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연설문

아산플래넘 2014 외교장관 기조연설문(4.22)

작성일
2014-04-22 14:56:00
조회수
5959

Keynote Speech
“The Future of History: A New Korea, a New Asia, a New World”
by H.E. Yun Byung-se
Minister of Foreign Affairs

The Asan Plenum 2014
April 22, 2014



Dr. Hahm Chaibong,
Dean James Steinberg,
Ambassador Chun Young-woo,
Mr. Robert Einhorn,
Professor Yan Xuetong,
Distinguished guests and
Ladies and Gentlemen,

As you all know, the people of Korea are in a state of profound grief and mourning following the tragic ferry incident. My thoughts and prayers are with the departed, and my condolences are with the bereaved.

As always, I am confident that the Korean people will overcome this ordeal through their strength and resilience, aided by the overflowing sympathy from the international community.

Tragedy and calamity can strike anyone. The important thing is that we come away with the right lessons from them, so that we do not repeat the same mistakes ever again. Through it all, we must open a better future and write a new history.

The British historian Arnold J. Toynbee argued in his magnum opus, A Study of History that history is a continuous process of challenges and responses. Indeed, in the course of overcoming countless challenges, humanity has acquired lessons and developed civilizations – big or small.

In contrast, states and civilizations which failed to learn the right lessons from history or respond appropriately tended to decline.

This is in line with the argument made by E. H. Carr, in his study on the origins of World War II, The Twenty Year’s Crisis. He warns that if leaders fall into the trap of misguided judgment, it may lead to a war and such misjudgment could result in immeasurable suffering of the people and derail the progress of humanity.

When E. H. Carr said that history is “an unending dialogue between the present and the past” and “a continuous process of interaction,” he meant that history is not merely a record of the past, but a living guide for the present and the future.

This year marks the centennial of the outbreak of the World War I and the 25th anniversary of the fall of the Berlin Wall. Next year will mark the 70th anniversary of the end of the World War II and the division of the Korean Peninsula, as well as the 50th anniversary of the normalization of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Korea and Japan. Some countries may have learned the right lessons from their historical mistakes, while others may not.

Against such a historical backdrop, this conference on the theme of “The Future of History” is indeed very timely both intellectually and in terms of foreign policy.

So it is with my great pleasure to take part in this forum, where the world’s foremost thinkers in foreign and security policy have gathered to discuss a wide array of regional and global issues through the prism of history.

I would like to take this opportunity to thank President Hahm Chaibong and the Asan Institute for organizing this meaningful event. I would also like to welcome Dean Steinberg of the Maxwell School and all other guests who are present with us today.

Ladies and Gentlemen,

It was only two decades ago that Professor Francis Fukuyama declared the “End of History” asserting the triumph of liberal democracy and market economy over communism in the wake of the fall of the Soviet Union in 1991. And many at the time anticipated a new Era of Hope as the cold war came to an end.

However, twenty years since then, people are starting to talk about the “Return of History” in the face of historical regressions and anachronisms especially in Europe and in Northeast Asia.

Whether this is the End of History or the Return of History, one cannot deny the fact that the international community is now undergoing a period of historical transition full of uncertainty. I would characterize the present era of uncertainty in the following terms.

First is the challenge of geopolitics. The recent series of events following Russia’s annexation of the Crimean Peninsula have far-reaching implications that go beyond Europe. The evolution of events there will intensify the already controversial debate on the dawning of a new cold war or the return of history.

The worsening historical and territorial conflicts in Northeast Asia, coupled with the rise of China, and Japan’s drive to break with the post-war order point to the ongoing tectonic shifts in the region.

Northeast Asia is a region of dynamic economic growth, where Korea, China and Japan make up 21% of the global GDP. But Northeast Asia is now suffering from the “Asia Paradox,” where deepening economic interdependency is overshadowed by heightening political and security discord.

Faced with a rising China, a resurgent Japan, an assertive Russia, and North Korea with its reveries of a Strong and Prosperous Nation, the United States is pivoting and rebalancing to Asia, while Korea is striving to change the abnormal state of division into a state of integration and unification.

Will Northeast Asia revert to old historical rivalries, or proceed to a future of greater prosperity? The answer to this multi-factor equation will depend on whether we can figure out the solution to the Asia Paradox without the clash of the forces.

Second is the challenge of geoeconomics. The tremors of the global economic crisis that began with the 2008 financial crisis in the US seem to be subsiding. But the IMF’s recent concerns about the uncertainties of the world economy are reminders that the fundamentals of the global economy still remain weak.

Furthermore, despite some recent progress, still the dormant DDA multilateral free trade negotiations has led to the proliferation of bilateral Free Trade Agreements and the push for regional economic integration as new mechanisms for cooperation.

As large pan-regional trade talks, such as the Trans-Pacific Partnership (TTP) and the Trans-Atlantic Trade and Investment Partnership (TTIP) make strides, countries that have relied on bilateral and smaller regional FTAs will face wide-ranging economic challenges.

Third is the challenge of global governance. The proliferation of WMDs; terrorism and radicalism; climate change, the environment and energy problems; poverty reduction and sustainable development; these are transnational, global challenges that require global cooperation without which, they will become great threats to the future of humanity.

