만 놓고 볼 경우, 동북아는 세계에서 유일하게 다양한 공동의 과제들을 다루고 역내 국가들간의 분쟁을 해결하는 다자 메커니즘이 부재한 지역입니다. 물론 과거에도 많은 이니셔티브와 구상들이 제시되었지만, 그 어느 것도 제대로 정착하지 못하였습니다. 실로 동북아는 다자주의 정신이 결핍된 지역입니다.

아마도 근래에 유일하게 살아남은 시도는 한중일 3국간 대화일 것입니다. 3국 정상들은 1999년 ASEAN 정상회의 계기에 회담을 갖기 시작하여, 2008년부터는 3국 정상들이 매년 ASEAN과는 별도로 회의를 개최하여 왔습니다. 2011년에는 서울에 3국 협력을 위한 상설 사무국을 설립하여 3국 협력 제도화의 기틀을 마련한 바가 있습니다. 또한, 작년에는 한중일 투자보장협정을 체결하였고, 한중일 FTA 협상도 개시하였습니다.

최근 박근혜 대통령께서 미국 의회 합동연설에서 설명한 동북아 평화협력 구상은 동북아 지역내에서 그물망 같이 중층적으로 엮어진 상호의존 속에서 취약한 연결고리를 보강하고 공백을 채우기 위한 것입니다. 환경, 재난구호, 원자력안전, 테러리즘 대처 등 연성(soft)의 협력안보 이슈에서 작지만 의미있는 협력을 축적하여 협력의 습관을 형성해 나가고, 궁극적으로 이러한 협력의 습관을 통해 신뢰를 구축함으로써, 평화롭고 협력적이며 책임있는 동북아 시대를 실현하게 될 것입니다.

저는 동북아에서 이러한 구상을 실현하기 위한 시기가 무르익었다고 생각합니다. 이러한 구상의 제안국으로서 한국은 역내 이해당사자들의 지혜를 모아, 공동의 노력을 시작하고자 합니다. 과거 유사한 시도들의 실패에 비추어 볼 때, 동북아 환경에 부합하는 맞춤형 접근방식이 필요합니다. 모든 참여국들이 편하게 생각할 수 있는 속도로 진행되어야 할 것이며, 미․중․일 등을 포함한 모든 이해당사국들에 대해 참여가 개방된다는 원칙이 견지될 것입니다. 또한, 북한의 비핵화가 다른 적절한 협의체에서 최우선적인 정책 사안으로 다루어질 것이므로, 동북아 평화협력 구상 추진으로 말미암아 북핵문제에 대한 우리의 관심이 줄어들지도 않을 것입니다.

내외 귀빈 여러분,

세계 전역에 변화의 바람이 불고 있으나, 그와 같은 변화의 바람에 순응하지 않는 한 곳이 있습니다. 그 곳은 북한입니다. 북한은 변화의 대세를 거부하고 있으며, 핵무기․미사일 개발을 통한 도발과 위협을 계속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박근혜 정부는 지속가능한 평화와 궁극적으로 평화적 통일을 구현하기 위해 신뢰프로세스를 통한 북한의 변화를 유도하고 있습니다.

많은 사람들은 북한을 상대로 어떻게 신뢰프로세스를 가동할 수 있는지 의문을 제기하기도 합니다. 우리도 물론 이러한 우려를 잘 인식하고 있습니다. 이 부분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설명 드리고자 합니다. 신뢰가 형성되기 위해서는 각측이 일관성을 유지하면서 기존의 약속과 합의된 원칙들을 지켜야만 합니다. 약속의 파기에는 상응하는 대가를 치러야 합니다. 한반도 신뢰프로세스에는 평화지키기와 평화만들기라는 두 가지 측면이 있습니다. 우리는 평화를 지키기 위해 북한의 핵보유를 절대 용납하지 않을 것이고 북한의 도발에는 상응하는 대가가 따르도록 할 것입니다. 이는 강력한 한미 연합 억지력을 바탕으로 이루어질 것입니다. 한편, 우리는 평화를 만들기 위해 우방국 및 파트너들과 함께 대화와 협력의 문을 열어놓고 북한의 올바른 선택을 유도해 나갈 것입니다. 북한이 그와 같은 선택을 한다면, 우리는 국제사회와 함께 북한을 지원해 나갈 것입니다.

현실에 비추어 볼 때, 북한은 한반도 신뢰프로세스의 이익을 향유할 준비가 되어있지 않은 것으로 보입니다. 다들 아시다시피, 지난주 북한의 특사가 중국을 방문한 바 있습니다. 이틀 전 기자회견에서 저는 이에 대한 우리 정부의 평가와 견해를 밝힌 바 있습니다. 첫째, 우리는 중국이 북한에 대해 비핵화 원칙을 강조한 것을 평가합니다. 둘째, 북한이 대화 용의를 표명했다는 것과 관련하여서는, 대화를 위한 대화는 안되며, 북한은 행동을 통해 진정성을 보여야 합니다. 셋째, 우리 정부는 이를 위해 6자회담 당사국 및 국제사회와 계속해서 긴밀히 협력해 나갈 것입니다.

결론적으로 평화롭고 협력적인 동북아는 한반도의 지속가능한 평화 정착에 도움이 됩니다. 동시에 평화롭고 안정적인 한반도는 평화롭고 협력적인 동북아를 구현하는데 기여할 것입니다. 독일의 사례에서 보듯이, 동․서독간의 문제는 유럽 전체의 평화와 서로 연결되어 있었습니다. 중동지역에서는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간의 문제가 중동의 평화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내외 귀빈 여러분,

모두에서 말씀드렸다시피, 아시아 각지에서는 자유와 번영을 향한 새로운 물결이 흐르고 있습니다. 이러한 물결은 거스를 수 없는 역사 발전의 필연이기도 합니다. 우리는 이러한 변화를 두려워해서는 안 됩니다. 오히려, 이러한 변화들이 일어나도록 해야 합니다. 아시아의 진정한 새 시대를 열어나가기 위하여, 변화의 물결을 주도적으로 활용하고 우리에게 다가올 도전들에 대처하기 위한 통찰력 있는 비전들이 제시되길 기대합니다. 감사합니다.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