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연설문

‘코리아 소사이어티(Korea Society)’ 연례만찬 기조연설(9.25) - 미래를 만들어 나가는 한미 동맹

작성일
2013-09-26 19:50:00
조회수
5608


☞ 관련 동영상 바로보기


Keynote Speech by

H.E. Yun Byung-se
Minister of Foreign Affairs, Republic of Korea

The Korea Society Annual Dinner
The Plaza Hotel, New York City
September 25, 2013

The ROK-U.S. Alliance:
Destined to Shape the Future


Thank you, Tom. As always you are very kind to me.

They say wine and friends get better with time. And after 56 years, the friendship of the Korea Society is of the finest vintage.

For the Korea-U.S. Alliance, the role of the Korea Society is crucial.
It is promoting greater understanding and cooperation between the peoples of the U.S. and Korea through multi-focused programs.

Indeed, you have truly created a thriving community. I had hoped to join you on “Young Professionals Night”, but I was told I was no longer young enough!

I am grateful to be here with so many distinguished guests from such diverse sectors of both countries. All of you exemplify the wide spectrum of the Korea-U.S. relationship.


Ladies and gentlemen,

This year, as you know, is a very special year. It is the 60th anniversary of the Korean Armistice Agreement. Both presidents of Korea and the U.S. were present at special commemoration ceremonies. President Obama declared the Korean War “a victory.” President Park urged that we open a new era of peace and hope on the Peninsula.

And next Tuesday, we will commemorate 60 years since the two countries signed the historic ROK-U.S. Mutual Defense Treaty that gave birth to our unshakable alliance.
This was more than a security agreement; it was a promise for an enduring alliance.

Over these 60 years, both sides have consistently delivered.

From these modest beginnings came a miraculous transformation of my country: from oxcarts to brand-new, fancy cars; from a per capita income of 67 dollars a year to 23,000 dollars today; from trot music of the postwar Korea to “gangnam style.”

The journey toward freedom and democracy, peace and prosperity began on that day in 1953.

Our alliance has endured and matured for the last six decades. It has been tested and held firm. On this Diamond Anniversary of our relationship, our alliance is as solid as diamond.

It has been a model partnership, now the linchpin of peace and stability in the Asia Pacific. We stand shoulder-to-shoulder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sharing the responsibilities – and leadership, too.

Of course, the true strength of the Korea-U.S. partnership lies not in our combined military power – formidable as it may be. Nor does it come from the twin engines of our economies - yours the largest, ours the 15th-largest in the world.

The true and driving bedrock of the Korea-U.S. alliance is trust: the trust that exists between our countries, among our leaders and citizens, the trust forged in the fight for freedom and democracy.

Ours is a dynamic relationship not only of shared interests but of shared history and values.

Trust flows from that. Trust is the glue that binds us.

As we continue to confront serious common challenges, we are at the same time faced with shared opportunities as well, opportunities in three concentric arenas on the Korean Peninsula, within Northeast Asia, and around the globe.

Tonight, I would like to address each of these areas in turn, focusing on how we can together promote a foreign policy built on trust.

Distinguished guests,

The world, as we are reminded all too often, can be a dangerous place. We know that for the duration of President Park’s administration and beyond it, we will confront uncertain and tough reality.

To meet this test, the Park Geun-hye government has proposed the new policy of “trustpolitik.”

I know that “trustpolitik” might sound like a strange idea – even a little romantic, perhaps. But I assure you that this is no naïve dream.

Rather, it is grounded in a hard-nosed assessment of Korea’s unique historical experience and the realities of the region.

President Park and I believe that through trustpolitik we can gradually establish an infrastructure of trust between countries and leaders, and cooperate towards common goals.

We must remember that peace without trust is fragile; but trust without credible deterrence is simply wishful thinking.

The trustpolitik approach is the goal as well as the means of our foreign policy. We offer neither appeasement nor confrontation; instead, we offer a practical, achievable way forward for all who are willing to reach for it.


Ladies and gentlemen,

The most important goal of this trustpolitik is to establish a sustainable peace and, ultimately to work towards the peaceful 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It is a two-track process.

One track is “peace-safeguarding”, maintaining peace based on credible and strong deterrence.

But peace-safeguarding is not sufficient on its own. That is why we must work even harder at the second - and more difficult - track, which is “peace-making” by building trust through dialogue and cooperation.
It is a policy of “being strong when strength is needed, being flexible when flexibility is needed.”