Fourth is the epochal challenge on human security. The events of the Arab Spring and conflicts in Africa show us that misgovernment, the oppression of human rights, sectarian conflicts and hunger are no longer domestic problems but matters of concern to neighboring countries and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s a whole, and can turn into international conflicts.

As we mark the 20th year of the Rwandan genocide this year, we need to remind ourselves of the admissions of the former UN Secretary General Kofi Anan that not being able to prevent the genocide in Rwanda – an emblematic case of the crime against humanity – was his greatest regret.

Ladies and Gentlemen,

To many Koreans, this year is of historical significance. It marks the 120th anniversary of Korea's first experiment at Western-style reform which took place during the height of imperialism of the late-19th century.

Sadly, Korea at the time did not possess the knowledge about the outside world nor the strength to protect itself. As a result, reform failed and led to the loss of its sovereignty. Furthermore, the loss of statehood led to the division of the peninsula and the tragic civil war that created the world's most heavily fortified region today.

Today, even as Korea has become one of the world’s leading nations, the legacy of history is far from disappearing. North Korea’s nuclear ambition continues to threaten the peace and stability of Northeast Asia and our relationship with Japan remains contentious over historical issues, including the issue of "comfort women".

As far as the Korean Peninsula is concerned, neither the Cold War nor the history has come to an end.

What does this all mean?

More than anything, it reminds us of the importance of learning the right lessons from history. One of the most important lessons is that, if you are unprepared for historical tides that came to your shore, it is not just you, but your future generations who will bear the cost of your wrong choice.

Another lesson is the importance of diplomacy – making friends and neutralizing enemies. Throughout history, Korea was invaded by outside powers so many times. Throughout the 19th and 20th centuries, Korea learned the hard truth about the nature of power politics.

At almost every turn of our history, such as the end of the Chosun dynasty and the subsequent loss of sovereignty, the division, the war, and the post-war reconstruction; our fate was very much affected by the choices of major stakeholders in Korea at the time. In retrospect, we know many historical mistakes made or wrong-doings done by these stakeholders whose consequences still linger.

In this regard, we are reminded of the insightful warnings of a Canadian journalist named McKenzie who in 1920 wrote about the horrible way in which the Japanese responded to the independence movement that took place in Korea. He wrote, “when you ask me if I would risk a war over Korea, I answer this: Firm action today might provoke conflict, but the risk is very small. Act weakly now, however, and you make a great war in the Far East almost certain within a generation.” We know that McKenzie's prognosis proved correct because one generation later, the Pacific War erupted.

Throughout its modern history, Korea has been the ground-zero for some of the fiercest conflicts between various powers and interests in the form of both hot and cold war. But, as the saying goes, every cloud has a silver lining.

Some hopeful opportunities were also seen with the detente of the East and West in the 70s, and the end of the Cold War in the early 90s, though these turned out to be brief. And two decades later, we are once again witnessing a new historical challenge in this part of the world.

Now, Korea and Northeast Asia are faced with its greatest transformative moment since the end of the Cold War. History seems to be returning and its effects are most palpable in Korea and Northeast Asia. For the first time since the end of the Cold War, Korea’s diplomacy is facing its greatest challenges, which will impact the future of Korea’s history.

The biggest challenge is of course North Korea and its seemingly unyielding nuclear ambitions. The uncertainties in inter-Koran relations have also risen considerably in recent times.

However, the dangers that we face today are far more complex than in the early 1990s following the death of Kim Il-sung and the start of the Kim Jong-il. As we saw last year when Kim Jong-eun executed Jang Sung-taek, the volatility of the regime has sharply increased.

What is worse is that North Korea is now blatantly making known its unwavering commitments to developing nuclear weapons. North Korea even stipulated this in their constitution and says so publically. If North Korea goes ahead with another nuclear test as it has publically warned, it will be a game changer.

Second biggest challenge is the ever-growing tension in Northeast Asia, perhaps at its highest level since the end of the Cold War. Historical and territorial conflicts, and an arms race tend to overshadow other positive interdependence.

Misguided nationalism is rearing its ugly head in some instances. The political dynamics of the region is shaking the geopolitical plate from under the surface. Dr. Kissinger once said, “history knows no resting places and plateaus.” To me, history knows no end, here in Northeast Asia, it is returning with a vengeance.

Ladies and Gentlemen,

As I have mentioned, history may be returning. But Korea is not shying away from its challenges. Because Korea today is no longer Korea of the past. Koreans have learned enough lessons from their own history of the past century.

In the similar vein, I believe that we learned a lot from the world history as well. Seen from the global perspective, history offers us with at least the following three important lessons in responding to challenges.

First, history rewards those who are well prepared to seize the opportunity. The first and foremost example is of course the way Korea has achieved the Miracle on the Han river and is now preparing for the second miracle.

In the wake of US-China détente, China also opted for reform and opening, and seized the opportunity for economic modernization. Known as “the sick man of Asia” in the 19th century, China is standing tall today as one of the G-2. Today, it is dreaming of the “Chinese Dream.”

Not much later, Vietnam joined the race and now even Myanmar is moving toward more opening. In sharp contrast, North Korea remains on its path of regression, fighting desperately for its own survival, making a series of wrong choices.

