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연설문

한-EU 동북아평화협력 구상 세미나 외교장관 기조연설(9.18)

작성일
2014-09-18 16:09:00
조회수
5922

Keynote Speech
by H.E. Yun Byung-se
Minister of Foreign Affairs

“The Northeast Asia Peace and Cooperation Initiative and the European Experience”

Joint Korea-EU Seminar
September 18, 2014


Chancellor Yoon,
Director Missiroli,
Ambassador Kozlowski,
Secretary-General Iwatani, and
Distinguished guests,



This year marks the centenary of the First World War as well as the 75th anniversary of the Second. The harrowing and horrifying experiences of these two world wars spurred the founders of the United Nations to “save succeeding generations from the scourge of war, and to promote social progress and better standards of life in greater freedom.”

The fruits of these efforts were remarkable. In retrospect, for about a half century that spanned from the end of World War II to the end of the Cold War and most of the post-Cold War era, the world lived through an age of relative peace and progress.
An age where more and more people came to share common values and ideals.
An age where economic integration took hold.
An age of heightened international cooperation.
Despite frequent tensions and conflicts emanating from the Cold War, it was that rare thing in history, a fortunate period where a larger part of humanity enjoyed peace and prosperity. No wonder that an optimism born from the “End of History” and an “Age of Hope” flowed forth.

Unfortunately, we now live in more turbulent times. Around us we see a world straining under symptoms of discord and disorder. A world that is facing fundamental, critical challenges. We are witnessing the unraveling of states, their spinning out of control – in Syria, Iraq and Libya. We are seeing a new fault line, a “mini Cold War” of sorts, between and among states, divided on how to deal with a spate of vexing issues, from Syria, Ukraine to ISIS.


In my part of the world, Northeast Asia, we are facing uncertainties and challenges that are no less daunting and complicated. The contentions between major powers in the region cover the skies, the seas, the land and even cyberspace. History-related issues are disfiguring good neighborly fences into walls of mistrust and discord. Nations are competing for more arms. Regional confidence building measures and crisis management mechanisms are yet non-existent. The possibility of escalation into armed conflict has moved from being a theoretical to a real concern.

The tremors coming out from the political and security fields are now being felt in economic and other areas as well. Two days ago, the OECD marked out the conflicts in Ukraine, the Middle East and independence movements in Europe as a triple shock of geo-political risks that are damaging the world economy.

The fear is now real, that we might be unwittingly stepping into the entrance of a long, dark passage. The voices of wisdom and experience are calling for our attention.

Only five days ago, Pope Francis made a striking warning that World War III may have already begun. He empathically spoke about the crimes, massacres and destruction of our current times at the Redipuglia memorial, the final resting place of 100,000 soldiers killed during World War I.

About ten days ago, Henry Kissinger published a new book, “World Order,” where he warns that we are at a historic turning point. Indeed, the fabric of the current world order, which has brought us freedom and prosperity, is unraveling at the seams.

Now is a good time to think anew on the turn that our global order is taking and to examine carefully where we are headed to. The prize is the development of a new system that can accommodate the partnerships, universal principles and modern realities beyond the traditional balance of power.

This is a difficult challenge that calls for wide collaboration and creative, persistent efforts.

Distinguished guests,

The great European poet Dante’s 『Gate of Hell』 bears the famous inscription, quote “Abandon all hope, ye who enter here,” unquote. Hope is what overcomes fear and despair. Paradoxical as it may sound, it is this challenge in the global order that is feeding our hopes.

Our hopes are for a new order of cooperation and integration, one that prevails over conflict and tension. To quote the succinct remarks of Pope Francis during his visit to Korea, our goal is “to build a better, more peaceful, just and prosperous world for our children.” And it is the European experience that allows us to say with confidence, “look at Europe – our goal is achievable.”

One century ago, Europe was a continent engulfed in the flames of global war. Now, it has become a region that has come together to use its power and influence for the sake of global peace. Decades ago, Europe was a continent united by mutual suspicion and antagonism. Now, the European Union has become an inspiration for other regions that are striving to replace conflict and distrust with reconciliation and cooperation.