We call this two-track strategy “the Trust-Building Process on the Korean Peninsula.”

How has this two-track strategy worked in the real world?

First of all, on North Korean nuclear issue, we have closely coordinated with the U.S. and the international community for the last several months to build up pressure on North Korea.

At the beginning of this year North Korea conducted its third nuclear test, and we were clearly reminded that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 does not present a remote risk, but rather a pressing threat to international peace and security.

To this clear and present danger, international community responded in a concerted and resolute manner. United Nations Security Council lost no time in adopting the strongest-ever sanctions resolution on North Korea. Even China and Russia came on board, and they have been implementing the resolution in good faith.

These all led to North Korea’s further isolation and economic desolation.

Now in the face of ever growing international pressure, North Korea, desperate to ease it, is saying that it is ready to hold any kind of dialogue, without any precondition. But how can we trust North Korea after so many broken promises?

I cannot emphasize enough that Seoul and Washington are open to dialogue. However, there should be no more hollow dialogue.

Meaningful dialogue with Pyongyang will be possible only after North Korea proves its genuine readiness to fully comply with its denuclearization commitments and obligations.

Nuclear arms cannot guarantee North Korea’s security. They would only deprive North Korea of the opportunity to achieve economic development.

North Korea needs to choose whether it will continue to walk down the path of self-ruin by clinging onto nuclear weapons, or take a broader, brighter path of prosperity by giving up its nuclear ambitions.
Working closely together, our two countries must roll back the North’s nuclear program through “stronger pressure and robust diplomacy.”

Given the increasing nuclear threat posed by the North Korea, Korea and the U.S. will flesh out the Extended Deterrence Strategy in detail in the near future.

We also need strategic cooperation from our regional partners, in particular China as an integral part of this puzzle.


Ladies and Gentlemen,

Even though North Korean nuclear issue is intractable, in essence, this is a part of broader North Korea question. Our preference, in that sense, is that North Korea should change both its mindset and mischievous behavior by itself.

But if North Korea cannot change on its own, we will need to foster a unified environment in which North Korea has no choice but to change – and sooner rather than later.

As President Park said in her speech before the U.S. Congress last May, “In order to induce North Korea to make that choice, the international community must speak with one voice. Its message must be clear and consistent.”

Around the moment President Park was elected, North Korea tried to test our new government with the same series of provocations. But, our response now differs from before.

We have not allowed Pyongyang to dictate the situation.

We have not tried to placate the regime; nor did we seek an agreement for the sake of agreement.

Instead, we have maintained strong deterrence while leaving a door open for dialogue and humanitarian assistance.

Last month, after half a year of stubborn refusals, North Korea agreed to resume operations at the Kaesong Industrial Complex. It also agreed to restart the family reunions which have been halted for the last three years.

But, conversely, just 3 days ago, North Korea once again fractured the promise to restart the family reunion, breaking the hearts of hundreds of separated families.

Here, we have a sense of deja-vu. This unpredictability is the hallmark of North Korea’s behavior.

Some may argue that trust-building vis-a-vis North Korea is a futile exercise. Although we may see North Korea’s preposterous behaviors in coming months and years, there are several reasons why we should not give up our principled efforts to change North Korea.

There are many lessons we’ve learned from recent history. In this regard, I would like to remind you:

In the 1950s, few people thought the nations of Europe could eventually integrate into the European Union, as you see it now.

In the 1970s, few expected to see President Nixon going to China, or Begin and Sadat signing a peace treaty.

And just two years ago, few thought that the moment of the Presidents of the U.S. and Myanmar shaking hands would come so soon.

The road ahead will be bumpy, but if we stay on course with the two-track strategy of trustpolitik in coordination with the U.S. and other partners, then, ultimately we’ll be able to build “a new kind of Korea.”

A Korea where peace and stability are enduring.

A Korea that taps the full potential of the entire Peninsula.

A Korea where “north” and “south” are directions, not divisions.


Ladies and gentlemen,

As we work toward sustainable peace on the Peninsula, we must also enhance partnership in the Asia-Pacific.

This is, after all, a “Pacific Century.”

The region’s economies are becoming more and more intertwined. And yet within the region, political and security cooperation lags far behind our soaring economic connections and clout.

We call this the “Asian Paradox.”

Historical and territorial tensions are often to blame. But it should not be the reason why we cannot start a trust-building process in our part of the world, based on the common interests of countries in the region.

