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연설문

아산-SIPRI 동북아 평화협력 구상 컨퍼런스 외교장관 기조연설(7.9)

작성일
2014-07-09 14:00:00
조회수
6121

Keynote Speech
by H.E. Yun Byung-se
Minister of Foreign Affairs

Asan-SIPRI Conference on
Northeast Asia Peace and Cooperation Initiative
“NAPCI Encountering European Experience of CSBM”
July 9, 2014


Dr. Hahm Chaibong,
Director Ian Anthony,
Professor Moritomo Satoshi,
Vice President Douglas Paal,
Distinguished Guests and
Ladies and Gentlemen,

Dr. Henry Kissinger, one of the greatest minds of our times, told the Munich Security Conference held in February this year, “Asia is more in a position of 19th-century Europe, where military conflict is not ruled out.” He went on to say, “Between Japan and China, the issue for the rest of us is that neither side be tempted to rely on force to settle the issue.”

His concern almost became a reality in less than three months. In May, over the East China Sea, a Chinese fighter jet and a Japanese reconnaissance plane came within a 30-meter distance from each other, narrowly avoiding a mid-air collision. A similar incident occurred again in June.

Confrontations are not only happening in the East China Sea. During the same period, in the waters of the South China Sea, there have been several cases of physical confrontation between Chinese and Vietnamese vessels, which had rarely happened after the Sino-Vietnamese War in 1979.

Conflicts over historical revisionism among neighbors in Northeast Asia are far from dying down.

On top of that comes the threat from North Korea of conducting an additional nuclear test and advancing its nuclear weapons capability. Since North Korea’s announcement in March, intensive diplomatic efforts are under way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to cope with various eventualities.

As if the Pandora`s Box has been opened, we are now witnessing conflicts or seeds of looming trouble in a whole range of areas, starting from history and territories, to maritime security, airspace and cyberspace, arms races, and even security concepts. All of these unprecedented conflicts are happening at the same time. Some pundits refer to this trend as the “return of geopolitics” or the “return of history.”

If this trend goes unchecked and continues to persist, even the remarkable economic growth that has characterized Asia since the end of the Cold War may be weakened. Moreover, and just as Dr. Kissinger astutely cautioned, there remains a serious risk of situations in Asia escalating to a military conflict, triggered by miscalculations. Please allow me to share my thoughts with you on why such phenomena are occurring in Asia in earnest.

First of all, looking at the big picture, Asian regional order is now going through a major transformation.
On the horizon is a rising and assertive China, a resurgent Japan that seeks a breakdown of the postwar bondage, a Russia that is looking east, and a North Korea that is desperately pursuing both economic development and nuclear weapons, and the United States that is pivoting and rebalancing to Asia. In the process of pursuing their irrespective goals, nations in the region are often times tempted to engage more in confrontation than in cooperation.

Second, there is a lack of systematic and effective mechanisms to respond to these challenges. More fundamentally, however, the ‘Trust Deficit’ problem in Asia is worse today than at any other time since the end of the Cold War. Considering that trust is a core factor in promoting cooperation between nations, if the situation of a ‘Trust Deficit’ continues, then this could become the source of all kinds of problems down the road.

Third, in comparison with Europe, the mismatch between economic interdependence and political or security cooperation is getting severe in Asia. I call this the ‘Asian Paradox.’ In postwar Europe, the deepened economic interdependence generally led to the loosening-up of political and military tensions. However, as demonstrated by recent events in Asia, high politics is now prevailing over low politics.

Lastly, unlike in Germany and Europe, historical revisionism is rapidly gaining force in Asia recently. Such troubling revisionist movements are directly or indirectly linked with concerns over defense and security policies and are aggravating the tensions in the region.

Distinguished Guests,

Although conflicts are occurring all across East Asia, the situation in Northeast Asia seems to be much worse than that of Southeast Asia. The question is ‘how’ can we overcome such diverse problems and forge an economically dynamic and politically sustainable region moving forward?

As we have seen earlier, the nature and the manifestations of conflicts in Northeast Asia are very complex. Thus, it is essential that we take a comprehensive, multi-faceted approach.

Of course it would be of utmost importance to make efforts to address the sources of bilateral conflicts between major countries. However, it is just as necessary to complement the bilateral efforts with multilateral efforts as much as possible.