Europe’s achievements in the 20th century at the western periphery of the Eurasian continent are Korea’s aspirations in the 21st century at its eastern end. This is the essence of President Park Geun-hye's Northeast Asia Peace and Cooperation Initiative. Our quest is to transform Northeast Asia from a region suffering from mistrust and confrontation into a region of trust and cooperation. We seek to open a new chapter in Northeast Asia, and through this, contribute to a peaceful and cooperative world order.

The Korean government’s Northeast Asia Peace and Cooperation Initiative is intended to provide a great opportunity for a stable global order. Northeast Asia is home to rising powers with divergent values and visions. As former Secretary of State Hilary Clinton has rightly noted, building a cooperative relationship within the region will go a long way in meeting the broader global challenge.

This is the backdrop for today’s seminar, which comes with exquisite timing. I thank the Korea National Diplomatic Academy and the European Union Institute for Security Studies (EUISS) for hosting this occasion.

Korea and the EU are natural and strategic partners. Korea is the only Asian nation to sign three major agreements with the EU – the Framework Agreement, the Free Trade Agreement and the Crisis Management Agreement. Korea and the EU are united through our common values and our ambitious vision for a better future. I hope that today’s discussions on the international order, both on the global and Northeast Asian regional levels, will serve to cement our strategic partnership.

Ladies and gentlemen,

Keeping in mind the above, I would now like to share some thoughts on how these two regions are connected.

Let me begin with the three lessons European integration can teach us.

First, comes the need for long term vision and planning. Europe had inspired visionaries who imagined a new regional order in a post-war world. Robert Schuman led the formation of the European Coal and Steel Community, the forerunner of the modern EU. Winston Churchill, as early as 1946, proposed the idea of a United States of Europe. Europe had leaders who had the imagination, vision and determination to pursue the European project. Even when it seemed to be an outlandish idea ahead of its time.

Yet vision in itself is not sufficient. The nations of Europe were persistent and patient in their efforts. The Helsinki Final Act was adopted in 1975, and the Europeans worked through the Conference on Security and Cooperation in Europe (CSCE) to enhance confidence and security, as well as economic, cultural and humanitarian cooperation. Thus, the strong mutual trust and solidarity of today’s Europe, whole and free, was not built in a day.

Second, is the need for a creative, trust building approach on a step-by-step basis. Keeping the status quo is not always an easy task, but changing it requires even greater courage and effort. The initial mission of the CSCE, created in 1975, was to maintain the post-war order, but it became the vessel for the more ambitious dream of European integration. As European integration has become a reality, the OSCE, formed in 1990, has begun to work for the greater dream of a Euro-Atlantic and Eurasian Security Community in the 21st century.

Third, is the necessity of healing historical wounds, as was aptly mentioned by Director Missiroli, just now. In 1970, in Warsaw, West German Chancellor Brandt knelt at a memorial for World War II holocaust victims. That moment of golden silence did more than any amount of winged words could have done to heal the past and set the seal on a new future. It became the symbol of a new relationship with former victim countries. The genuine gesture of contrition and the substantive actions to buttress it were vivid signals that encapsulated the sincerity of Germany. Without those gestures and actions, I ask you – where would European integration be now? Where would German reunification be?

Germany’s sincere efforts to assuage the fears and concerns of its neighbors went a long way to make all of this possible. This is an experience we in Northeast Asia should take into account. Historical and territorial issues are forming a regional vortex. What concerns us is the ongoing attempts to justify or even beautify past wrongdoings. If we want Northeast Asia as a region of peace and cooperation, it is essential to have a correct understanding on history and to try to resolve the underlying sources of tension once and for all.

Distinguished guests,

For us Koreans, the European experience has been invaluable in conceiving and formulating the Northeast Asia Peace and Cooperation Initiative.

First of all, the Initiative uses European modes of cooperation as a point of reference. In Europe, joint work on ‘soft issues’ such as economic cooperation paved the way for collaboration on ‘hard issues’ like Confidence and Security Building Measures(CSBMs).