In this context, Korea is pursuing what we call “the Northeast Asia Peace and Cooperation Initiative.”

Instead of creating economic hurdles, we will further enhance our interdependence.

Instead of being complacent with ad hoc meetings, we will institutionalize dialogue and cooperation.

Instead of waiting for the changes to come, we will make changes.

Some question whether such regional cooperation is truly possible in our part of the world. It is better, however, to ask whether maintaining the status quo is sustainable and even possible.

Nations that trade together, and peoples that flock to see the same blockbuster movies and pop stars, cannot long remain apart.

I understand that some show deep interest on this Initiative. So let me highlight a few things tonight.

This Initiative will not go against the alliance — rather, it will complement Washington’s “Rebalancing” to Asia, as both aim to advance the security, prosperity and human dignity in the region.

This Initiative will not exclude any key country in the region — it will include all stakeholders including Japan.

This Initiative will not replace any ongoing effort for regional cooperation – it will replace, instead, the tension and conflict in the Northeast Asia.

These, I know, are ambitious aims – but our approach will be practical, deliberate and incremental.

We will begin with manageable issues – bite-sized, you could say – and then gradually expand the scope of cooperation.

This is what we proclaimed in the final sentence of the Joint Declaration commemorating the 60th anniversary of the alliance: “As allies and Asia-Pacific nations, we look forward to shaping together the future of Asia.”


Ladies and gentlemen,

Lastly, I wish to speak about trustpolitik writ large, and a Korea that embraces its global role.

Before I came to speak with you, I attended a conference on global poverty co-hosted by the UN Development Program and the World Bank.

As a donor-country diplomat, I was invited to speak about eradicating poverty around the world.

It was moment to reaffirm that we’re deeply engaged with the wider world.

It was a moment to demonstrate that we are determined to repay the world’s assistance with our own.

This is why we have sent troops to all corners of the world including Afghanistan and Iraq, Haiti and the Horn of Africa, Lebanon, East Timor and South Sudan.

Now, we are second only to the U.S. in the number of volunteers we send abroad. And Korea’s development agency, KOICA, whose chairman is here, Ambassador Kim, and the U.S. Peace Corps work together in the various international development projects.

We are also sharing our experience of “Saemaeul Undong” or the “New Community Movement” with many developing countries. Now, it’s becoming a flagship overseas development strategy of Korea.

As a member of the UN Security Council, the G20 economies, and a leading advocate of “green growth”, Korea is playing an increasingly active role in addressing various challenges, from armed conflict to economic crises to climate change.
This we will continue to do.

To use a word you don’t often hear in diplomatic circles, our goal is to become an “agent of trust”, to become a “proliferator of happiness” to the world.


Distinguished guests,

Looking back on the path that we have traveled, there have been many obstacles and challenges. But we always thought ahead and stayed ahead.

Yes, the Super 301 in 1980s was a thorny issue but from that we initiated the Korea-U.S. Economic Consultations

Yes, the Bilateral Investment Treaty touched off some sensitive nerves, but we went way beyond it and ended up signing the KORUS FTA, a significant reinforcement of the alliance.

Creative thinking and mutual trust enabled us to cope well with changing circumstances and daunting challenges.

And this will be the way our alliance will prepare for the next 60 years and beyond, starting with issues like defense burden sharing, peaceful nuclear cooperation agreement and wartime operational control transfer.

As the Foreign Minister of the Park Geun-hye government, I have the honor of helping to write the next chapter in our proud and shared history.

Toward an alliance that will help to bring a free and unified Peninsula.

An alliance that will stand as a pillar of cooperation in Northeast Asia.

An alliance that will spread peace and freedom around the world.

As we begin this new chapter, I would like to thank all of those who wrote the previous one. In particular, I wish to extend a special appreciation to the devoted diplomats of both of our countries - and to congratulate you on receiving this year’s well-deserved Van Fleet Award.

Our diplomats here are the unsung heroes. When the guns fall silent, it is the diplomats who work to prevent wars and to build peace.

As former Secretary of State Dean Acheson stated in his well-known memoir, the diplomats are always there, “present at creation” of our history.


Ladies and gentlemen,

On the southern tip of this Manhattan Island, not so far from here, there is a Korean War Memorial that pays a touching tribute to the enduring Korea-U.S. alliance.

Through the larger-than-life silhouette of an American soldier, you can view the Statue of Liberty in the distance - embodying freedom.