Second, history is on the side of those who progress toward freedom and justice, despite the ups and downs. Oppression and injustice will ultimately fail. We have seen this time and again in the former Soviet bloc, Eastern Europe, the Middle East, and in Southeast Asia. Northern half of the Korean Peninsula will be no exception to this trend. The most recent report by COI and the response shown by the international community is yet another indication to what to come.

Third, history will betray and punish ultranationalism and chauvinism. Past history showed us that when things were tough, ultranationalism were on the rise. It was almost always surest invitation to self-defeat or common destruction, including war. As Professor Fukuyama warned us, “the idle complacency and unchanging self-identity“ will not lead to progress.

In its contemporary manifestation of ultra- nationalism, the denial of history and attempts to revise history are steps that could lead to self-isolation and repeat of historical wrong-doings.

And when coupled with blind power, we know too well that it becomes a threat not just to your neighbors, but also to the humanity itself. This is why the words of former Chancellor Brandt “those who forget past, cannot see the future” reverberates throughout history as the sound of humanity’s conscience.

Ladies and Gentlemen,

It is with these lessons in mind that the Park Geun-hye Government has set out an audacious step to respond to the challenges of history. Korea succeeded in achieving both full-fledged democracy and advanced market economy, through the Miracle on the Han river. Now, the Park Geun-hye Government’s key goal would be to create a "New Kind of Korea" and bring about the end of history on the Korean Peninsula.

Like the Germans who brought down the Berlin Wall, we will gradually bring down many walls that exist between the two Koreas – the wall of military confrontation; the wall of mistrust; the wall of socio-cultural disparity; and the wall of self-imposed isolation.

The priority value in a "New Kind of Korea" is putting the people of South and North at the center. It is to realize a reunification where all people on the Korean Peninsula are happy.

Of course, it takes two to tango. North Korea should turn back from the path of wrong decisions before too late. The first step should be to abandon its decades-old nuclear ambitio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will not tolerate a nuclear North Korea, and Pyongyang is playing an unwinnable game against the entire international community. Should North Korea insist on the current path, history will show what the end will bring.

Ladies and Gentlemen,

As German reunification came within the larger context of European integration and peace, so will the Korean reunification come in the context of Northeast Asian peace and cooperation. This is why President Park in her Dresden speech stressed the key principles of reunification - unification that promotes harmony with Korea’s neighbors; that wins the blessings from the community of nations; and that serves the cause of the humanity.

As such, the "End of History" on the Korean Peninsula will also serve to bring an "End of History" in Northeast Asia. The vision for a "New Kind of Korea" and its implications on this region and the world are well described in the President's Dresden speech.

First, the reunified Korea will be free from nuclear weapons, respect human rights and democracy, and pursue good neighborliness. The reunified Korea will facilitate regional peace and cooperation, as well as contribute to creating a more responsible and cooperative Northeast Asia.

Second, Korean reunification will also create economic benefits, or peace-dividends. The global investment firm Goldman Sachs predicted that Korea will become the second largest economic power with a per capita GDP of $81,000 by 2050. The emergence of an 80 million strong economy will naturally make the Korean Peninsula a hub of the Pacific and Eurasia, thus providing a new blue ocean for its neighbors and partners.

Third, the reunified Korea will spread universal values and contribute to international peace and security. Furthermore, it will strengthen its role in resolving global issues in a world that is more interdependent than ever.

Ladies and Gentlemen,

Korea has already set its foot out on the journey towards the new future of history. The Park Geun-hye government’s Trustpolitik is the vehicle on this journey. It is a vision as well as a strategy to realize a new kind of Korea, a new kind of Asia, and a new kind of the world.

Learning from the previous history, we have been able to make the right choices. Now, we will put in efforts to secure as many good partners as possible for this journey. We already have a strong network of partnerships. First and foremost, the rock-solid Korea-US alliance, ever deepening strategic partnership with China and Russia, upgraded relationship with ASEAN, EU, and India, and a special cooperation from Germany for reunification.

In this regard, the planned visits by President Obama and President Xi Jinping to Korea will mark another milestone in our efforts to bring peace and stability in the Korean Peninsula and in Northeast Asia. This series of bilateral diplomacy is now backed up by regional diplomacy as well as global diplomacy.

As you are well aware, the Northeast Asia Peace and Cooperation Initiative is aimed at transforming the region’s distrust and confrontation into trust and cooperation, while the Eurasia Initiative is aimed to go beyond Northeast Asia to transform Eurasia into a continent of peace and prosperity. These policies will have a synergistic effect as the reunification process follow in the near future.

One new element in my networking diplomacy is our creation of a group of advanced middle powers. I participated in the second meeting of MIKTA Foreign Ministers in Mexico last week that was attended by foreign ministers of Mexico, Indonesia, Korea, Turkey, and Australia, to discuss ways to further the cooperation of middle powers on major international issues.

As the Korean Government was born with the support of the United Nations, it is also placing high importance on building a world-wide network for peace and reunification on the peninsula. As a part of such efforts, Korea is currently serving in all three councils of the United Nations, namely the Security Council, ECOSOC and Human Rights Council, and is also further expanding its activities and scope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Ladies and Gentlemen,

Dean Acheson is well-known to many of us because during the time of the Korean War, he was the US Secretary of State who helped design the Marshall Plan, the Truman Doctrine, and NATO. He is known to Koreans more as the policy-maker who excluded the Korean Peninsula from the US defense perimeter, so-called the Acheson Line.