The Northeast Asia Peace and Cooperation Initiative takes a similar approach.
 Focus on building up the process and experience of cooperation and dialogue.
 Start with the easier topics, the non-traditional soft security issues.
 Gradually move on and expand the cooperation to traditional security issues.
That is why we are trying to work together on matters such as nuclear security, the environment, disaster relief, and energy security. When we regional countries can put sufficient trust in each other, the time will have come to cooperate on traditional security issues. We will then have a foundation on which to build a new multilateral security framework.

Second, the Northeast Asia Peace and Cooperation Initiative is an open initiative. The OSCE is a ‘broad church’ with 57 members, working with numerous international and regional organizations. In a similar vein, the doors of the Initiative are open to all stakeholders. The Initiative is centered on the Northeast Asia region, but European and Southeast Asian countries, and organizations such as the EU and OSCE are welcome as observers. And let me emphasize that the Initiative is always open for North Korea, an important regional stakeholder.

The Initiative also takes a collaborative approach. As I mentioned before, members, as co-architects, may take the lead on discussing agenda items that interest them. This will ensure the active participation from all member states.

Third, the Northeast Asia Peace and Cooperation Initiative seeks to build complementary relations with existing mechanisms. The OSCE contributes to the peace and security of Europe and the world by maintaining good working relationships with the UN, EU, NATO, the Shanghai Cooperation Organization (SCO) and many others. Likewise, the Initiative aims to create a mutually beneficial synergy effect with the Korea-U.S. Alliance, the Six Party Talks, the ARF and East Asia Summit (EAS). The Initiative will be a companion, not a contender, to the present bilateral and multilateral efforts for regional cooperation.

Last but not least, we have a tool box with a set of mechanisms to apply and achieve these objectives. Bilaterally, we are working to improve ties while being mindful of the complexities underlying them. Our strategic cooperation with countries both within and outside Northeast Asia is closer than ever. The fact that the U.S., China, Russia, ASEAN and particularly the EU, as Ambassador Kozlowski has reminded us just now, have all come out in support of the Initiative speaks volumes. This is going in concert with the gradual steps we are taking to form the habit of multilateral cooperation.

We are also active in small scale, sub-regional multilateral cooperation, especially in the various forms of trilateral dialogue in the region. A few days ago, Korea, China and Japan held the first trilateral SOM after a gestation of ten months. As Ambassador Iwatani is well aware, Korea led the initiative with the hope of resuming the stalled Foreign Ministers’ Meeting and the Leaders’ Meeting. Our hope is that such multi-layered exchanges will ease the geopolitical concerns of the region while fostering multilateral cooperation.




Ladies and gentlemen,

The European movement for reconciliation and deeper integration is not the product of nature. It is rather the result of attentive and carefully nurtured efforts.

Korea is deploying focused, resolute and determined diplomacy to push forward the Northeast Asia Peace and Cooperation Initiative. For us, this is a matter of national strategy, to be persistently continued in future administrations as well.

As the Joint Korea-EU Declaration announced during President Park’s visit last year to Brussels clearly states, Korea and the EU share a strong will to work together for the greater well-being of our peoples and the global community. Europe is a supporter, sponsor and partner of the Northeast Asia Peace and Cooperation Initiative. As we step to take the Initiative forward, we hope to go hand in hand with Europe, to widen the scope of our collaboration.

The Roman philosopher Seneca noted that “hand washes hand (manus manum lavat)”. The Proverbs say that “iron sharpens iron.” Today we have a gathering of the sharpest intellectual minds of Europe and Korea, and individuals with vast practical experiences. I sincerely hope that we will see an outpouring of wisdom and insights to meet the challenges of our times.

Thank you.