And every July 27th, at 10:00am - the exact time hostilities ceased in 1953 - the sun shines through that soldier’s outline, illuminating a commemorative plaque.

Reminding us that we are bound by past and present, and we are destined to shape the future.

At that moment, building a world based on trust doesn’t seem so unattainable.

Thank you all very much.


--------------------------------------------------------------------------------------------(
비공식 번역본)



미래를 만들어 나가는 한・미 동맹


토마스 허버드 이사장님. 항상 친절하게 맞이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와인과 친구는 시간이 갈수록 더욱 좋아진다는 말이 있습니다. 코리아 소사이어티와의 지난 56년간의 우정은 잘 숙성된 최상급의 와인과도 같습니다.

그간 코리아 소사이어티는 한・미 동맹을 위해 긴요한 역할을 해왔습니다. 다양한 분야에 초점을 맞춘 프로그램들을 통해 한・미 양국 국민 간 이해와 협력을 증진시킴으로써, 양국 관계를 진정으로 번영하는 공동체로 만들었습니다. 저도 얼마 전 "Young Professionals Night"에 참석했으면 했는데 나이가 들어 자격요건이 되지 않는다고 하더군요.

오늘 한・미 양국의 다양한 분야를 대표하는 저명한 분들과 이 자리를 함께하게 된 것을 감사하게 생각합니다. 여기 모인 여러분들은 한・미 관계의 폭이 얼마나 넓은지를 잘 보여주고 있습니다.

  
내외 귀빈 여러분,

​이미 잘 알고 계시겠지만, 올해는 매우 특별한 해입니다. 올해는 6.25 전쟁 정전협정이 체결된 지 60년이 되는 해로, 한・미 양국 대통령께서는 각각 이를 기념하는 특별한 행사에 참석하셨습니다. 오바마 대통령께서는 6.25 전쟁이 '승리'였다고 선언하셨고, 박근혜 대통령께서는 한반도에서 평화와 희망의 새 시대를 열어가자고 하셨습니다.

​그리고 다음 주 화요일, 우리는 확고부동한 한・미 동맹을 탄생시킨 역사적인 한・미 상호방위조약 체결 60주년을 기념하게 됩니다.

한・미 상호방위조약은 단순한 안보조약 그 이상의 의미를 갖고 있습니다. 이는 동맹이 영속해 나갈 것이라는 점에 대한 하나의 약속이었으며, 지난 60년이 넘는 세월 동안 한・미 양국 모두 그 약속을 일관되게 지켜왔습니다.

60년 전 대한민국은 초라하게 시작했으나 그 이후 기적적인 변화를 겪어왔습니다. 달구지는 최신형 세단으로, 67불에 불과했던 1인당 국민소득은 이제 2만3천불로, 그리고 전후의 트로트 음악은 오늘날의‘강남스타일’로...
  
​1953년 바로 그 날, 자유와 민주주의, 그리고 평화와 번영을 향한 여정이 시작되었습니다.

한・미 동맹은 지난 60년간 착실히 성숙해왔습니다. 때로는 시련도 있었지만 굳건히 버텨냈습니다. 올해 'Diamond Anniversary'를 맞이한 한・미 동맹은 말 그대로 다이아몬드와 같이 견고합니다.

한・미 동맹은 모범적인 동반자 관계로 발전해 왔으며, 이제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평화와 안정을 위한 핵심 축이 되었습니다. 양국은 국제사회에서 어깨를 맞대고, 함께 책임을 나누고 리더십을 발휘하고 있습니다.

한・미 동맹의 진정한 힘은 양국의 강력한 군사력에서 나오는 것이 아닙니다. 각각 세계 1위와 15위 규모인 양국의 경제력에서 나오는 것도 아닙니다.

​한・미 동맹의 진정한 근간이자 동력은 바로 양국 간, 양국 지도자 간, 그리고 양국 국민들 간의 신뢰에 있습니다. 이는 자유와 민주주의를 위해 함께 싸워가며 형성된 신뢰입니다. 
 
​한・미 동맹은 공동의 이익을 넘어, 양국이 공유하는 역사와 가치로 이루어진 역동적인 관계입니다.

신뢰는 바로 여기에서 흘러나옵니다. 신뢰는 우리를 하나로 묶는 아교와도 같습니다.

