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연설문

채텀하우스 외교장관 기조 연설(12.3)

작성일
2014-12-04 06:53:00
조회수
6479

채텀하우스 외교장관 기조 연설(12.3)

Keynote Speech
“Security on the Korean Peninsula”
by H.E. Yun Byung-se
Minister of Foreign Affairs

December 3, 2014

Director Niblett,
Dr. Swenson-Wright,
Excellencies,
Ladies and gentlemen,

In just a few days, we will say farewell to 2014 and greet the new year. From my standpoint, this year may be recorded as one of the most eventful years in the post-Cold War era, fraught with difficulties – Syria; Iraq and ISIL, Israel and Palestine; Iran; Afghanistan; Ukraine; and the Ebola outbreak, just to name a few. Northeast Asia was going through turbulent times as well in an unprecedented way.

A plethora of problems erupted simultaneously, even while we were talking about the interconnected world all along, including at the recent ASEM, APEC and G-20 summits. It is just like Pandora’s box has opened across the region and the globe.

It is in this context that I wish to share my perspectives about the transformation taking place in my part of the world. In this regard, I am very pleased to speak at Chatham House today, to trace out the challenges facing Korean diplomacy, and give you an overview of how we are trying to respond to them.

After all, Chatham House is where the great historian Arnold J. Toynbee held a senior position for decades. He remains a good source of inspiration for Korean diplomats like me. His insight, that history shows a pattern of challenges and responses, remains relevant to Korean diplomacy, which faces a complex range of challenges these days.

I thank Chatham House for offering me another platform, this time in London, following the conference in Seoul two months ago. I also appreciate the Korea Foundation’s support in organizing today’s event.

Ladies and gentlemen,

Since the end of the Cold War, Asia has been known as the vehicle of global economic growth. Thus, at this year’s APEC, East Asia Summit, ASEAN+3 and ARF meetings, it is no wonder that many leaders highlighted the various achievements we have made over the years – and pledged to speed up the process of regional integration and connectivity, including through the Trans-Pacific Partnership, the Regional Comprehensive Economic Partnership, and the Free Trade Area of the Asia Pacific.

However, during and at the margin of these meetings, one less noticed phenomenon was the tense exchanges over sensitive issues like North Korea, the South China Sea, maritime security, and historical revisionism.

Why is it so? At its heart lies the problem called the “Asia Paradox.” In other words, Asia is a region of growing economic interdependence but stunted political and security cooperation. There is a mismatch between high and low politics. This paradox is most conspicuous in Northeast Asia which is now going through a significant transformation both in inter-state relations and in the regional order. Let me tell you in detail.

During the past two decades, the region’s main worry has been North Korea’s nuclear programs and its constant provocations. But now, the region is seething with multifarious tensions. Hitherto underlying issues of history, territory and nationalism have surfaced to the fore. We also have new challenges, such as space and cyber security as well as maritime security and boundaries. Now, it is not only South and North Korea, but Japan and China, Korea and Japan, even China and North Korea that are having troubles.

Indeed, the region’s geopolitical dynamics are now featuring many new forms. The ties between North Korea and China are not what they used to be, getting worse than ever in the wake of North Korea’s nuclear tests and unbridled behavior. A growing number of Chinese consider North Korea no longer as a strategic asset, but rather as a liability.

As for Japan and China, since 2012, their ties seem to be cracking, and despite the latest summit at the margins of APEC in Beijing, it seems the light at the end of the tunnel is not visible.

In the case of North Korea, it is desperately trying to break out of diplomatic isolation and economic plight by reaching out for new partners, Russia and also Japan – an odd couple in the making, if there ever was one. North Korea’s gestures toward the South are as erratic as ever, with repeated ups and downs, heightening tensions and instability on the Korean Peninsula and beyond.

South Korea and China are forging closer ties, which both sides call the best-ever relationship since the normalization of relations in 1992. The recently concluded Korea-China FTA negotiations will be another landmark for deepening our economic and strategic partnership.

In fact, all these developments I have elaborated so far are manifestations and symptoms of the old and new problems. But delve deeper, and at its heart lies the problem of a new configuration of forces in Northeast Asia. It is caused by the competing dreams and visions of regional actors, big and small, and their willingness to stand up for them: rising China; Japan pursuing a new post-war order; Russia looking towards East Asia; the U.S. rebalancing to Asia; and North Korea trying to survive turbulent waters. Last but not least, South Korea is positioned to manage new challenges by using its status and influence. All of them form the region’s landscape.

Ladies and gentlemen,

From the Korean perspective, the most urgent and direct challenge among these is North Korea’s nuclear weapons programs. Our first attempt to reach a negotiated solution twenty years ago turned out to be a failure due to North Korea’s clandestine pursuit of the Uranium Enrichment Program(UEP). Our second attempt to solve this conundrum through the Six Party Talks produced some initial progress in 2005 but has got nowhere since 2009, mainly because North Korea continued nuclear and missile tests.

Most recently, North Korea threatened a fourth test in the wake of the UN General Assembly Third Committee’s recent adoption of the human rights resolution on DPRK, and has specifically singled out our Presidential compound as a potential target.

Why should we be so vigilant and resolute about North Korea’s nuclear programs? Because more than anything else, it constitutes a clear and present danger to all of us. The Kim Jong-un regime already revised its constitution and declared itself a “nuclear weapon state.” It has officially adopted the policy of developing simultaneously both nuclear weapons and its economy. Even at this very moment, North Korea is advancing its nuclear weapons capability with determination through miniaturization and diversification and upgrading its delivery systems. Its nuclear capability is much more dangerous than that of Iran. The possibility of its weapons falling into the wrong foreign hands will be a nightmare for the world.