----------------------------------------------------------------------------

한-EU 동북아평화협력 구상 세미나 외교장관 기조연설


- 동북아 평화협력구상과 유럽의 경험 -

(인사말씀 및 동평구 논의의 시의성)


윤덕민 국립외교원장님,
안토니오 미시롤리 EUISS 소장님,
토마스 코즐로스키 주한 EU 대사님,
이와타니 시게오 한․중․일 협력 사무국 사무총장님,
그리고 내외 귀빈 여러분,

금년은 제1차 세계대전 발발 100주년, 제2차 세계대전 발발 75주년의 해입니다. 두 차례의 세계 대전의 참혹한 경험은 UN 창립자들로 하여금 “전쟁의 불행에서 다음 세대를 구하고, 더 많은 자유 속에서 사회적 진보와 생활수준의 향상을 촉진”하기 위해 노력하도록 하였습니다.
국제사회가 지난 20세기 성취한 결과물은 놀랍습니다. 2차대전 종식 이후 냉전기와 탈냉전기를 거치며 반세기 동안 세계는 평화와 진보를 누렸습니다. 이 기간 동안, 국제사회의 이념과 가치는 수렴되고, 경제적 통합과 국제적 협력은 증대되었습니다. “역사의 종언”과 함께 “희망의 시대”는 낙관주의와 함께 세계에 넘쳐 흘렀습니다. 그도 그럴 것이, 냉전으로 인한 잦은 갈등과 대립에도 불구하고 인류 역사상 이처럼 긴 시간 동안 인류가 평화와 번영의 세기를 구가한 경우는 매우 드문 일이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불행히도, 오늘날 우리는 격변의 시대에 살고 있습니다. 세계는 다시 갈등과 분열로 신음하고 있습니다. 작금 국제사회가 직면한 도전은 과거 그 어느 때보다도 심각하고 근본적인 도전입니다.
시리아, 이라크, 리비아 등에서 보듯이, 국가들이 통제를 잃고 분열하고 있습니다. 국가간 갈등 또한 확산 일로에 있습니다. 시리아에서 우크라이나 사태, ISIS에 이르기까지 골치 아픈 문제들의 해법을 둘러싼 대립으로 미니냉전의 기운마저 감돌고 있습니다.
동북아 지역도 예외가 아닙니다. 어떤 의미에서 동북아는 다른 어떤 지역보다도 심각한 불확실성과 도전에 직면해 있습니다. 역내 주요국간 갈등은 하늘, 바다, 땅, 사이버 공간을 가리지 않고 있습니다. 역사와 관련된 문제들로 인해 선린 관계에 갈등과 불신의 장벽이 세워지고 있습니다. 군비경쟁 또한 심화되고 있습니다. 적절한 신뢰구축과 위기 관리 메카니즘이 없는 동북아에서 자칫 군사적 충돌로 비화될지도 모른다는 우려가 순전히 이론적이지만은 않은 것이 현실입니다.
정치.군사 분야만이 아닙니다. 바로 이틀전, OECD 경제전문가는 중동과 우크라이나 사태, 그리고 유럽의 분리 독립운동을 triple shock라고 지칭하면서, 이와 같은 지정학적 리스크로 인해, 세계 경제의 전망이 어두워지고 있다고 진단했습니다.
인류에게 닥친 어두운 그림자는 마치 전 인류가 길고 어두운 터널을 이제 막 들어선 것이 아닌가 하는 느낌마저 갖게 합니다. 많은 현자들이 한 목소리로 우려하고 있습니다.
불과 5일 전, 프란체스코 교황은 작금의 국제 정세를 바라보며, “세계는 지금 제3차 대전을 치르고 있는지도 모른다”고 일갈한 바 있습니다. 그것은 “범죄와 학살, 파괴”가 인류에 가져다 줄 재앙에 대한 경고였습니다. 이는 제 1차 세계 대전 희생자 10만명이 안치된 이탈리아 레디 푸글그리아 묘지를 방문한 계기에 하신 말씀이기에, 그 울림이 더욱 크다고 하겠습니다.
약 10일전, 키신저 박사는 새로 출간한 “세계 질서”라는 책을 통해, 작금의 국제 정세를 세계질서의 전환기로 규정했습니다. 자유와 번영을 가져온 국제질서의 핵심 축이 이미 붕괴되고 있음을 지적한 것입니다.
이제 우리는 현재 세계질서가 어디를 향해 나아가고 있는지 면밀히 살펴보아야 합니다. 그래야만 고전적 의미의 세력 균형을 넘어, 동반자 관계의 중요성, 현실을 인정하는 가운데 보편 원칙을 추구하는 새로운 시스템을 만들어낼 수 있습니다. 어려운 과제인 만큼, 광범위한 연대와 창조적이고 집요한 노력 또한 필수적입니다.
내외 귀빈 여러분,
단테가 지옥문에는 “내게 오는 너희는 모든 희망을 버릴지어다”라는 글귀가 새겨져 있다고 말한 것처럼, 두려움과 절망을 극복하는 힘은 바로 희망입니다. 도전 받는 세계질서 앞에 우리의 희망은 역설적으로 더욱 커지고 있습니다.
우리의 희망은 갈등과 분열의 국제사회 속에서 협력과 통합의 새로운 질서를 세워나가는 것입니다. 교황께서 한국을 방문하여 하신 말씀, 즉 “우리 자녀들을 위하여 더 나은 세상, 더 평화로운 세상, 정의롭고 번영하는 세상을 건설하겠다는 것”이 우리의 궁극적인 목표입니다. 그리고, EU의 경험을 통해서, 우리는 이러한 목표가 실현 가능하다는 확신을 갖게 됩니다.
100년 전만 해도, 세계대전의 참화에 휩싸였던 유럽은 이제 하나가 되어 단합된 힘과 영향력을 바탕으로 국제평화와 안보 증진에 선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지난 세기 유럽이 분열과 갈등을 극복하고 통합을 이루어 낸 경험은 갈등과 불신을 화해와 협력으로 대체하기 위해 애쓰고 있는 다른 지역들에 많은 영감을 불어 넣어주고 있습니다.