​우리는 앞으로도 공동의 도전에 대응해 나가겠지만, 이와 동시에 기회도 함께 갖게 될 것입니다. 이러한 기회는 한반도, 동북아, 그리고 범세계라는 3가지 핵심 영역에서 찾아올 것입니다.

​오늘 본인은 이러한 3가지 영역을 차례로 다루면서, 우리가 신뢰에 기반을 둔 외교 정책을 어떻게 함께 펼쳐나갈 수 있을 것인지 말씀드리고자 합니다.

  
​내외 귀빈 여러분, 
 
​너무 자주 듣는 이야기지만, 우리가 살고 있는 세계에는 위험이 도사리고 있습니다. 우리는 박근혜 정부 임기와 그 이후에도 계속해서 불확실하고 어려운 상황에 직면하게 될 것임을 알고 있습니다. 
 
우리 정부는 이러한 도전에 대응하기 위해 '신뢰외교'라는 새로운 정책을 제시하였습니다.

 '신뢰외교'라는 정책이 생소하게, 심지어는 다소 낭만적으로 들릴 수도 있을 것입니다. 하지만 분명하게 말씀드리고 싶은 점은, 신뢰외교는 순진한 꿈이 아니라는 것입니다. 오히려 대한민국의 특수한 역사적 경험과 동북아의 현실에 대한 냉철한 분석에 근거하여 도출된 정책입니다.
 
박근혜 대통령과 본인은 믿고 있습니다. 우리가 신뢰외교를 통해 국가 간, 지도자 간 신뢰의 인프라를 점진적으로 구축하고, 공동의 목표를 향해 협력해 나갈 수 있다는 것을. 신뢰 없는 평화는 깨지기 쉬우며, 반면 믿을 수 있는 억지력에 기초하지 않은 신뢰는 단순히 희망 사항에 불과하다는 점도 기억해야 할 것입니다. 
 
이러한 신뢰외교는 우리 외교 정책의 목표이자 수단입니다. 우리는 유화정책이나 대결구도를 제시하는 것이 아닙니다. 대신, 실질적이고 달성 가능한 전향적인 방안을 제시하는 것입니다.
 
 
내외 귀빈 여러분, 
 
신뢰외교의 가장 중요한 목표는 한반도에 지속 가능한 평화를 정착시키고 궁극적으로는 평화 통일을 이루어 나가는 것입니다.

이는 two-track으로 추진됩니다.

하나는 '평화 지키기'로서, 신뢰할 수 있는 강력한 억지력을 기초로 평화를 지키는 것입니다.

하지만, '평화 지키기'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더 어려운 두 번째 트랙, 즉 대화와 협력을 통해 신뢰를 구축해 나가는 '평화 만들기'에 더욱 주력해야 합니다.

다시 말해, 신뢰외교는 “강해야 할 때는 강하게, 유연해야할 때는 유연하게”해 나가는 정책인 것입니다. 이러한 two-track 전략이 바로 '한반도 신뢰 프로세스'입니다. 

그렇다면, 이러한 two-track 전략이 현실에서 어떻게 작동되어 왔을까요?

먼저, 북핵 문제에 있어, 우리 정부는 지난 몇 달간 미국은 물론, 국제사회와의 긴밀한 공조 하에 북한에 대한 압박을 강화해왔습니다.

올해 초, 북한은 제3차 핵실험을 감행하였으며, 이로써 우리는 북핵 문제가 더 이상 먼 미래의 위험이 아닌, 국제 평화와 안전에 대한 시급한 위협이라는 점을 다시 한 번 분명히 깨닫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명백하고 현존하는 위험에 대해, 국제사회는 단합하여 단호하게 대응하였습니다. 유엔 안보리는 그 어느 때보다 강력한 대북제재 결의안을 지체 없이 채택하였습니다. 중국과 러시아도 결의안 채택에 찬성하였을 뿐 아니라, 제재를 충실히 이행해 오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북한의 고립과 경제적 궁핍은 더욱 심화되었습니다.

그 어느 때보다 강력한 국제적 압력에 직면한 북한은, 이제 궁여지책으로, 아무 전제 조건 없이 어떠한 형태의 대화도 할 준비가 되어 있다고 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여러 차례 약속을 어겨온 북한의 말을 어떻게 신뢰할 수 있겠습니까?

분명히 말씀드리지만, 한국과 미국은 대화의 문을 열어놓고 있습니다. 그러나 더 이상 공허한 대화가 있어서는 안 됩니다.

