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연설문

국제평화연구소(IPI) 초청 외교장관 특별 연설문(5.6)

작성일
2014-05-07 08:50:36
조회수
4862

Remarks by H.E. Yun Byung-se
Minister of Foreign Affairs
Republic of Korea

“The Korean Peninsula and Peaceful Reunification Diplomacy”
International Peace Institute (IPI)
May 6, 2014, New York

President Terje Rød-Larsen,
High Representative for Disarmament Affairs Angela Kane,
Excellencies, Distinguished Guests, and
Ladies and Gentlemen,

At the outset, let me thank President Larsen for having me here at this gathering organized by the prestigious International Peace Institute.

Next year, we will celebrate the 70th anniversary of the founding of the United Nations. However, this will also mark the 70th year of division for Koreans, who have a long history as one, united people.

Founded under the auspices of the UN in 1948, the fledgling republic immediately fell to the victim of the Cold War power politics, hampered in its determination to join the global body. Thus, my country became a latecomer to the UN, having gained its membership only in 1991. The two Koreas became the 160th and 161st members of the organization, along with three Baltic States.
As a diplomat posted to then-Korea’s Observer Mission to the UN, I still have vivid memories of listening to the admission speech that the then Korean Foreign Minister delivered at UN headquarters in September 1991.

The hard reality of the Cold War dictated Korea and its people to wait for more than four decades to move from the observer seat to the member seat that was just a few meters apart. For many Koreans, that was a somber reminder of the power politics of the international relations.

Knowing that the two Germanys had replaced their two separate nameplates to one Germany just one year before, it was with a heavy heart that I had to witness the admission of two Koreas to the UN, instead of one.

Now, 23 years later, Korea is a member of the UN Security Council for the second time. Korea is playing an active role in all three major councils of the UN – the Security Council, the Economic and Social Council, and the Human Rights Council. Tomorrow, I will be presiding over a meeting of the Security Council on the occasion of the 10th anniversary of its Resolution 1540.

Korea is also participating in various activities including peacekeeping operations, development cooperation, climate change, non-proliferation of weapons of mass destruction, and promotion of human rights. Most importantly, the current Secretary-General is a proud son of Korea.

As if we were to try to make up for the belated admission, we have certainly made astonishing strides over the last decade or so.
Ladies and Gentlemen,

During this time, the international community has also undergone great transformations. Interdependence deepened due to globalization, while insecurity, inequality, injustice, and intolerance also increased.

At a time when we commemorate the 20th anniversary of the genocide in Rwanda, we are bearing witness to conflicts around the globe, including those in Syria, South Sudan, and the Central African Republic. Furthermore, the bottom billion, including countless women and children, still live below the extreme poverty line on less than two dollars a day.

As Secretary-General Ban Ki-moon once said the international community is confronted with “an over-supply of problems and a deficit of solutions,” which require more multilateral cooperation and partnerships than ever.

Global challenges no longer affect just one or groups of countries. Indeed, today they affect the entire international community, like “the butterfly effect.”

Ladies and Gentlemen,

Northeast Asia and the Korean Peninsula are no exceptions to these complexities. The geopolitical plate of the region is going through what I would call “tectonic shifts.”

Historical transformation is now taking place in Northeast Asia. We are witnessing a rising China, a resurgent Japan, an assertive Russia, and an anachronistic North Korea who is simultaneously pursuing nuclear weapons and economic development. On its part, the United States is now pivoting and rebalancing to Asia.

Conflicts surrounding history, territory and maritime security, among others, are raising the concern that even a military confrontation owing to any miscalculations may become a reality. In fact, Dr. Henry Kissinger, who I met yesterday, said at this year’s Munich Security Conference that, [quote] “Asia is more in a position of 19th century Europe, where military conflict is not ruled out.” [unquote]

On top of this, misguided nationalism is rearing its ugly head in the form of historical revisionism or even denialism, thereby prolonging the tension among countries in the region.

Such political and security tensions are increasing despite the deepening economic interdependency – a phenomenon which I call the “Asia Paradox.” At the heart of all these problems lies an ever deepening “trust deficit.”

There is no better visual illustration of such paradox than a satellite photo of the Korean Peninsula taken at night from space, which shows a striking contrast between the two Koreas.