In this connection, I would like to remind you that Northeast Asia is virtually the only region in the world that does not have a multilateral cooperation mechanism in place.

More fundamentally, we need to cultivate the culture of peace in the minds of the people of Northeast Asia. As stipulated in the Constitution of UNESCO, “Since wars begin in the minds of men, it is in the minds of men that the defenses of peace must be constructed.”

Currently, Northeast Asia is the most heavily armed region in the world, and it is also a region that has to cope with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 ? a clear and present danger to security. Northeast Asia is also a region considered one of the most likely places for a military conflict, along with the Middle East. This is all the more reason for us to induce a change in perception.

Distinguished Guests,

This year marks the centennial of the outbreak of World War I and the 25th year since the fall of the Berlin Wall. For the past century, Europe has overcome the calamities of two devastating world wars and the pains of the Cold War, transforming the continent into one of durable peace and prosperity.

Germany also has overcome its division and soared beyond the miracle of the Rhine River to achieve the miracle of the Elbe River. Europe is playing a leading role with its unified strength and influence in advancing global security and peace.

Although Europe and Northeast Asia are different in various ways, Europe’s experience of reconciliation and integration has many implications for us in our pursuit of peace and cooperation in Northeast Asia.

First, from early on, there were various efforts in Europe to present visions and strategies for the postwar order. The European Coal and Steel Community (ECSC), known today as the precursor to the European Union, was established thanks to the vision of the former Foreign Minister Schuman of France.

However, not many people know that, even before the birth of ECSC, British Prime Minister Churchill laid out his vision for the United States of Europe in 1946. Europe held steadfast to its strong conviction for a unified Europe even when the guns of the World War II had just stopped firing.

The gradual process of the ECSC developing into the EU was possible only because European nations continuously shared their visions for a united, peaceful and prosperous Europe, as provided for in the Schuman Declaration and the Treaty of Rome.

Second, NATO provided a framework of security that was conducive to Europe's integration. By providing firm defense from external threats and by contributing to the alleviation of security anxiety, NATO was able to keep the Warsaw Treaty Organization in check.

Third, through the CSCE, Europe took a creative approach of starting with maintaining the status quo and moving on to changing the regional situation. The CSCE developed into the OSCE some 20 years later, and now the OSCE, with another 20 years of progress under its belt, is moving forward to become an advanced, systematic Eurasia Security Community.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from the CSCE to the OSCE, Europe truly shined through with its vision for "Europe Whole and Free" and demonstrated the patience it takes to achieve this vision, a lesson that we must pay close attention to.

Fourth, the reconciliation over history and improvements in bilateral relations between Germany and its neighbors including France played a pivotal role in the European integration. Europe’s precedent provides clear implications for Northeast Asia, a region where historical conflicts are causing serious trouble.

The EU, NATO, and the OSCE are the three main pillars in ushering in the era of peace and prosperity of Europe. If such multilateral cooperation frameworks had not existed, Germany's reunification may have been impossible or delayed substantially. Multilateral cooperation mechanisms functioned as the regional safety valve that expedited Germany's reunification. 

Distinguished Guests,

The Northeast Asia Peace and Cooperation Initiative that Korea seeks to pursue is a vision and a diplomatic strategy aiming to transform the current structure of distrust and confrontation with that of reconciliation and cooperation by building trust, just as Europe did in the past. 

Of course, there were some proposals and attempts to promote intra-regional cooperation in Northeast Asia in the past. However, the Northeast Asia Peace and Cooperation Initiative takes a tailored approach most appropriate for the current situation in the region, while utilizing the strengths and reinforcing the shortcomings of the initiatives made so far.

Before delving into explaining what the Northeast Asia Peace and Cooperation Initiative is, I would like to say a few words to instill a more proper understanding of the Initiative by way of pointing out what this Initiative is not.

First, the Initiative is not in conflict with the Korea-US alliance, in the same way the CSCE and OSCE do not contradict the NATO or Warsaw Treaty Organization.

Second, the Initiative will not exclude any major stakeholder in the region. 

Third, any multilateral and minilateral efforts currently in progress for enhanced regional cooperation such as the Korea-China-Japan trilateral cooperation and ARF, will be reinforced.

Fourth, the Initiative is not a replacement to the Six Party Talks for the denuclearization of North Korea.

Fifth, all participating nations will be co-architects and co-owners of the Initiative.