북한 스스로 비핵화에 대한 약속과 의무를 완전히 이행하겠다는 진정성 있는 태도를 보여줄 때에만 북한과의 의미 있는 대화가 가능할 것입니다.

핵무기는 결코 북한의 안전을 보장해 주지 않을 것이며, 경제발전의 기회를 박탈할 뿐입니다. 북한은 핵무기에 집착함으로써 자멸의 길로 계속 나아갈 것인지, 아니면 핵을 포기하고 보다 넓고 밝은 번영의 길로 나올 것인지 선택해야 합니다.

한・미 양국은 상호 긴밀한 공조 하에‘보다 강력한 압박과 강력한 외교(stronger pressure and robust diplomacy)’를 통해 북한의 핵 프로그램을 후퇴(roll back)시켜야 합니다.

북한의 핵위협이 지속 증가하고 있음을 감안하여, 한・미 양국은 가까운 시일 내에 확장억지 전략을 구체화해 나갈 것입니다.

또한, 역내 주변국들, 특히 이 문제를 해결하는 데 핵심인 중국으로부터의 전략적인 협력도 필요로 합니다. 
 
 
내외 귀빈 여러분,

북한의 핵문제가 어려운 이슈이긴 하지만, 본질적으로는 북한이라는 더 큰 문제의 일부분입니다. 이러한 점에서, 북한이 자신의 사고방식과 잘못된 행동을 스스로 고쳐나가는 것이 바람직할 것입니다.

하지만, 북한이 스스로 변화할 수 없다면, 북한이 변화할 수밖에 없는 환경을 만들어 나가야 할 것이며, 이는 빠를수록 좋습니다.

박 대통령께서 지난 5월 미 의회에서 말씀하셨듯이, "북한이 올바른 선택을 하도록 유도하기 위해서는 국제사회가 하나의 목소리로, 명확하고 일관된 메시지를 보내야" 합니다.

북한은 박근혜 대통령께서 당선된 즈음부터 과거와 같은 일련의 도발을 통해 우리 신 정부를 시험하려 했습니다. 그러나, 이제 우리의 대응은 과거와 다릅니다.

우리는 북한이 상황을 주도하도록 허락하지 않았습니다.

우리는 북한을 회유하려 하지 않았으며, 합의만을 위한 합의를 추구하지도 않았습니다.

우리는 강력한 억지력을 유지하는 동시에, 대화와 인도적 지원의 문은 열어 두었습니다.

지난 달, 북한은 반 년 동안 줄기차게 거부해온 개성공단 재가동에 동의하였습니다. 뿐만 아니라, 지난 3년간 중단되었던 이산가족 상봉 재개에도 동의하였습니다.

그러나 바로 사흘 전, 북한은 이산가족 상봉을 재개키로 한 약속을 또 한번 파기하면서, 수백 명의 이산가족들의 가슴에 큰 상처를 남겼습니다.

여기서 우리는 과거 북한의 행태를 떠올리게 됩니다. 이러한 예측 불가능성은 북한의 전형적인 행태입니다.

일각에서는 북한과의 신뢰구축 노력이 부질없다고 주장할 수도 있습니다. 앞으로 수개월 또는 수 년 동안 계속해서 북한의 비합리적인 행태를 볼 수도 있겠지만, 우리가 원칙에 입각한 노력을 통해 북한을 변화시켜 나가는 것을 포기해서는 안되는 여러 가지 이유가 있습니다.

최근 역사적 사실만 봐도 많은 교훈을 얻을 수 있습니다. 이 중 몇 가지를 상기시켜 드리고자 합니다.

1950년대에만 하더라도 유럽 지역 국가들이 궁극적으로 유럽 연합으로 통합되리라 생각했던 사람은 거의 없었습니다. 1970년대 그 누구도 닉슨 대통령이 중국을 방문하는 모습이나 이스라엘의 베긴 총리와 이집트의 사다트 대통령이 평화협정에 서명하는 모습을 볼 수 있을 것이라고 예상하지 못했습니다. 그리고 바로 2년 전만해도, 미국의 대통령과 미얀마의 대통령이 악수하게 되는 순간이 이렇게 빨리 오리라 생각하는 사람도 거의 없었습니다.
 
앞으로 가야할 길은 험난할 것이지만, 우리가 미국과 다른 국가와의 공조 하에 신뢰외교의 two-track 전략을 일관성 있게 유지한다면, 궁극적으로 새로운 한국(new kind of Korea)을 만들어낼 수 있을 것입니다.