Clothed in darkness, the Northern part of the Peninsula looks like a black sea, whereas the Southern part, glittering with bright lights, resembles an island in the middle of the sea. Alongside these vivid contrasts, we see all kinds of contradictions in North Korea.


Such volatile situation in Northeast Asia and the Korean Peninsula is hampering the region’s peace and prosperity. If the current situation persists unaddressed, it will undermine the very foundation of the flourishing Northeast Asian economy.

Alexander the Great had cut off the Gordian knot with a single stroke, but unfortunately we do not have such a solution to our present-day problems.

Ladies and Gentlemen,

The Park Geun-hye administration took office last year amid these mounting challenges in the Korean Peninsula, Northeast Asia, and beyond. President Park’s foreign policy, which we call Trustpolitik, is aimed to transform the existing structure of distrust and conflict into a structure of trust and cooperation. In essence, she is seeking to build "a new Korean Peninsula, a new Northeast Asia, and a new world."

The greatest obstacle to pursuing this audacious endeavor is the North Korean nuclear conundrum. In particular, the most urgent task is to prevent the North from conducting another nuclear test and mastering its nuclear weapons and delivery capability.
Over the last month or so, North Korea has been warning of an additional nuclear test to be conducted at an unimaginable scale. In fact, there have been a series of indications that preparations are underway in this regard. Whether North Korea will actually engage in such nuclear test or not, our assessment is that North Korea is ready to undertake the test whenever they make the necessary political decision.

Faced with such a challenge, my government is making intensive diplomatic efforts to deter North Korea’s dangerous provocations. We are working in concert with our friends and partners in the region and around the world such as parties to the six-party talks, members of the UN Security Council, the European Union, ASEAN and the newly formed MIKTA – composed of Mexico, Indonesia, Korea, Turkey, and Australia.
Furthermore, leaders of Korea, US, Japan met at a trilateral summit, and President Park Geun-hye also met with Chinese President Xi Jinping and American President Obama on separate occasions.

During this series of summit meetings, the Chinese leadership had made clear that they will not accept a nuclear armed North Korea and strongly oppose any further North Korean nuclear tests. President Obama, during his visit to Seoul stated that in case of North Korea’s additional nuclear test, he will [quote] “look at additional ways to apply pressure on North Korea, further sanctions that have even more bite.” [unquote]

If North Korea were to go ahead with another nuclear test in defiance of the collective will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it will have to pay the heaviest price that it has never seen in the past. As all of us are well aware, the UN Security Council has already adopted a series of resolutions that impose extensive and strong sanctions against the North over its last three nuclear provocations.

The additional sanctions that North Korea calls “hat of sanctions” and so opposes, should not only muster the full weight of fortified UN sanctions, but will also trigger a wide range of individual sanctions. These actions will be an “iron hat of unbearable weight.”

Membership of the UN requires states to be peace-loving. Therefore, states pledge to faithfully abide by the responsibilities enshrined in the UN Charter. In this regard, the international community should send out a strong message that habitual disregard for the UN Charter will not go unpunished for the sake of its own credibility.

North Korea must realize that it cannot breach its obligations without the total loss of trust and complete isolation from the international community.

From our standpoint, the advanced level of North Korean nuclear program has no comparison in terms of its seriousness. I wish to remind you that North Korea is the only country to have conducted nuclear weapons tests in the 21st century.

It is for this very reason that UN Security Council resolutions demand that North Korea dismantle its nuclear weapons programs in a complete, verifiable and irreversible manner.

As I speak before you now, the third Preparatory Committee for the 2015 NPT Review Conference is taking place here in New York. I call on State Parties to the NPT to send a clear and firm message opposing North Korea’s pursuit of nuclear weapons.

Thus far, I focused on the subject of nuclear proliferation emanating from North Korea. What is adding to our concern is that this kind of nuclear weapons program can fall into the wrong hands of terrorists and non-state actors. This is why I attach great importance to tomorrow’s high-level open debate of the Security Council, which I will preside over, to discuss ways to strengthen the implementation of resolution 1540.

This open debate is a very natural complement to the outcome of the Nuclear Security Summit held in the Hague last March, through which the international community forged its unified stance to prevent nuclear terrorism.

Ladies and Gentlemen,

The Constitution of UNESCO provides, [quote] “that since wars begin in the minds of men, it is in the minds of men that the defences of peace must be constructed.” [unquote]

However, the semblance of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remains fragile. This is why my government is attaching great importance to building trust and achieving sustainable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The dire human rights and humanitarian situation in North Korea is also the area in which we wish to make progress.