Hence, the Northeast Asia Peace and Cooperation Initiative takes into account the dire situation of the region, taking a thorough, practical, and enforceable approach as follows:

First, it is a process-oriented approach in which discussions and cooperation are accumulated at a comfortable speed starting with countries with willingness and capacity, and in areas where cooperation is feasible.

Second, it has an open-ended configuration in which observer participation is possible. Regional cooperative organizations such as the EU, OSCE and countries outside the region, including in Europe and in Southeast Asia, can participate, although the Initiative will center around its core of Northeast Asian countries. In addition, participating countries can actively discuss various issues of their own interests, inducing participation from all participants. 

Third, in order to cultivate a culture of multilateral talks, the Initiative will start out with a non-traditional soft security agenda and expand into a traditional security agenda. Taking a look at Europe's multilateral cooperation experience, they too, began with discussing soft issues such as economic integration and eventually ended up cooperating in hard issues such as CSBM.

However, considering the present circumstances in Northeast Asia, it is difficult to anticipate a hard agenda to make progress ahead of cooperation on soft agendas. The current deadlock on the Korea-China-Japan trilateral cooperation that has made some progress over the past years reflects this harsh reality.

Essentially, the mobilization of political will is needed.  In this vein, I believe that holding in-depth discussions at this conference on Northeast Asia's security environment, including both traditional and non-traditional security agendas, will be an appropriate approach at this juncture.

Distinguished Guests,

Since the inauguration of the Park Geun-hye administration, the Korean government has made efforts to push forward with the Northeast Asia Peace and Cooperation Initiative, and has achieved some significant progress along the way.

Based on such accomplishments, the Korean government seeks to develop the Northeast Asia Peace and Cooperation initiative in more detail with the participation of core countries. In this respect, NATO, EU, and OSCE, which perform core functions of Europe's integration and prosperity, have shown great interest and support toward our Initiative.

For example, when NATO Secretary General Rasmussen visited Korea in April last year, he mentioned to me that Europe's multilateral cooperation would serve as a good reference in pursuing our Initiative and agreed to share with us NATO’s experiences. 

After a long year of practical preparations, we are finally seeing the fruits of the discussions ? this  very conference ? right here today.  It is also the first international meeting on the subject of the Northeast Asia Peace and Cooperation Initiative jointly organized by a foreign organization and Korea.

The Northeast Asia Peace and Cooperation Initiative is an evolving process. The Korean government is willing to work closely with countries in the region to substantiate the Initiative, suitable to Northeast Asia's changing reality and unique circumstances. 

Moreover, it could contribute to the resolution of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 one of the most serious obstacles to achieving durable peace in the region, and contribute to a peaceful Korean Peninsula and its eventual reunification.

Distinguished Guests,

As I have mentioned, visions of European integration or Europe Whole and Free were made possible because the nations in Europe had a shared belief in such visions.

Therefore, the nations in Northeast Asia need to start dreaming of a vision for a common future. The United States’ ‘Pacific Dream,’ China’s ‘Chinese Dream,' Korea’s 'Unified Korean Peninsula' must converge into a greater dream for all. As President Park Geun-hye once said, it is not even possible to overcome minor differences if purposes are not shared, whereas with a shared purpose, any differences can be overcome.

Next, we must begin to find areas in which we can cooperate and to establish codes of conduct which can substantiate the common vision. The first step in establishing a peaceful Europe started from searching for common grounds of cooperation and codes of conduct in order to realize a common dream. Similarly, Northeast Asia Peace and Cooperation Initiative must begin with identifying the common agenda and building upon it.

Finally, like the way Europe’s multilateral cooperation and trust building led to the German unification and the ensuing prosperity of Europe, the multilateral cooperation in Northeast Asia will be conducive to the re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the peace and prosperity of Northeast Asia, and making positive contribution to the greater international community.

The Korean government will also work together with its neighbors and the international community to build a new kind of Korea and usher in a new era in Northeast Asia.

Distinguished Guests,

This year marks the 200th anniversary of unbroken peace in Sweden. The Stockholm International Peace Research Institute, established 50 years ago to share with the international community the wisdom and experience of the Swedish people regarding peace, has now developed into a full-fledged research institute with a global reputation.