이제 대한민국은 20세기 유럽이 유라시아 대륙의 서쪽에서 성취한 위대한 통합의 업적을 21세기 유라시아 대륙의 동쪽에서 성취하고자 합니다. 이것이 박근혜 정부의 주요 외교정책인 동북아평화협력 구상입니다. 동북아에 있어서 분열과 갈등의 구도를 신뢰와 협력의 질서로 전환시켜, 새로운 동북아 시대를 열어 나가고, 이를 통해 보다 책임있고 협력적인 새로운 세계질서 구축에 기여코자 하는 것입니다.
한국 정부의 동북아평화협력 구상은 세계 질서 안정에 기여하고자 합니다. 힐러리 클린턴 전 국무장관이 언급한 바와 같이, 동북아에서 각기 다양한 비전과 가치, 그리고 이해 관계를 어떻게 조화시켜, 보다 협력적인 질서를 만들어 내는지가 향후 광범위한 국제적 도전을 극복해나감에 있어 매우 큰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중차대한 시기에 오늘 세미나가 개최되기까지 노력을 아끼지 않으신 국립외교원과 EUISS 양측에 감사의 말씀 드립니다.
한국과 EU는 모든 영역에서 천혜의 파트너이자 전략적 동반자입니다. 주지하다시피, 한국은 EU와 기본협정, 자유무역협정, 위기관리 협정이라는 3대 협정을 체결한 유일한 아시아 국가기도 합니다. 또한, 한국과 EU는 공동의 가치와 보다 나은 미래를 향한 비전을 공유합니다. 오늘 세미나를 통해 국제질서, 동북아 질서에 대해 논의함으로써 한국-EU간 전략적 협력관계가 보다 굳건해 지기를 기대합니다.
내외 귀빈 여러분,
오늘은 이러한 점들을 염두에 두고, 유럽과 동북아가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지에 대해 여러분과 생각을 나누고자 합니다.
한국 정부의 동북아평화협력 구상에 대한 구체적인 생각을 나누기에 앞서, 먼저 유럽의 통합 경험에서 세 가지 시사점을 얻어낼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첫째, 장기적 비전과 오랜 준비의 필요성입니다. 참으로 유럽에서는 일찍부터 전후 질서에 대한 비전과 전략을 제시하려는 다양한 노력이 있었습니다. 오늘날 EU의 효시로 알려진 유럽석탄철강공동체(ECSC)는 슈망 프랑스 외상의 비전으로 가능했지만, 사실 그보다 앞서 1946에 이미 영국 처칠 수상은 United States of Europe 구상을 제시했었습니다. 그 어느 누구도 통합된 유럽을 상상조차 하지 않는 상황에서 리더십들은 확고한 신념을 바탕으로 통합 유럽에 대한 비전을 지속적으로 제시해 왔던 것입니다.
물론 비전 제시만으로는 부족했을 것입니다. 1975년 헬싱키 의정서 채택 및 CSCE 출범을 본격적 시발점으로 유럽 국가들은 인내심을 가지고 상호 안보우려와 이견을 해소하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하였습니다. 오늘날 유럽국가간에 자리한 단단한 신뢰 및 연대는 하루아침에 생긴 것이 아닌 것입니다.
둘째, 창의적인, 단계적 신뢰구축의 필요성입니다. 현상 유지도 쉬운 과제는 아니지만 현상을 변경하는 것은 훨씬 큰 과감함과 노력을 필요로 합니다. 유럽도 처음에는 1975년 출범한 CSCE를 통해 전후질서 유지를 도모하였으나, 곧 유럽 통합이라는 큰 꿈을 꾸었습니다. 또, 이 꿈이 현실로 다가오자 1990년에 형성된 OSCE를 통해 21세기 유럽-대서양 유라시아 안보공동체라는 더 큰 꿈을 이루기 위한 준비를 시작했습니다.
셋째, 방금 미씨롤리 EU 안보연구소장님이 언급한 바와 같이, 역내 국가간 역사적 상처 치유의 필요성입니다. 독일의 브란트 총리는 1970년 바르샤바의 2차 대전 희생자 추모비 앞에서 무릎을 꿇었습니다. 그 위대한 침묵은 그 어떠한 화려한 수사보다도 효과적으로 과거를 치유하고 새로운 미래의 길을 여는데 기여하였습니다. 그리고 이는 과거 피해국들과의 새로운 관계를 나타내는 상징이 되었습니다. 독일은 진정한 참회와 이를 뒷받침하는 실질적인 조치를 통해 진실된 모습을 보였습니다. 이런 행동과 조치가 없었더라면 유럽 통합은 물론 독일 통일도 불가능했을 것입니다.
이러한 모든 것들이 가능했던 것은 주변국의 의구심과 우려를 해소하려는 독일의 진정성 있는 노력이 있었기 때문입니다. 동북아는 이러한 유럽의 경험에서 배워야 합니다. 우리로서는 과거의 잘못을 정당화하거나 심지어 미화하고자 하는 시도를 우려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동북아 평화협력 질서 구축을 위해서도 올바른 역사 인식과 역내 갈등의 근원을 분명하게 해결코자 노력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동북아 평화협력구상 실현을 위한 유럽과의 협력)