This is the main reason why President Park Geun-hye laid out her vision for a unified Korea during her speech in Dresden. Through that speech, she proposed three concrete and action-oriented proposals to the North. That is, to resolve the humanitarian problems of the people of the Korean Peninsula; to build infrastructure for the welfare of the peoples and co-prosperity of the two Koreas; and to promote integration of the Korean people.

President Park’s vision for unification puts people first. This is in line with the UN’s guiding principles, as captured in the preamble of the Charter which open with the lines, “We the Peoples.”

Our humanitarian proposals can be steadily implemented regardless of political and security considerations, including through the 1,000-day UN project for maternal health and nutrition for infants. The situation of chronic malnutrition of infants is quite dire. These infants are compatriots who will live side by side us after the unification. But as the saying goes, it takes two to tango. We hope that North Korea will positively respond to our genuine proposals.

We recognize that our journey toward unification will be long and bumpy. As we saw in the case of German reunification, cooperation from the international community is essential in completing that journey. This is the reason why Korea’s pursuit of unification will proceed in harmony with interest of our neighbors, with the blessing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nd will contribute to the cause of humanity.

Ladies and Gentlemen,

As I said before, the unification that Korea aspires to build will be in the interests of both neighboring countries and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mong other things, the Korean unification can make contribution in following directions.

First, the unification of Korea will serve as a significant stabilizer for the security of our region and beyond. Indeed, a unified Korea will be free of nuclear weapons, thus alleviating security threats in Northeast Asia. Furthermore, it will facilitate global efforts towards nuclear non-proliferation, nuclear security and nuclear safety. This will, in turn, help to usher in a nuclear weapons-free world.

As the reunification of Germany charted a path for the eventual integration of Europe, the Korean unification will contribute to the creation of a more cooperative order in Northeast Asia.

Second positive aspect of the unified Korea will be the immense economic benefits for its neighbors and the region. Just as the reunification of Germany paved a way for “the Miracle of Elbe River” for the Eastern part of Germany, I am certain that the unification of Korea will result in “the Miracle of Dae-dong River” for the Northern part of Korea, in a follow up to the Miracle of the Han River.

The emergence of a unified economy with a population of 80 million will present an enormous economic opportunity, and provide a new blue ocean for its neighbors and partners by transforming the Peninsula into a Pacific and Eurasian hub.

Third, the unification of Korea will make significant contributions to addressing the global agendas. More than anything else, the entire peninsula will enjoy such universal values as individual freedom and human rights. A unified Korea with enhanced status and capacity will be better placed to address the daunting array of global challenges.

Ladies and Gentlemen,

This year marks the 120th anniversary of Korea's first experiment at Western-style reform which took place during the height of imperialism of the late-19th century. Sadly, the reform failed and led to the loss of Korea’s sovereignty. Furthermore, the loss of statehood led to the division of the peninsula and the tragic civil war.

Throughout our history, we learned the important and hard lessons that, if you are unprepared for historical tides that came to your shore, it is not just you, but your future generations who will bear the cost of your wrong choice.

As Korea has now grown into a responsible member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we are posed to open a better future and write a new history. As Peter Drucker said, “The best way to predict the future is to create it.” Korea will not wait for changes, we will create changes.

The most important change that we wish to create is the unification of Korea. It will mark a significant progress in humanity’s march toward greater peace, prosperity, and justice as enshrined in the Charter of the United Nations.

The unification of Korea will also facilitate the journey of the UN to become a true “Parliament of Man” where peace, development, and human rights are pursued.

23 years ago, the two Germanys ended their longstanding division and replaced their two nameplates in the UN with one. Likewise, I do believe the day is approaching, perhaps much faster than we may all realize, for the two Koreas to replace their respective nameplates with one singular nameplate that simply says – Korea.

On this historic journey toward unification, I wish to count on the support of the UN and its member states.

Thank you.