But for me, he is a different reminder every day. Since I became a senior-level diplomat and especially after I became the Foreign Minister, the title of his memoire, "Present at the Creation," is my motto as well. Making many important decisions every day, every week, I have been serving with the sense of responsibility that my judgment will form a chapter in our history and turn its rudder at the crossroads.
His words "present at the creation" is clearly a maxim for those many policy makers to heed in the Korean Peninsula, the Northeast Asia and the world who have to make the right choices at the fork of history – both at the end of history and at its return.

History is not pre-ordained. It is us who are making and creating it. Korea is no longer a shrimp surrounded by whales. And the pace of history on this peninsula in the 21st century will be much quicker than in the last century.

On that note, I would very much hope that today's forum will serve to form the global opinion on the future of history, benefiting from your rich experience and wisdom.

Thank you for your attention.



(번역본)



아산플래넘 2014 외교장관 기조연설문

- 역사의 미래: 새로운 한국, 새로운 아시아, 새로운 세계-

 


함재봉 아산정책연구원 원장님,

제임스 스타인버그 학장님,

천영우 아산정책연구원 고문님,

옌 쉬에통(Yan Xuetong) 교수님,

로버트 아인혼 선임연구원님,

그리고 내외 귀빈 여러분,

 

잘 아시다시피, 지금 한국 국민은 지난주 발생한 여객선 침몰 사건으로 형용할 수 없는 슬픔과 고통의 시기를 거치고 있습니다. 유명을 달리하신 분들의 명복을 빌며, 또한 유가족 분들에게 심심한 위로의 말씀을 드립니다.

늘 그랬듯이 한국 국민은 강인함과 전 세계에서 보내준 위로에 힘입어 금번 사태를 극복할 것이라고 확신합니다. 슬픔이나 고통은 누구에게나 오기 마련입니다. 중요한 것은 우리가 다시는 시행착오를 범하지 않기 위해서라도 이러한 사태로부터 교훈을 배워야 한다는 것입니다. 를 통해 보다 나은 미래와 새로운 역사를 써 나가야 할 것입니다.

일찍이 영국의 역사학자 아놀드 토인비는 『역사의 연구라는 대저에서 인류의 역사를 도전과 응전의 연속이라고 설파했습니다. 되돌아보면, 인류는 수많은 도전을 극복하는 과정에서 교훈을 얻고 크고 작은 문명의 성장과 발전을 이루어 왔습니다.

반면, 역사로부터 제대로 된 교훈을 얻지 못하고 응전에 실패한 국가나 문명은 쇠퇴하곤 했습니다. 이는 2차 대전의 발발원인을 규명한 E.H. Carr의 명저『20년의 위기(Twenty Years' Crisis)』의 논조와 기본적인 궤를 같이 하고 있는 것입니다. 그는 지도자가 역사적으로 그릇된 판단을 내릴 때 수많은 사람이 전쟁과 같은 이루 말할 수 없는 참화에 처할 수 있고, 인류의 발전을 저해할 수도 있을 것이라고 경고했습니다.

E.H. Carr가 역사는“과거와 현재의 끊임없는 대화이자 부단한 상호작용”이라고 말한 것은 역사는 단순한 과거의 기록이 아니라, 현재와 미래를 향한 살아있는 지침이 된다는 의미인 것입니다.

금년은 1차대전 발발 100주년, 베를린 장벽 붕괴 25주년을 맞이하고 내년은 2차대전 종전 및 한반도 분단 70주년과 한일국교정상화 50주년을 맞이하는 해입니다. 자국의 역사로부터 올바른 교훈을 얻은 국가들도 있을 것이고, 반면 그렇지 못한 국가도 있을 것입니다.

이러한 역사적 배경하에서 오늘 국제회의의 주제인“Future of History"는 학문적으로나 외교정책적 차원에서도 매우 시의적절하다고 하겠습니다. 

오늘 외교안보분야의 세계적인 석학들을 모시고 다양한 지역적, 세계적 문제들을 역사의 프리즘을 통해 논의하는 이 포럼에 참석하게 된 것을 기쁘게 생각합니다. 이 기회를 빌어, 뜻 깊은 자리를 마련해주신 함재봉 원장님과 아산정책연구원에 감사드리며, 참석해주신 맥스웰스쿨의 스타인버그 학장님을 비롯한 각 분야 전문가 여러분 모두를 진심으로 환영합니다. 

내외 귀빈 여러분,

불과 20년전 미국의 프랜시스 후쿠야마 교수는 1991년 소련의 붕괴를 공산주의에 대한 자유민주주의와 시장경제의 승리로 평가하고 역사의 종언(End of History)을 설파하였습니다. 당시 많은 사람들은 냉전이 종식되자 새로운 희망의 시대(Era of Hope)를 예견했습니다. 그러나, 그로부터 20여년이 흐른 오늘 유럽과 동북아 등 각지에서 역사퇴행적이고 시대착오적인 사태를 목도하면서, 많은 사람들이‘역사의 귀환’을 운위하고 있습니다.