내외 귀빈 여러분,
동북아 평화협력구상은 그 출발부터 유럽의 소중한 경험을 반영하고 있습니다.
첫째, 동북아 평화협력구상은 유럽의 협력 방식을 참고하고 있습니다. 유럽에서는 경제협력과 같은 연성 의제에서의 협력이 결국 신뢰안보구축조치(Confidence and Security Building Measures: CSBMs)와 같은 경성 의제에서의 협력을 가능케 했습니다.
동북아 평화협력구상도 이와 유사한 접근을 취하고 있습니다. 우선 협력과 대화의 경험을 축적해 나가는 과정에 초점을 두고, 협력이 보다 용이한 비전통 연성 안보 의제에서 출발하여 전통 안보 의제로 협력 분야를 점진적으로 확장해 나가고자 합니다. 원자력 안전, 환경, 재난구호, 에너지 안보 문제 등 분야에서 협력을 해 나감으로써 국가간 신뢰가 구축되어 전통 안보 의제 협력을 위한 여건이 조성되면, 이를 토대로 새로운 다자 안보의 틀을 만들어 나갈 수 있을 것입니다.
둘째, 동북아 평화협력구상은 개방적 구상입니다. OSCE가 문호를 개방하여 오늘날 57개 국가, 그리고 다양한 국제기구 및 지역기구들과 협력하고 있는 것과 같이, 동북아 평화협력구상 또한 모든 이해당사자에 대해 문을 활짝 열어두고 있습니다. 우선 동북아 역내 국가를 중심으로 하되, 유럽은 물론 동남아 등 역외국이나 EU, OSCE와 같은 지역협력기구의 옵저버도 참여 가능합니다. 물론 핵심 이해당사자 중 하나인 북한에 대한 문은 언제든 열려있습니다.
또한, 동북아 평화협력구상은 협력적 방식을 취하고 있습니다. 참여국들이 공동 설계자로서 각자 관심 있는 의제별로 논의를 주도해 나가도록 함으로써 관련국 모두가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하고 있음은 앞서 말씀드린 바 있습니다.
셋째, 동북아 평화협력구상은 기존 여러 협력체제와 상호 보완 관계를 지향합니다. OSCE는 UN, EU, NATO, 상하이협력기구(SCO) 등과 협력적 관계를 유지하며 유럽과 국제사회의 평화와 안정에 크게 기여하고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동북아 평화협력 구상 또한 한․미 동맹, 6자 회담을 포함하여, ARF, EAS 등 기존의 다양한 협력체들과 상호 시너지 효과를 추구합니다. 동북아 평화협력구상은 역내 협력을 위한 기존의 양자․다자적 노력을 보완할 것이며 결코 상충되지 않을 것입니다.
마지막으로, 한국은 다양한 수단(tool box)을 활용하고 있습니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은 양자 관계의 복잡성에 충분한 주의를 기울이면서, 동북아 역내 및 역외 국가들과의 전략적 협력 관계를 역대 최상의 수준으로 발전시키고 있습니다. 미국, 중국, 러시아, 아세안, 그리고 방금 코즐로스키 대사님이 상기시킨 바와 같이 특히 EU 등이 한결 같이 동북아평화협력 구상을 지지하고 나선 점이 이를 방증하고 있습니다.
이와 동시에, 한국은 다자협력 촉진을 위한 단계적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특히 삼각협력을 중심으로, 역내 다양한 소다자 협력을 적극 선도하고 있습니다. 최근 산고와 같은 어려움을 극복하고 10개월만에 한중일 고위대표 회의를 한국에서 개최한 것이 그러한 사례입니다. 이와타니 사무총장님이 잘 알고 계신 바와 같이, 한국은 정체되어 있는 외교장관회의 및 정상회의 재개를 위해 이번 회의 개최를 주도했습니다. 이러한 다층적인 협력 구도를 통해, 지정학적 우려가 완화되고 다자협력이 촉진될 것으로 기대합니다.