평화와 안정이 지속되는 한국...

한반도 전체의 잠재력을 완전하게 실현하는 한국...

‘남’과‘북’이라는 단어가 분단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방향만을 지칭하는 그런 한국을...
  

내외 귀빈 여러분,
 
우리는 한반도의 지속가능한 평화를 추구함과 동시에,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의 파트너십도 강화해야 합니다.

우리는 '태평양 시대'에 살고 있습니다.

동북아 지역의 경제는 점점 더 밀접한 관계를 맺어가고 있습니다. 하지만, 정치・안보 분야에서의 협력은, 날로 증대되고 있는 역내 경제적 연계성과 영향력에 비해 훨씬 뒤처져 있습니다.

우리는 이러한 상황을‘아시아 패러독스’라고 부릅니다.

역사적, 영토적 갈등이 아시아 패러독스의 주원인으로 종종 지목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것이 동북아 지역에서 역내 국가들의 공동 이익에 기초한 신뢰 구축 프로세스를 시작할 수 없는 이유가 되어서는 안될 것입니다.

이러한 맥락에서, 우리 정부는 '동북아 평화협력구상'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우리는 무역 장벽을 새로 쌓기보다는, 상호 의존성을 더욱 증진해 나갈 것입니다.

우리는 비정례적 협의에 만족하기보다는, 대화와 협력을 제도화시켜 나갈 것입니다.

변화가 찾아오기를 기다리기보다는, 변화를 만들어 나갈 것입니다.

그러한 협력이 이 지역에서 진정으로 가능한지 의문을 갖는 분들도 있을 것입니다. 그러나 본인은 오히려 언제까지 현재 상태가 유지될 수 있을 것인지, 그리고 유지 가능한 것인지 반문하고 싶습니다.

상호교역하는 국가들, 같은 블록버스터 영화와 인기 가수들을 보기 위해 몰려드는 사람들은 더 이상 떨어져 있을 수 없습니다.

'동북아 평화협력 구상'에 관심을 갖고 계신 분들이 있는 것으로 알고 있기에, 본인은 오늘 이 자리를 빌려 몇 가지를 강조하고자 합니다.

동북아 평화협력구상은 한・미 동맹과 상충되지 않으며, 오히려 미국의 아・태 재균형 정책을 보완해 나갈 것입니다. 두 정책 모두 역내 안보, 번영, 그리고 인간의 존엄성을 증진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역내 어떠한 핵심 국가도 배제하지 않을 것입니다. 일본을 포함한 모든 이해 당사국들이 포함될 것입니다.

역내 협력 증진을 위해 이미 추진되고 있는 어떠한 노력도 대체하지 않을 것입니다. 동북아 평화협력구상이 대체하는 것은 바로 동북아 지역의 긴장과 갈등이 될 것입니다.

이러한 목표들이 야심차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우리는  실용적이면서도 신중하게, 점진적으로 접근해 나갈 것입니다.

우선 다루기 용이한 이슈들, 쉽게 시작할 수 있는 이슈에서부터 시작하여, 점진적으로 협력의 범위를 넓혀 나갈 것입니다. 

이것이 지난 5월 채택된 '한・미 동맹 60주년 기념 공동 선언' 중 마지막 문장, 즉 "동맹국으로서 그리고 아시아・태평양 국가로서, 우리는 다가오는 세대를 위한 아시아의 미래를 함께 만들어 나가길 기대한다."에 담겨 있는 취지입니다. 
 
 
내외 귀빈 여러분,

마지막으로, 본인은 더 큰 차원에서의 신뢰외교, 즉 범세계적 역할을 수행하는 한국에 대해 말씀드리고자 합니다.

지금 이 자리에 참석하기 전, 본인은 UNDP와 세계은행이 공동 주최한 국제 빈곤에 관한 국제회의에 참석하였습니다.

공여국 대표 중 하나로 초청받아, 전 세계 차원에서의 빈곤퇴치에 대한 연설을 하였습니다. 

우리가 범세계적 이슈에 깊이 관여하고 있음을 재확인할 수 있었던 순간이었습니다.

국제사회로부터 받았던 지원을 보답해 나가겠다는 의지를 보여줄 수 있던 순간이기도 했습니다.