It is not coincidence that the Asan Institute for Policy Studies, which is evolving into one of the premier think-tanks in Northeast Asia, has arranged this Conference on peace and trust building in Northeast Asia together with SIPRI. Taking this opportunity, I would like to express my most sincere appreciation to Dr. Hahm Chaibong, President of Asan institute for Policy Studies, and Dr. Ian Anthony, Director of SIPRI. I once again thank ASAN and SIPRI for organizing this event and extend my warm welcome to everyone here today.

It is my sincere hope that this Conference will serve as an important opportunity to advance the Northeast Asia Peace and Cooperation Initiative.

Thank you.


-----------------------------------  국         문  --------------------------------------------------

함재봉 아산정책연구원 원장님,
이안 안소니 스톡홀름 국제평화연구소 소장님,
모리토모 사토시 前 일본 방위성 방위상님,
더글라스 팔 카네기평화재단 부회장님,
그리고 내외 귀빈 여러분,

우리 시대의 현인 중 한 명인 헨리 키신저 박사는 금년 2월 뮌헨 안보회의에서 “아시아의 상황이 19세기 유럽과 비슷하며,  군사적 충돌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하면서 “일본과 중국 어느 한 쪽도 문제 해결을 위해 힘에 의존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한 바 있습니다.
이러한 키신저 박사의 우려는 불과 석 달도 안 되어 현실로 나타날 뻔 했습니다. 지난 5월 동중국해 상공에서 중국 전투기와 일본 정찰기가 30미터 사이를 두고 대치한 데 이어 6월에도 유사한 사태가  재발한 바 있습니다. 동중국해 뿐 만이 아닙니다. 같은 시기에 남중국해에서는 1979년 중월전쟁 이후 드물었던 베트남과 중국 선박들간 물리적 충돌이 수 차례 발생하였습니다.

또한, 동북아 역내 국가간 역사수정주의를 둘러싼 갈등은 좀처럼 수그러 들지 않고 있습니다. 무엇보다도 북한의 추가 핵실험  위협 및 핵능력 고도화는 역내의 우선적인 우려 사안으로서, 국제사회는 지난 3월 북한의 핵실험 위협 발표 이 후 다양한 사태의 전개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집중적인 외교적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마치 판도라의 상자가 열리기나 한 것처럼, 우리는 역사, 영토, 해양안보, 우주 및 항공질서, 사이버공간, 군비증강, 안보관 등 수많은 분야에서 동시 다발적으로 갈등 또는 긴장요인이 발생하고 있음을 목도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현상을 두고 일부 학자들은 지정학의 귀환, 역사의 귀환이라고 까지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만약 이러한 상황이 완화되지 않고 지속된다면, 냉전 종식 이후 아시아가 구가해 온 경제성장마저도 약화될 우려가 있습니다. 더 나아가, 키신저 박사의 경고처럼 오판에 의해 군사적 충돌로 비화될 우려도 존재합니다. 이러한 현상이 왜 발생하고 있는지에 대해서는 몇 가지로 설명할 수 있을 것입니다.

첫째, 큰 틀에서 보면, 아시아의 질서에 대변환이 일어나고 있습니다. 부상는 단호한 중국, 전후체제 타파를 추구하는 일본, 동아시아에 새로이 눈을 돌리는 러시아, 핵과 경제발전 병진 노선을 고집하는 북한이 혼재하는 상황 속에서 미국은 아시아로의 회귀와 재균형을 추구하고 있습니다. 역내 국가들이 각자의 목표를 추구하는  과정에서 수시로 협력보다는 대립적인 경향을 보이고 있습니다.

둘째, 동북아에는 이러한 도전에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메카니즘이 부재합니다. 보다 근본적으로는, 아시아 역내국가간 ‘신뢰 적자’ 문제가 냉전 종식 이후 어느 때보다 심각합니다. 신뢰가 국가간 협력의 핵심적인 요소라는 점을 고려한다면, 동북아에서 ‘신뢰 적자’ 상황의 지속은 만병의 근원이 될 수 있습니다.