--------------------------------------------------------------------------

(비공식 국문 번역본)

국제평화연구소(IPI) 초청 외교장관 특별 연설문

【2014.5.6(화) 13:00, IPI】


테리에 로드-라슨 IPI 소장님,
유엔주재 각국 대표부 대사 및 관계자 여러분,
그리고 뉴욕주재 think-tank 및 NGO 대표 여러분,

먼저 오늘 이런 훌륭한 자리를 마련해 주신 국제평화연구소(IPI) 라슨 소장님께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내년은 유엔 창설 70주년입니다. 반면 오랜 세월 하나의 민족으로 살아왔던 한민족에게는 분단 70년이 되는 해이기도 합니다. 1948년 유엔의 축복 속에서 탄생한 신생 대한민국은 즉각 냉전시기 권력정치의 희생물이 되었고, 유엔 가입이 방해를 받았으며, 결국 1991년에야 유엔의 지각생 회원국이 된 바 있습니다. 남북한은 발트 3국과 함께 유엔의 160번째, 161번째 회원국으로서 가입한 것입니다.

당시 주유엔 한국 옵저버 대표부에서 유엔 가입문제를 담당했던 본인은 1991년 9월 유엔본부에서 이루어진 한국 외교장관의 가입 연설을 청취하던 기억이 생생합니다. 냉전 시기 냉엄한 정치 현실은 한국과 한국인들로 하여금 불과 수 미터 떨어진 옵저버 좌석에서 정회원 좌석으로 이동하는데 40여년 이상을 기다리게 하였습니다. 많은 한국인들에게 그것은 국제 관계에서의 권력정치를 상기시켜 주었습니다.

남북한 유엔 동시가입 1년전 독일이 FRG와 GDR의 두개의 명패를 Germany라는 하나의 명패로 바꾸는 것을 보면서, 본인은 통일된 한반도가 아닌 두개의 한국으로 유엔에 가입하는 사실에 마음이 무거웠습니다.

그로부터 23년이 지난 오늘날, 한국은 이미 두 번째로 안보리 이사국을 수임하고 있으며, 현재 유엔의 3대 이사회인 안전보장이사회, 경제사회이사회, 인권이사회의 이사국으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내일 본인은 안보리 결의 1540 채택 10주년을 기념하는 고위급 회의를 주재할 예정입니다.

이 밖에, 한국은 PKO, 개발협력, 기후변화, WMD 확산 방지, 인권 증진 등 유엔의 다양한 활동에도 적극적으로 기여하고 있습니다. 무엇보다, 한국은 유엔사무총장을 배출하였습니다.

뒤늦게 유엔에 가입한 것을 만회라도 하듯이, 한국은 지난 수 십 년 동안 엄청나게 달려 왔습니다.

내외 귀빈 여러분,

그 기간 동안 국제사회도 커다란 변혁을 경험하였습니다. 세계화로 인해 상호의존성이 크게 높아진 반면, 불안정, 불평등, 부정의, 그리고 불관용 또한 증가하였습니다.

르완다 대학살이 발생한지 20년이 되는 이 시점에도 시리아, 남수단, 중앙아 등 많은 지역에서 여전히 분쟁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또한, 수많은 어린이와 여성들을 포함하여 수십억의 사람들이 여전히 하루 2달러 미만의 극빈의 삶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반기문 총장께서 언급한 바와 같이 국제사회는 “문제의 과잉공급과 해결방안의 결핍”상황에 직면해 있으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어느 때보다도 강력한 다자적 협력과 파트너쉽이 절실히 요구됩니다.

범세계적 도전들은 어느 한 국가 또는 일부 국가만의 문제가 아닙니다. 나비 효과가 보여주는 바와 같이 국제사회 전체의 문제인 것입니다.

내외 귀빈 여러분,

동북아와 한반도 역시 이러한 복잡한 현실의 예외가 아닙니다. 이 지역의 지정학적 판도 또한 ― 본인으로서는 ‘지각 변동’이라고 부르고 있습니다만 ― 커다란 변화를 겪고 있습니다.

현재 동북아는 역사적 변혁기에 처해 있습니다. 부상하는 중국과 재기를 꿈꾸는 일본, 강경 행보를 보이는 러시아, 그리고 소위 핵․경제발전 병진 노선을 추구하는 시대착오적인 북한이 있습니다. 미국은 아시아로의 회귀와 재균형을 추구하고 있습니다.

역사, 영토 및 해양 안보를 둘러싼 갈등은 자칫 오판 등에 의해 실제 군사적인 충돌로 비화될 가능성마저 우려됩니다. 사실, 어제 본인이 면담을 가진 키신저 박사는 얼마 전 뮌헨 안보컨퍼런스에 참석하여, “아시아의 상황이 19세기 유럽과 비슷하며, 이 지역에서 군사충돌의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경고한 바 있습니다.