(맺음 말씀)

내외 귀빈 여러분,
저는 유럽의 통합과 화해를 향한 추진력은 타고난 것이라기보다는 끊임없는 노력과 진화의 산물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런 점에서, 한국은 동북아 평화협력 구상의 진전을 위해 집요한 외교를 펼치고 있습니다. 정권을 떠나 하나의 대국가 전략으로 정권과 상관없이 이를 지속 추진할 것입니다.
작년 박근혜 대통령께서 브뤼셀에 방문하셨을 때 발표된 한-EU 공동선언에 나와 있듯이 한국과 EU는 국민과 지구촌 행복을 위해 함께 협력하고자 하는 강력한 의지를 공유하고 있습니다. 유럽은 동북아 평화협력구상의 지지자(supporter)요, 후원자(sponsor)요, 파트너(partner)입니다. 한국은 동북아 평화협력구상의 제반 단계에서 유럽과의 협력의 폭을 더욱 확대해 나가고자 합니다.
고대 로마의 철인 세네카는 “손이 손을 씻는다”라고 했고, 고대의 잠언은 “철이 철을 날카롭게 한다”고 했습니다. 오늘 날카로운 지성과 풍부한 경험을 가진 한국과 EU 전문가분들의 토론을 통해, 시대적 도전을 극복할 소중한 지혜가 모아지기를 기대합니다.
감사합니다.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