역사의 종언이 맞든 역사의 귀환이 맞든, 국제사회는 또 다시 역사의 전환기에 진입하면서 불확실성의 시대(Era of Uncertainty)로 접어들고 있습니다. 저는 현재의 불확실성 시대의 특징을 다음과 같이 설명 드리고자 합니다.

첫째, 지정학적 도전입니다. 최근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크림반도 병합과 그 이후의 사태발전은 유럽을 넘어서는 차원의 함의가 있습니다. 이 사태의 향후 전개는 새로운 냉전의 도래인지 역사의 귀환인지 여부에 대해 이미 벌어지고 있는 논쟁을 더욱 격화시킬 것입니다.

고조되어만 가는 동북아에서의 역사 및 영토 갈등은 부상하는 중국 및 전후질서로부터의 탈피를 추구하는 일본과 함께 역내에서 진행되는 지각변동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동북아는 한중일 3국이 세계 GDP의 21%를 차지할 만큼 역동적으로 성장하고 있는 지역입니다. 그러나 역내국간 경제적 상호의존의 심화에도 불구하고, 정치·안보 측면에서의 갈등이 심화되는 이른바“아시아 패러독스”현상에 직면하고 있습니다.

부상하는 중국과 부활하려는 일본, 강한 러시아와 소위 강성대국을 꿈꾸는 북한 등이 혼재하는 상황에서, 미국은 아시아로의 회귀와 재균형을 추구하고 있으며 한국은 비정상적인 분단구조를 통합과 통일의 구조로 전환시키고자 하는 노력을 전개하고 있습니다.

과연 동북아 지역이 과거의 경쟁구도로 회귀할지, 아니면 보다 풍요로운 미래로 전진할지에 관한 고차방정식의 답은 아시아 패러독스를 힘의 충돌없이 지혜롭게 풀어낼 수 있을지 여부에 달려있습니다.

둘째, 지경학적 도전입니다. 2008년 미국발 금융위기로 촉발된 세계금융위기는 이제 그 오랜 고통의 늪을 빠져 나오는 듯합니다만, 최근 IMF가 국제 경제의 불확실성에 우려를 표한데서 보듯이 세계경제의 펀다멘탈이 여전히 취약함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또한 최근 부분적인 진전은 있었습니다만 DDA와같은 세계적인 무역자유화 협상이 부진함에 따라 이에 대한 대응으로서 양자간 FTA의 확산, 지역경제통합의 적극적 추진 등 새로운 협력 기제가 모색되고 있습니다.

TPP 협상 및 TTIP 협상과 같은 대규모 권역별 무역협상의 진전은 기존 양자 및 소지역 FTA에 의존하던 국가들에게 광범위한 경제적 도전을 제기하게 될 것입니다.

셋째, 글로벌 거버넌스 차원의 도전입니다. WMD 확산, 테러와 극단주의, 기후변화와 환경 및 에너지 문제, 빈곤과 지속가능한 개발 문제 등은 국경을 초월하는 범지구적 도전으로서 글로벌 협력이 없으면 인류의 미래에 엄청난 위협으로 다가올 것입니다.

넷째, 인간 안보에 관한 시대적 도전입니다. 냉전 종식 후 최근 아랍의 봄과 아프리카의 분쟁에서 보듯이, 과거 한 나라의 국내적 불안으로만 치부되었던 악정, 인권탄압, 종족간 충돌, 기아 문제가 더 이상 국내문제가 아니라 주변국과 국제사회의 공통관심사로서 국제분쟁으로 대두될 수 있다는 것입니다.

르완다 대량학살 20주년이 되는 이 시점에 우리는 코피 아난 前 유엔사무총장이 재임 중 인도에 관한 범죄의 대표적 상징인 르완다 사태를 미연에 방지 하지 못한 것이 가장 후회하는 실책이라고 고백한 것을 상기할 필요가 있습니다.

내외 귀빈 여러분,

많은 한국인들에게 금년은 역사적 의미가 깊은 해입니다. 금년은 19세기말 제국주의 시대의 정점에서 한국이 역사상 최초로 서양식 개혁개방을 시도한지 120주년이 되는 해이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불행히도, 당시 국제정세에 어둡고 국력이 미약했던 한국은 결국 개혁에 성공하지 못하고 국권을 상실하는 비극을 맞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그러한 국권상실이 한반도 분단과 동족상잔의 비극에 이어 오늘날 세계최대의 군사적 대치지역으로 이어졌습니다.

비록 오늘날 한국이 국제사회의 주요국 중 하나로 부상한 이 시점에서도 역사의 상흔은 쉽게 지워지지 않고 있습니다. 북한의 핵개발 야욕은 동북아 지역의 평화와 안정을 위협하고 있으며, 한ㆍ일 관계는 위안부 문제를 포함한 역사 갈등으로 여전히 긴장관계에 놓여있습니다.

한반도에 관한한 냉전도 역사도 종언을 고하지 않고 있는 것입니다.

이것은 무엇을 의미할까요? 무엇보다도 역사로부터 올바른 교훈을 얻는 것의 중요성을 상기시키고 있습니다. 가장 중요한 교훈 중 하나는 역사의 파고가 밀려올 때 준비되어 있지 않으면, 잘못된 선택의 대가는 자기 자신 뿐만이 아닌 미래의 후손들에게까지 미친다는 것입니다. 