이에 덧붙여 잘못된 민족주의가 역사수정주의, 심지어 역사부정주의의 형태로 추악한 고개를 들면서 이 지역에서의 긴장을 장기화 시키고 있습니다.

이와 같이 동북아에서의 정치․안보적 긴장은 경제적 상호의존성의 심화에도 불구하고 오히려 증대되고 있으며, 본인은 이와 같은 현상을 동북아 패러독스라고 부르고 있습니다. 이러한 문제의 핵심에는 점차 심각해지는 신뢰의 결핍이 자리하고 있습니다.

남과북의 극명한 대조를 보여주는 우주에서 바라본 한반도의 야경 사진만큼 이러한 동북아 패러독스를 실감나게 보여 주는 것도 없습니다. 칠흑 같은 어둠속에 휩싸인 한반도의 북쪽은 마치 바다처럼 보이고, 환한 불빛으로 반짝이는 남쪽은 바다 한가운데 섬처럼 놓여 있습니다. 이러한 극명한 대조와 함께 온갖 형태의 모순들이 북한에 있습니다.

요동치는 동북아와 한반도 정세는 이 지역의 평화와 번영을 저해하고 있습니다. 현재와 같은 상황이 해소되지 않고 장기화될 경우, 동북아 경제 번영의 근간마저 훼손되게 될 것입니다.

알렉산더 대왕은 ‘고르디우스의 매듭’을 단칼에 잘라 버렸지만, 불행히도 우리에게는 이러한 만능 해결책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내외 귀빈 여러분,

박근혜 정부는 이러한 엄중한 한반도, 동북아 그리고 국제정세 속에서 작년에 출범하였습니다. “신뢰 외교(Trustpolitik)”로 일컬어지는 박근혜 정부의 외교정책은 바로 불신과 대립의 구도를 신뢰와 협력의 구도로 전환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신뢰외교의 핵심은 바로 “새로운 한반도, 새로운 동북아 그리고 새로운 세상”을 건설하고자 하는 것입니다.

이러한 담대한 비전을 추진하는데 있어서 가장 큰 장애물은 바로 북핵 문제입니다. 특히, 현 시점에서 가장 시급한 현안은 북한의 추가 핵실험을 저지하고 핵과 운반 능력의 고도화를 차단하는 것입니다. 지난 한달 여간 북한은 “상상할 수 없는 형태의 추가 핵실험 가능성”을 운운하였습니다. 실제로, 핵실험 준비로 보이는 동향들이 관측되기도 하였습니다. 북한이 추가적 핵실험을 감행할 것인지의 문제와 관련하여, 우리는 북한 당국이 정치적인 결정만 내리면 언제든지 핵실험을 할 수 있는 준비를 마친 상태라고 보고 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우리 정부는 북한의 위험한 도발을 억지하기 위한 외교적 노력을 강화해오고 있습니다. 우리는 6자회담 당사국, 유엔 안보리 이사국, EU, ASEAN, 그리고 멕시코, 인도네시아, 한국, 터키 및 호주로 구성되어 최근 출범한 MIKTA 등 다양한 우방국들과 공조하고 있습니다.

나아가 한-미-일 3국 정상들이 회동한데 이어, 박근혜 대통령은 시진핑 주석과 오바마 대통령과도 별도의 회담을 개최하였습니다. 한-중 정상회담에서 중국 지도부는 북한의 핵 무장 인정 불가 및 북한의 추가적 핵실험에 대한 결연한 반대를 분명히 한 바 있습니다. 또한, 최근 서울에서 열린 한-미 정상회담에서, 오바마 대통령은 북한의 추가적 핵실험시 “북한에 추가적인 압력을 가할 것이며, 북한이 훨씬 고통스러워할 제재를 가할 것이다”라고 분명한 메시지를 보낸 바 있습니다.

이러한 국제사회의 단합된 의지에도 불구하고 북한이 또다시 핵 실험을 강행한다면, 북한은 전에 경험할 수 없었던 가장 값비싼 대가를 치르게 될 것입니다. 유엔 안보리는 지난 3차례에 걸쳐 북한의 핵실험에 대해 포괄적이고 강력한 제재조치를 담은 일련의 결의들을 이미 채택한 바 있습니다.