셋째, 유럽과 비교해 볼 때, 경제와 정치ㆍ안보 문제의 부조화 현상이 커지고 있습니다. 이를 본인은 ‘아시아 패러독스’ 현상이라고 부르고 있습니다. 전후 유럽에서는 경제적 상호의존이 대체로 정치ㆍ군사적 긴장완화를 가져왔지만, 아시아에서는 최근 일련의 사태에서 보듯이 상위정치(high politics)가 하위정치(low politics)를 압도하는 현상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유럽 및 독일과는 달리, 아시아에서는 최근 들어 역사수정주의적 움직임이 급속히 강화되고 있으며, 방위안보정책과 직간접으로 연결되면서, 역내 긴장을 증폭시키고 있습니다.

내외 귀빈 여러분,

동아시아 전역에서 이러한 갈등이 발생하고 있습니다만, 동남  아시아의 상황에 비해 동북아시아의 상황은 훨씬 심각하다 할 수 있습니다. 문제는 과연 이러한 다양한 문제를 ‘어떻게’ 이를 극복하고, 경제적으로 역동적이고  정치적으로 안정된 지역을 만들어 나가느냐 하는 것입니다.
이미 살펴본 바와 같이, 동북아 갈등의 양상과 본질이 매우 복합적이므로 포괄적이고 다면적인 접근법이 필수적입니다. 주요국간 양자 갈등의 근원을 직접 다루면서 갈등을 관리하는 노력이 가장 중요합니다. 가능한 범위 내에서 다자적인 노력으로 양자적인 노력을 보완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러한 측면에서, 동북아는 전 세계에서 사실상 유일하게 다자적인 협력 메카니즘이 부재한 지역임을 상기할 필요가 있습니다.
보다 근본적으로는, 동북아국 국민들의 마음속에 평화의 문화를 배양해야 합니다.  유네스코 헌장이 명시하고 있듯이  “전쟁은 인간의 마음에서 비롯되는 만큼 평화의 방벽은 인간의 마음에 세워져야” 합니다. 지금 동북아는 전 세계에서 가장 중무장된 지역이자 ‘현존하고 분명한’ 안보 위협인 북핵 문제를 안고 있는 지역입니다. 중동과 더불어 군사적 충돌의 개연성이 가장 높은 지역으로 간주되기도 합니다. 이것이 바로 우리가 더더욱 인식의 변화를 이끌어 내야만 하는 이유입니다. 

내외 귀빈 여러분,

금년은 제1차 세계 대전이 발발한지 100주년이자 베를린 장벽 붕괴 25주년이 되는 해입니다. 지난 세기 유럽은 두 차례 세계대전의 참화와 냉전의 고통을 딛고 유럽을 항구적 평화와 번영의 대륙으로 변모시켰습니다. 독일 또한 분단을 극복하고 라인강의 기적을 넘어 엘베강의 기적을 이루었고, 유럽은 단합된 힘과 영향력으로 국제평화와 안보 증진에 있어 선도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비록 유럽과 동북아는 여러 부분에서 차이점이 있지만, 유럽의 화해와 통합의 경험은 동북아지역에서의 평화와 협력을 추구해 나가려는 우리에게 많은 시사점을 주고 있습니다.

첫째, 유럽에는 일찌감치 전후 질서에 대한 비전과 전략을 제시하려는 다양한 노력이 있었습니다. 오늘 날 유럽연합의 효시로 알려진 ECSC는 슈망 프랑스 외상의 비전으로 가능했지만, 사실 그보다 앞서 처칠 영국 수상이 이미 1946년에 United States of Europe 구상을 제시한 것은 잘 알려져 있지 않습니다. 이들 지도자들은 2차 대전의 포화가 끝난 지 얼마 안 된 시점에 벌써 통합된 유럽에 대한 확고한 신념을 갖고 있었습니다. 유럽석탄철강공동체(ECSC)에서 나중에 EU로 발전하는 점진적 과정은 ECSC 출범 당시 슈망 선언과 로마 조약에서 보듯이, 하나된 유럽, 평화로운 유럽, 번영하는 유럽에 대한 비전을 역내 국가들이 지속적으로 공유하였기 때문에 가능했습니다.

둘째, NATO는 유럽 통합을 촉진시킨 안보의 틀을 제공하였습니다. NATO는 역외 위협으로부터 확고한 방위를 제공하고, 안보 불안 해소에 기여함으로써 WTO와의 세력 균형 유지를 가능하게 했습니다.