또 다른 교훈은 외교의 중요성입니다. 즉, 친구를 만들고 적을 무력화하는 것입니다. 역사를 통해, 한국은 수많은 외세의 침략을 받았습니다. 19세기와 20세기를 거치면서 한국은 권력정치(power politics)의 비정한 논리도 확실히 배운 바 있습니다.

수많은 역사의 기로에서, 즉, 조선왕조의 패망에서부터 국권 상실, 분단과 한국전쟁의 발발, 이후 전후 복구 과정에까지 우리는 한반도 문제에 이해를 갖고 있는 나라들의 역사적 선택이 우리의 운명을 어떻게 영향을 미쳤는지 잘 알고 있습니다. 되돌아 보건데, 이러한 나라들의 역사적 오판 또는 잘못된 행동이 초래한 후과를 오늘 이 시점에서도 절실히 느끼고 있는 것입니다. 

이와 관련하여, 1920년 캐나다 출신의 기자 메켄지가 3.1 운동에 관한 일본의 무자비하고 잔악한 탄압을 고발하면서 쓴 다음과 같은 경고는 이 시대에도 귀 기울일 필요가 있습니다.“한국 때문에 위험을 감수할 필요가 있느냐는 질문에 대한 나의 대답은 이렇다. 지금 단호하게 행동하면, 비록 충돌이 일어나더라도 그 위험은 작다. 하지만, 지금 약하게 행동하면, 틀림없이 한 세대에 극동에서 大戰이 일어날 것이다.”우리는 메켄지의 선견지명이 옳았음을 알고 있습니다. 주지하다시피, 실제로 그 이후 한 세대 내에 태평양 전쟁이 발발한 것입니다.

이처럼 한반도는 국제정치사의 전환기마다 다양한 세력과 이해 관계가 충돌한 격전지로서 치열한 근현대사를 통과해 왔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모든 구름에는 은빛 테두리가 있다”는 서양 속담처럼, 70년대 초 동서 데탕트와 90년대 초 냉전종식을 겪으면서 잠시나마 희망을 가질 수 있었습니다. 다시 20여년이 지난 오늘, 우리는 한반도와 동북아에서 또 다시 새로운 역사적 도전의 시기를 마주하고 있습니다.

오늘날, 한반도와 동북아 정세는 냉전 이후 최대의 전환기를 맞고 있는 것입니다. 역사가 회귀하는 듯이 보이며, 그 영향은 한반도와 동북아에서 가장 분명하게 느껴지고 있습니다. 냉전 이후 한국 외교는 역사의 진로를 바꾸어 놓을 수 있는 최대의 도전에 직면해 있는 것입니다.

가장 큰 도전은 북한 문제와 약화되지 않고 있는 북한의 핵 야욕입니다. 아울러, 남북관계의 불확실성도 최근 높아졌습니다. 오늘 우리가 직면하고 있는 위험은 지난 90년대 초반 김일성 사후 김정일 체제가 들어섰을 때에 비해 훨씬 복잡합니다. 김정은 체제가 들어서면서, 지난해 말 장성택 처형 사건에서 드러났듯이, 김정은 체제의 유동성이 눈에 띄게 커진 것입니다. 

설상가상으로, 북한이 이제는 핵무기 개발을 숨기지 않고 있으며, 이에서 더 나아가 이를 헌법에 명기하고 공공연히 표방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만약 북한이 공개적으로 언급한 바와 같이 추가 핵실험을 감행한다면, 그것은 전체 판도를 바꾸는 게임 체인저(game changer)가 될 것입니다.

다음으로 큰 도전은 이러한 복잡한 한반도 정세 변화속에 동북아 정세가 냉전 종식이후 최대로 긴장되고 있다는 것입니다. 역사ㆍ영토 갈등과 군비경쟁은 역내의 다른 긍정적인 상호의존성을 압도하고 있습니다.

일부 추악한 민족주의가 머리를 드러내고 있습니다. 동북아의 지각 판이 수면 하 더 깊은 곳에서부터 흔들리고 있는 것입니다. Kissinger 박사는“역사는 휴식이나 안정기라는 말을 알지 못한다”고 말한 바 있지만, 본인은 바로 여기 동북아에서 역사의 종언은 없으며, 치열하게 회귀하고 있다고 말하고 싶을 정도입니다. 

내외 귀빈 여러분,

말씀드린 바와 같이, 역사는 회귀하고 있을지도 모릅니다. 다만, 한국은 그 역사 앞에서 주어지는 도전으로부터 물러서지 않을 것입니다. 오늘날의 한국은 과거의 한국이 아니고, 한국민들은 지난 세기 역사에서 충분한 교훈을 얻었기 때문입니다.

마찬가지로, 세계사에서도 많은 교훈을 얻었습니다. 세계사적 시각에서 볼 때, 도전에 대한 응전 속에서 역사는 다음 3가지 중요한 교훈을 안겨주고 있습니다.

첫째, 역사는 철저히 준비하여 기회를 잡는 자에게 선물을 줍니다.