북한이 그토록 반대하는 “제재의 고깔”은 유엔차원의 강화된 제재는 물론, 개별 회원국 차원의 광범위한 제재들을 촉발시킬 것이며, 이에 따른 제재는 북한에게 “견딜 수 없는 무게의 철모”가 될 것입니다.

유엔 회원국은 평화애호국이어야 합니다. 이에 따라 유엔헌장상의 모든 책무를 성실히 이행할 것을 서약합니다. 이런 점에서, 국제사회는 유엔 스스로의 신뢰를 위해서라도 유엔 헌장을 상습적으로 무시하는 행위를 결코 묵과하지 않을 것이라는 강력한 메시지를 보내야 합니다. 북한은 국제사회의 의무를 계속 위반한다면, 국제사회로부터의 철저한 고립과 신뢰의 상실만이 따를 것이라는 점을 분명히 깨달아야 할 것입니다.

우리의 관점에서 볼 때 북한 핵 프로그램의 진전 정도는 그 심각성 측면에서 비교대상을 찾기 어렵습니다. 본인은 여러분들께 북한은 21세기 들어 핵실험을 감행한 유일한 국가임을 상기시켜 드리고자 합니다. 안보리 결의가 북한으로 하여금 완전하고 검증가능하고 돌이킬 없는 방식으로 북핵 폐기(CVID)를 요구하는 것도 바로 이러한 이유 때문입니다. 본인이 여러분께 이러한 말씀을 드리는 이 순간에 뉴욕에서 2015 NPT 평가회의를 위한 준비회의가 진행 중에 있습니다. 핵 보유를 추구하는 북한에 대해 NPT 당사국들이 분명하고 단호한 경고의 메시지를 발신해야 한다고 믿습니다.

지금까지 본인은 북한으로부터의 핵 확산 위협에 관해 언급하였습니다. 여기에 덧붙여 우려되는 위협은 핵무기 및 핵 관련 물질․기술 등이 테러리스트 또는 비국가 행위주체에게 들어갈 가능성입니다. 이와 관련하여, 본인은 내일 안보리 고위급 공개토의를 주재하여 안보리 결의 1540호 이행 강화 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며, 이에 커다란 중요성을 부여하고 있습니다. 금번 공개토의는 지난 3월 헤이그에서 개최된 핵안보정상회의에서 확인된 핵테러리즘 방지를 위한 국제사회의 단합된 의지와도 상호보완적인 관계에 있습니다.

내외 귀빈 여러분,

유네스코 헌장은 “전쟁은 인간의 마음에서 비롯되는 만큼 평화의 방벽 또한 인간의 마음에 구축되어야 한다"라고 명시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한반도에서 이러한 평화의 방벽은 여전히 취약한 상황입니다. 이것이 한국 정부가 한반도에서의 신뢰구축과 지속가능한 평화 정착에 중요성을 부여하는 이유입니다. 북한의 심각한 인권 및 인도적 상황을 개선하기 위한 노력 또한 진전을 이루어야할 분야입니다.

이런 배경에서 박근혜 대통령은 지난 3월 독일 방문시 드레스덴 연설을 통해 구체적이고 행동지향적인 3대 제안을 북한에 제시하였습니다. 그것은 △ 남북한 주민들의 인도적 문제를 해결하고, △ 남북한 공동번영과 복지를 위한 인프라를 구축하며, △ 남북 주민간 동질성을 회복하기 위한 제안입니다.

박근혜 대통령의 통일 비전은 주민들에 초점을 두고 있습니다. 이는 "We the Peoples"로 시작하는 유엔 헌장의 전문에 나타난 유엔의 가치와도 맥을 같이 합니다.

모자보건과 영양을 위한 ‘1,000 days project’를 포함한 이러한 인도주의적 제안들은 정치안보적인 상황과 무관하게 꾸준히 실시할 수 있는 정책들입니다. 만성적인 심각한 영양실조를 겪고 있는 북한 영유아들은 장차 통일된 한국에서 같이 살아야할 동포들입니다. 그러나 손뼉도 마주쳐야 소리가 난다고 했습니다. 우리는 북한 당국이 우리의 진지한 제안에 긍정적으로 호응해 오기를 기대합니다.