셋째, 유럽은 CSCE를 통해 현상 유지로 시작하여 현상을 변경하는 창의적인 접근법을 도입하였습니다. CSCE는 약 20년후 OSCE로 발전하였고, OSCE는 20년이 지난 현재에도 보다 진전된 형태의 제도화된 유라시아 안보공동체를 지향하고 있습니다. CSCE-OSCE로 발전하는 유럽의 경험에서 우리는 “통합되고 자유로운 유럽(Europe Whole And Free)”의 비전과 이를 이루어 가는 인내심 있는 과정에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넷째, 역사에 대한 화해와 독일과 불란서를 포함한 주변국들과의 양자 관계 개선이 유럽통합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한 유럽의 전례는 역사 문제가 첨예한 역내 갈등 요인으로 부각되고 있는 동북아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생각합니다.
EU, NATO, OSCE는 유럽의 평화와 번영을 견인한 3대 축입니다.  이러한 다자적인 협력의 틀이 없었더라면 독일의 통일이 불가능 했거나 상당히 지연되었을 것입니다. 다자적인 협력 메카니즘은 역내 안전판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면서 독일 통일을 촉진시켰던 것입니다. 

내외 귀빈 여러분,

한국이 추구하는 동북아평화협력 구상도 유럽에서와 같이 동북아에서 신뢰를 구축하여 불신과 대립의 구도를 화해와 협력의 질서로 바꾸고자 하는 비전이자 외교전략입니다. 물론 동북아에도 과거 역내 협력을 증진시키고자 하는 제안과 시도들이 없었던 것도 아닙니다. 다양한 구상들의 장점을 취하고 부족한 점을 보완하면서, 현재의 동북아 상황에 가장 적합한 맞춤형 접근법을 제안코자 한 것이 바로 동북아평화협력 구상입니다. 
동북아 평화협력 구상이 무엇인가 명확히 설명 드리기에 앞서 동북아평화협력 구상이 의도하지 않는 것을 말씀드림으로써, 동북아 평화협력 구상에 대해 보다 올바른 이해를 제고시키고자 합니다. 
첫째, 동북아평화협력 구상은 한?미 동맹과 상충되지 않습니다. 그것은 CSCE와 OSCE가 NATO 또는 WTO와 상충하지 않는 것과 마찬가지입니다. 둘째, 역내 어떠한 이해관계국도 배제되지 않습니다. 셋째, 한중일 3국협력, ARF 등 역내 협력 증진을 위해 추진되고 있는 다자ㆍ소다자적 노력을 보완할 것입니다. 넷째, 북한 비핵화를 위한 6자회담을 대체하는 것이 아닙니다. 다섯째,  참가국 모두가 함께 설계하고 함께 만들어 나가는 것입니다.
따라서, 동북아 평화협력 구상은 동북아의 엄중한 상황을 감안하여 다음과 같이 현실적이고 실천가능한 접근을 염두에 두고 있습니다.

첫째, 의사와 역량을 갖춘 국가와, 협력이 가능한 분야부터 편안한 속도로, 대화와 협력을 축적해 나가는‘과정 중심의 접근방식’을 취해 나가고 있습니다.

둘째, 동북아 역내 국가를 중심으로 하되 유럽, 동남아 등 역외국과 EU, OSCE와 같은 지역협력기구의 옵저버 참여도 가능한 개방적 구상입니다. 또한, 참여국들이 각자 관심 있는 의제별로 논의를 주도해 나감으로써 관련국 모두의 참여 유도를 지향하고 있습니다.

셋째, 다자적 대화 문화를 함양하기 위하여 비전통 연성안보 의제 협력에서 출발하여 전통안보의제로 확장 한다는 점입니다. 유럽의 다자협력 경험을 보면 그들도 경제협력과 같은 연성의제 논의에서 출발하여 결국 CSBM과 같은 경성의제에 관한 협력으로 발전하였습니다. 그러나, 현재의 동북아에서는 연성의제 협력에 앞서 경성의제 협력을 기대하기는 어려운 현실입니다. 지난 수년간 진행되어 온 한중일 3국 협력이 현재 교착상태에 있는 것이 이와 같은 어려운 현실을 잘 설명해 주고 있습니다. 결국, 정치적 의지의 결집이 필요한 것입니다. 이러한 맥락에서 금번 회의가 동북아 안보환경, 전통안보의제, 비전통 안보의제를 모두 심도 있게 다루는 것은 현 시점에서 매우 적절한 접근법이라고 생각합니다.