이를 보여주는 가장 좋은 사례는 20세기 후반, 한국이 이룬 한강의 기적일 것입니다. 그리고, 한국은 지금 현재 제2의 한강의 기적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미중 데탕트 직후, 중국 역시 개혁ㆍ개방을 선택하였고, 경제 현대화의 기회를 놓치지 않았습니다. 19세기“아시아의 병자”로 일컬어졌던 중국이 오늘날 G-2 국가로 성장하고, 중국몽을 꿈꾸고 있는 것입니다.

그 후 얼마 지나지 않아 베트남도 경제발전의 대열에 합류하였고, 이제는 미얀마마저 개방을 향해 전진하고 있습니다. 반면, 북한은 퇴락의 길에 서서 생존을 위한 치열한 사투를 벌이고 있으며, 계속해서 잘못된 선택을 하고 있습니다.

둘째, 역사는 우여곡절을 거치지만 결국 자유와 정의를 위한 진보의 과정입니다. 어떠한 폭정과 억압도 결국 실패하기 마련입니다. 우리는 구소련에서 동구를 거쳐 중동과 동남아에서 이것을 목격해 왔으며, 한반도의 북녘도 예외가 아닐 것입니다. 최근 북한인권 조사위원회의(COI) 보고서 발간과 이에 대한 국제사회의 반응은 앞으로 어떤 결과가 나올지를 시사하고 있다고 하겠습니다.

셋째, 국수주의적 민족주의와 폐쇄주의는 역사의 패배자가 된다는 점입니다. 역사적으로 보면, 상황이 어려운 시기에 국수주의가 발흥하곤 했습니다만, 이러한 국수주의는 거의 예외 없이 자멸 또는 전쟁을 포함한 공멸로 가는 길이었습니다. 후쿠야마가 경고했던 대로,“나태한 자기 만족과 정체되어 있는 자아”로는 역사의 발전을 이룰 수 없습니다. 오늘날 역사 부정주의와 수정주의로 나타나고 있는 국수주의는 스스로의 고립과 역사적 실책의 반복으로만 이어질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은 국수주의가 맹목적인 힘과 결합될 때 우리는 주변국 뿐만이 아니라 인류 전체에 대한 위협이 될 것이라는 점을 잘 알고 있습니다.“과거를 잊는 자, 미래를 보지 못한다”는 브란트 前 독일 총리의 발언이 양심의 소리로 역사에 기록되는 것은 바로 이러한 이유에서입니다.

내외 귀빈 여러분, 

박근혜 정부는 이러한 점들을 염두에 두고 역사의 도전에 대한 담대한 응전에 나섰습니다. 한국은 한강의 기적을 통해 완전한 민주주의와 선진적인 시장경제를 모두 달성하였습니다. 이제 박근혜 정부의 주요 국정목표는“새로운 한반도(New Kind of Korea)"를 통해 한반도에서“역사의 종언”을 이루는 것입니다.

베를린 장벽을 무너뜨린 독일국민들과 같이, 우리도 남북한 사이에 존재하고 있는 여러 장벽들 즉, 군사적 대립의 장벽, 불신의 장벽, 사회문화적 차이의 장벽, 고립의 장벽을 서서히 무너뜨릴 것입니다.

새로운 한반도 건설을 위한 가장 중요한 것은 남북한 주민들을 그 중심에 놓는 것입니다. 이는 바로 한반도의 모든 주민들이 행복한 통일을 이루어내는 것이기도 합니다.

물론, 손뼉도 마주쳐야 소리가 납니다. 이제라도 북한은 잘못된 선택의 길에서 벗어나야 합니다. 그 첫 선택은 수십년간 지속된 핵 야욕을 포기하는 것입니다. 국제사회는 핵을 가진 북한을 용납하지 않을 것이며, 북한은 모든 국제사회를 상대로 절대 이길 수 없는 게임을 하고습니다. 핵을 가지고는 경제발전을 이룰 수 없습니다. 북한이 현재의 길을 끝내 고집한다면, 그 길의 끝이 무엇이 될 것이지 역사가 분명히 가르쳐 줄 것입니다.

내외 귀빈 여러분,

독일 통일이 유럽 통합과 유럽의 평화라는 큰 맥락에서 이루어졌듯이 한반도의 통일도 동북아 평화와 협력의 큰 틀에서 상호추동하며 이루어질 것입니다. 박 대통령이 드레스덴 연설에서 통일외교 3원칙으로 첫째, 주변국들의 이해와 조화를 이루는 통일, 둘째, 국제사회로부터 지지를 받고 축복받는 통일, 셋째, 인류 전체에 기여하는 통일을 강조한 이유입니다.

이렇게 될 경우 한반도에서의“역사의 종언”은 동북아에서의“역사의 종언”을 가져오는데 기여할 것입니다.

“새로운 한반도”를 위한 비전은 박 대통령의 드레스덴 선언에 잘 담겨져 있습니다.

먼저, 통일 한반도는 핵무기 없는 한반도, 인권과 민주주의가 지배하는 한반도, 주변 모든 국가들과 우호관계를 맺는 한반도가 될 것입니다. 이를 통해, 지역에 평화와 안정을 견인하고 역내 협력을 촉진함으로써 역사를 직시하는 가운데 보다 책임있고 협력적인 새로운 동북아 질서를 만들어 나가는데 기여할 것입니다.