우리는 통일로 가는 여정이 길고 험난할 것이라는 점을 잘 알고 있습니다. 독일 통일의 경험에서 보듯이, 통일 과정에서 국제사회로부터의 협력을 확보하는 것 또한 필수적입니다.

이런 점에서 우리는 △주변국의 이해와 조화를 이루는 통일, △국제사회로부터 축복받는 통일, △인류 전체에 기여하는 통일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내외 귀빈 여러분,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한국과 국제사회가 함께 만들어갈 한반도의 통일은 주변국은 물론 국제사회에 대박이 될 것입니다. 통일 한국은 다음과 같은 세 가지 분야에서 큰 혜택을 가져올 것입니다.

첫째, 통일 한국은 안보 분야에 있어서 동북아와 동북아를 넘어 중요한 안정자(stabilizer) 역할을 할 것입니다. 통일 한국은 핵무기 없는 한반도를 만듦으로써 동북아에서의 안보 위협을 완화할 것입니다. 또한, 핵확산, 핵안보, 핵안전 체제 강화를 위한 국제사회의 노력에도 기여할 것입니다. 이는 핵 없는 세계를 구현하는데도 도움이 될 것입니다.

독일의 통일이 궁극적으로 유럽 통합의 길을 선도했던 것처럼, 통일 한국은 보다 협력적인 동북아 질서 구축에 기여하게 될 것입니다.

둘째, 한반도 통일은 주변국들 및 지역에 막대한 경제적 혜택을 창출할 것입니다. 독일 통일이 독일의 동쪽지역에서 ‘엘베강의 기적’을 이룬 것처럼, 한국 통일은 한반도의 북쪽에서 ‘한강의 기적’에 이어 ‘대동강의 기적’을 가져다 줄 것으로 믿습니다. 인구 8천만의 역동적인 통일 한반도 경제권의 등장은 그 자체로서 경제적 기회를 줄 것이며, 나아가 한반도를 태평양과 유라시아의 허브로 만들어 주변국과 우방국들에게 새로운 블루오션이 될 것입니다.

셋째, 한반도 통일은 전지구적 문제를 해결하는데 커다란 기여를 할 것입니다. 우선 한반도 전체가 개인의 자유 및 인권을 누리게 될 것입니다. 나아가 통일한국의 강화된 위상과 역량은 통일한국이 더 좋은 위치에서 범세계적 도전들을 해결할 수 있도록 도울 것입니다.

내외 귀빈 여러분,

금년은 19세기말 제국주의 시대의 정점에서 한국이 역사상 최초로 서양식 개혁 개방을 시도한지 120주년이 되는 해이기도 합니다. 그러나 불행히도, 한국은 결국 개혁에 성공하지 못하고 국권을 상실했으며, 한반도 분단과 동족상잔의 비극으로 이어졌습니다.

역사를 통해 우리는 밀려오는 역사의 도전에 제대로 준비되어 있지 않으면 자신은 물론 후세에 까지 얼마나 큰 대가를 치르게 된다는 중요한 교훈을 배웠습니다. 국제사회의 책임 있는 일원으로 성장한 한국은 이제 보다 나은 미래를 열고 새로운 역사를 만들어 가고자 합니다. “미래를 예측하는 최선의 길은 미래를 창조하는 것이다”라는 피터 드러커 박사의 말 처럼 한국은 변화를 기다리지 않고 변화를 만들어 갈 것입니다.

우리가 만들어야 할 가장 중요한 변화는 한국의 통일입니다. 한반도 통일은 유엔 헌장에 명시된 더 큰 평화, 공영 그리고 정의를 향한 중요한 전진이 될 것입니다. 한국의 통일은 또한 평화와 개발, 그리고 인권이라는 보편적 가치들을 발전시켜 진정한 “인류의 의회(Parliament of Man)"가 되고자 하는 유엔의 여정을 촉진시킬 것입니다.

23년전 동서독이 오랜 분단을 끝내고 독일이라는 하나의 명패로 교체된 것 처럼 남북한이 Korea라는 하나의 명패를 갖는 날이 머지 않아, 그리고 우리가 생각하는 것보다 더 빠르게 다가올 것으로 믿습니다. 통일을 향한 우리의 역사적인 여정에 유엔 그리고 이 자리에 계신 여러분들의 지지를 기대합니다.

경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