내외 귀빈 여러분,
 
박근혜 정부 출범 이래 지난 1년 반에 걸쳐 한국 정부는 동북아 평화협력 구상을 추진코자 많은 노력을 기울여 왔으며, 소기의 성과도 거두었습니다.이러한 성과를 기반으로, 한국 정부는 핵심국들의 참여하에 동북아 평화협력 구상을 더욱 구체적으로 발전시켜 나가고자 합니다. 이와 관련, 유럽 통합의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NATO, EU, OSCE는 모두 우리의 구상에 커다란 관심과 지지를 보내왔습니다. 예를 들어, 작년 4월 한국을 방문한 라스무센 NATO 사무총장은 본인에게 유럽의 다자협력 경험이 우리의 구상을 추진하는데 있어 좋은 참고가 될 것이라며 NATO의 경험을 우리와 공유할 수 있도록 협조하겠다고 약속하였습니다. 이후 1년 이상의 오랜 실무적인 준비를 거쳐 개최된 것이 바로 오늘 회의이며, 한국 입장에서는 동북아 평화협력 구상 관련 해외 기관과는 처음으로 공동주최하는 국제회의이기도 합니다.
동북아 평화협력 구상은 유럽에서와 마찬가지로 진화하는 과정입니다. 한국 정부는 역내 국가들과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동북아에서의 변화하는 환경과 특유의 여건을 감안하여 동 구상을 구체화해 나가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동북아 평화의 가장 큰 장애물 중 하나인 북핵문제 해결과, 지속가능한 한반도 평화 정착과 궁극적 통일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입니다.

내외 귀빈 여러분,

앞서 말씀드린 것처럼 유럽 통합이나 Europe Whole and Free 비전은 이러한 비전을 가진 지도자들의 영향을 많이 받았지만, 이것이 가능하게 된 것은 유럽 국가들이 공동의 미래 비전을 공유했기 때문입니다.
이제 동북아 국가들도 미래를 위한 공동의 꿈을 꾸기 시작해야 합니다. 미국의 ‘태평양의 꿈’, 중국의 ‘중국몽’, 한국의 ‘통일 한반도’는 보다 커다란 공동의 꿈으로 수렴되어 발전해야 합니다. 박근혜 대통령께서 말씀하셨듯이 목적을 공유하지 않으면 작은 차이도 극복할 수 없지만, 목적이 같으면 그 차이는 극복할 수 있는 법입니다. 
다음으로, 공동의 꿈을 구체화할 수 있는 협력분야 발굴과 행동규범을 수립해야 합니다. 평화로운 유럽 달성은 공동의 꿈을 이루기 위한 공동의 협력 분야와 행동규칙을 찾은 것에서부터 시작되었습니다. 동북아 평화협력구상도 공동의 어젠다를 발굴하고 확대해 나가야 합니다.
마지막으로, 동북아 다자협력은 한반도의 통일과 동북아의 평화와 번영, 그리고 국제사회에의 기여확대에 유리한 환경을 조성할 것입니다. 
한국 정부로서는 역내 국가들 및 국제사회와 힘을 합쳐 새로운 한반도, 새로운 동북아 시대를 열어 나가는데 건설적인 기여를 해 나갈 것입니다.

내외 귀빈 여러분,

올해는 스웨덴이 평화를 굳건히 지켜 나가고 있는 지 200주년이 되는 해입니다. 평화에 대한 스웨덴인들의 지혜와 경험을 전 세계와 공유하기 위해 50여년전 설립된 스톡홀름국제평화연구소(SIPRI)는 이제 세계적인 평화 연구소로 성장하였습니다.
오늘 동북아의 대표적인 싱크탱크로 성장하고 있는 아산정책연구원이 SIPRI와 함께 동북아에서의 평화와 신뢰구축을 위한 자리를 마련한 것은 의미가 크다고 생각합니다. 이 기회를 빌어, 함재봉 아산정책연구원 원장님과 이안 안소니 스톡홀름국제평화연구소 소장님께 깊은 감사의 말씀을 전합니다. 또한, 참석하신 모든 분들께 따스한 환영의 인사를 전합니다
아울러, 금번 회의가 성공적으로 개최되어 동북아 평화협력 구상을 진전시키는 중요한 계기가 되기를 희망합니다. 감사합니다.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