둘째, 통일 한국은 경제적 혜택 또는 평화 배당금을 창출할 것입니다. 세계적인 투자금융회사인 골드만삭스는 2050년 한국이 1인당 GDP 81,000달러로 세계 2위 경제 대국이 될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인구 8천만의 통일 한반도 경제권의 등장은 냉전의 고도였던 한반도를 태평양과 유라시아의 허브로 만들어 주변국과 우방국들에게 새로운 블루오션이 될 것입니다.

셋째, 통일 한국은 동북아에서 인류 보편적 가치를 확산시키고 평화와 안정에 기여할 것입니다. 또한, 역사상 어느 때보다도 상호의존적인 세계에서 전 지구적 문제를 해결하는데 있어 한국의 역할을 강화할 것입니다.

내외 귀빈 여러분,

한국은 이미 새로운“역사의 미래”를 위한 장정을 시작했습니다. 박근혜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신뢰외교가 그것입니다. 이는 새로운 한반도, 새로운 아시아, 새로운 세계를 실현코자 하는 비전이자 전략이기도 한 것입니다.

역사를 통해 얻은 교훈으로 우리는 올바른 선택을 할 수 있었습니다. 오늘날 우리는 우리가 가고자 하는 이 여정에 최대한 많은 우방들과 함께 할 수 있도록 노력을 기울일 것입니다. 이미 우리는 강력한 네트워크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가장 우선적으로 매우 견고한 한미동맹, 심화되고 있는 중국 및 러시아와의 전략적 파트너십, ASEAN, EU, 인도와의 업그레이드된 관계, 그리고 통일에 관한 독일과의 특별한 협력 관계가 수 많은 네트워크의 중요한 일부입니다.

이와 관련, 금주에 있을 오바마 대통령의 방한과 금년 중반 예상되는 시진핑 주석의 방한은 한반도와 동북아에 평화와 안전을 정착시키려는 노력에 있어 또 하나의 이정표가 될 것입니다.

이와 같은 양자외교에 더해 지역외교 및 글로벌 외교를 강화할 것입니다.

주지하시다시피, 역내 불신과 대결의 구도를 신뢰와 협력의 구조로 변화시키기 위한 동북아평화협력 구상, 동북아를 넘어 유라시아를 평화와 번영의 대륙으로 전환하자는 유라시아 이니셔티브 등이 향후 한반도 통일 과정과 시너지 효과를 내게 될 것입니다.

한국 외교의 새로운 요소 중 하나는 새로 출범한 중견국 외교입니다. 이와 관련하여, 저는 지난 주 멕시코에서 개최된 제2차 MIKTA 외교장관회의에 참석하여, 멕시코, 인도네시아, 터키, 호주 외교장관들과 함께 주요 국제현안에 대한 중견국들간의 협력 방안을 협의하기도 하였습니다.

마지막으로, 유엔의 지원 속에 출범한 한국으로서는 한반도에서의 평화와 통일을 위한 국제적 기반 확충에도 높은 우선순위를 부여하고 있습니다. 이와 같은 노력의 일환으로 한국은 유엔 3대 이사회인 안전보장이사회, 경제사회이사회, 인권이사회 이사국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국제사회내 활동과 외연을 더욱 확대해 나가고 있습니다.

내외 귀빈 여러분,

한국 전쟁 기간 중 미국의 국무장관을 지내며 마샬플랜, 트루먼 독트린, NATO 등의 구상과 설립에 기여한 바 있는 딘 에치슨은 우리 모두에게 잘 알려진 인물입니다. 특히, 한국 국민들에게는 6.25 전쟁 직전 애치슨 선언을 통해 한반도를 미국의 방위선 안에 포함시키지 않은 것 때문에 더 잘 알려져 있습니다.

그러나 본인에게는 좀 더 다른 특별한 의미가 있습니다. 중견 외교관이 된 이래, 특히 외교장관이 된 이래 제가 늘 좌우명처럼 새기는 말이 바로 에치슨 장관의 회고록 제목인「Present at the Creation」, 즉 「역사창조의 현장에서」이기 때문입니다. 매일 매일, 그리고 매주, 중요한 결정을 내리면서 본인과 저의 동료들의 판단이 역사의 한 장을 구성하고 역사의 갈림길에서 방향타가 된다는 무거운 책임감을 갖고 임하고 있습니다.

Present at the Creation이라는 그의 말은 한반도와 동북아, 그리고 세계적 차원에서 역사의 종언과 역사의 귀환의 갈림길에 직면하여 올바른 선택을 해야 하는많은 정책결정자들에게 없어서는 안 될 좋은 경구임에 분명합니다.

역사는 미리 예정되어 있지 않습니다. 바로 우리가 역사를 만들고 탄생시키는 주역들입니다. 한국은 더 이상 큰 고래들 사이에 낀 작은 새우가 아닙니다. 그리고 21세기 한반도에서 전개되는 역사의 속도는 지난 세기보다 훨씬 더 빠를 것입니다.

아무쪼록, 오늘 이 자리가 여러분들의 깊은 경륜과 혜안을 토대로, 역사의 미래에 관한 글로벌 여론형성의 장이 되기를 기대합니다. 경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