이것이 바로 우리가 아프가니스탄과 이라크, 아이티와 아덴만, 레바논, 동티모르, 그리고 남수단 등 전 세계 곳곳에 병력을 파견해 온 이유입니다.

이제 한국은 미국에 이어 세계에서 두 번째로 봉사단을 많이 파견하는 국가가 되었으며, 한국의 KOICA와 미 평화봉사단은 다양한 국제개발 사업에서 협력하고 있습니다.

또한 한국은 많은 개발도상국과 '새마을 운동'의 경험을 공유하고 있으며, 이는 이제 한국의 대표적인 해외 개발협력 전략이 되고 있습니다.

한국은 유엔 안보리 이사국으로서, G20 국가로서, 그리고 '녹색성장'의 주창자로서, 무력충돌과 경제 위기, 기후변화에 이르는 다양한 도전에 대처하는데 더욱 적극적인 역할을 수행해 나가고 있습니다.

그리고 우리는 이러한 역할을 계속해 나갈 것입니다.

우리의 목표는, 외교가에서 잘 듣기 힘든 표현이긴 하지만, 바로 범세계적인 '신뢰의 전도사', '행복의 확산자'가 되는 것입니다.
 
 
내외 귀빈 여러분,

우리가 함께해 온 여정을 되돌아보면 많은 장애물과 도전들이 있었습니다. 그러나 우리는 언제나 한 발 앞서 생각하고 한 발 앞서 나가 있었습니다.

그렇습니다. 슈퍼 301조는 매우 어려운 문제였습니다만 이 문제로부터 양국은 '한・미 경제협의회'를 발족시켰습니다. 양자투자협정 문제 역시 민감한 부분을 건드리는 이슈였습니다만 우리는 이를 뛰어 넘어 한・미 FTA 협정을 체결하여, 한・미 동맹을 더욱 강화시켰습니다.

우리는 창의적인 사고와 상호 신뢰를 통해, 변화하는 환경과 어려운 도전들에 대해 효과적으로 대처해 온 것입니다.

우리는 바로 이렇게 향후 60년과 그 이후를 준비해 나가고자 합니다. 방위비 분담, 한・미 원자력 협력협정, 그리고 전시작전통제권 전환과 같은 이슈들에서부터 이렇게 처리해 나갈 것입니다.

박근혜 정부의 외교장관으로서, 본인은 영광스럽게도 양국이 함께 해온 자랑스러운 역사의 새로운 장을 써 내려가는데 기여할 기회를 가지게 되었습니다.

자유롭고 통일된 한반도의 도래를 돕는 동맹..

동북아 협력의 중추로서 우뚝 서는 동맹..

전 세계에 평화와 자유를 확산시키는 동맹..

역사의 새로운 장을 시작하는 이때, 본인은 지금까지의 역사를 써 왔던 모든 분들께 감사드리고 싶습니다. 특히, 한・미 양국의 헌신적인 외교관들에게 특별히 감사의 말씀과 함께, 올해 밴 플리트 상을 수상하신데 대한 축하의 뜻을 전해 드리고 싶습니다.

여기 와 계신 양국의 외교관들은 알려지지 않은 영웅들입니다. 총성이 멎은 후, 전쟁을 방지하고 평화를 조성하기 위해 노력하는 이들이 바로 외교관입니다.

애치슨 전 국무장관은 그 유명한 회고록에서 외교관들은 항상 역사를 “창조하는 현장(Present at Creation)”, 그 곳에 있었다고 하였습니다.


내외 귀빈 여러분,

맨하탄 섬의 최남단, 이곳에서 그리 멀지 않은 곳에 6.25전 기념비가 있습니다. 이는 영속적인  한・미 동맹을 기리기 위한 것입니다.

그곳에 있는 실제 사람 크기보다 큰 미국 군인 형상의 윤곽 사이로 저 멀리 자유를 상징하는 자유의 여신상을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매년 7월 27일 오전 10시 - 1953년 한반도에서 총성이 멎은 바로 그 시간이 되면, 태양빛은 그 군인 형상의 윤곽을 통과하여 기념 명판을 빛나게 합니다.

바로 그 순간, 우리는 한・미 양국이 과거와 현재로 하나 되고, 함께 새로운 미래를 구축해 나가게 될 운명임을 다시 깨닫게 됩니다. 

바로 그 순간, 우리는 신뢰에 기초한 세계를 만드는 것이 그리 어려운 것만은 아님을 느끼게 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