Then, what should our goal be and how can we achieve that? Some tend to focus on non-proliferation, while others argue for denuclearization. No doubt, it should be both. For my government, the complete, verifiable and irreversible dismantlement (CVID) is an unchangeable key objective, as several UN Security Council resolutions have made clear.

First and foremost, the close collaboration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is essential, like towards Iran. Our efforts should be continued to change the DPRK’s calculus in such a way that nuclear weapons will get them nowhere, and only result in unbearable pain. In this regard, the UN Security Council sanctions, together with bilateral ones, including by China, have made North Korea’s economic life miserable, especially in terms of hard currency. North Korea is now desperate to make money by all means, including through the problematic labor export to some countries in Asia and the Middle East.

Also, we will not give up pressing and persuading North Korea to dismantle its nuclear weapons through the Six Party Talks or other useful ways. We are now discussing the right conditions for resuming the Six Party Talks and are pursuing various mini-lateral talks to revitalize our efforts.

The good news is that the international community is united against North Korea’s nuclear weapons. This includes China and Russia. The Chinese position is firmer than ever. Even Russia has made it clear to Pyeongyang that the nuclear issue will stand in the way of improving bilateral ties.

If the ongoing Iran nuclear talks, sometimes likened to a Rubik’s cube puzzle, come to a successful conclusion by mid-2015, we hope that it could give a good lesson to the North.

The second challenge is the fundamental question of how to deal with North Korea under the new leadership and induce an enduring peace on the peninsula. After all, the foregoing nuclear question is an integral part of the North Korea question.

Next year, Korea will mark the 70th year of its division, and already has the longest armistice in modern history. This division is not like that of Germany’s in the past. Korea is bisected by the world’s most heavily-armed border. Occasional clashes along the Military Demarcation Line and the Northern Limit Line can immediately escalate due to miscalculation.

Over the last two decades, all the Korean governments in the South tried to change this sad reality in many different ways. Some liked it hot, as you saw in the sunshiners’ heavy dose of dialogue. Others liked it cool, as pursued by some hardliner conservatives. Neither approach worked effectively. Of course, given the nature of the North Korean conundrum, we all know there is no panacea for this.

Under these circumstances, the new government in South Korea under President Park Geun-Hye launched the policy of “Trustpolitik,” including the “trust-building process on the Korean peninsula,” efforts to seek a new paradigm in inter-Korean relations instead of scoring quick political points.

This was intended to strike a fine balance between security and non-security issues, like humanitarian concerns, and between inter-Korean dialogue and collaboration with the international community. We believe that this is the only way to break the vicious cycle of the past, as well as to eventually lay the groundwork for productive inter-Korean relations.

What is the balance sheet now, twenty-one months after the inauguration? On the security front, our deterrence has worked rather well. Incidents like the sinking of the naval vessel Cheonan and the shelling of Yeongpyeong Island of 2010 did not happen, and the well publicized fourth nuclear test has not taken place yet. On the economic and humanitarian front, the once shut down Gaeseong Industrical Complex (GIC) has now been normalized. My government has resumed humanitarian assistance to North Korea through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the World Food Program (WFP) and UNICEF to avoid the politicization of this issue.

But we know that we still have a long way to go. What is still missing is an institutionalized dialogue between the two sides and North Korea’s willingness to face sensitive issues, like human rights. This year, we were able to hold some high-level contacts and meetings on humanitarian, political, military and sports issues, but without any meaningful outcomes. What differentiates the DPRK today from the past is that its charm offensives come together with provocations, not cyclically as they used to do.

And most noteworthy from the DPRK’s behavior this year was its unprecedentedly sensitive response to its human rights issue. As is well known, the UN General Assembly’s Third Committee passed last month a resolution recommending to consider referral of the situation in North Korea to the International Criminal Court as well as targeted sanctions against those most responsible for acts of crime against humanity.

Furthermore, this resolution was passed with a record number of co-sponsors and with the overwhelming support from 111 member states. It will be formally adopted at the plenary session of UNGA this month and is likely to be followed up by the Security Council in one way another. For your advance information, the OHCHR field office for DPRK human rights will be opened in Seoul early next year.

The fact that North Korea spent almost the whole year trying to block this resolution, with all-out efforts to many UN members, and held a mass rally in downtown Pyeongyang of 100,000 people decrying the resolution, are kind of harbingers to us of what could come on the horizon in the near future.

Historically, North Korea made big strategic, though short-lived, decisions twice in the late 20th century, first in the early 1970s in the wake of the unexpected détente, and second in early 1990s, in the wake of the collapse of the Berlin Wall and disintegration of the Soviet empire. Now twenty years later, in the middle of tectonic changes, this is the right time for North Korea to make a right, durable decision.

Ladies and gentlemen,

As discussed so far, the nuclear weapons programs and all the internal contradictions, including human rights, are part of the hard reality we are facing now on the peninsula. Such reality has prevented Koreans from envisioning Korean reunification, our third challenge, as any realistic scenario.

However, that mindset has begun to change this year significantly. 2014 will be remembered as a landmark year in Korea’s quest for reunification, not just because my government put forth another unification idea, but also because we awakened our compatriots as well as our neighbors and friends around the world.

In this connection, the key message of my President is that reunification is thinkable and doable in a realistic manner. More than that, it benefits all Koreans, all neighbors and all the globe. President Park spoke in Dresden last March to put forward her vision of a unified Korea that will be nuclear weapons-free; a beacon for human rights and democracy; at peace with its neighbors; an engine of economic growth; and a promoter of regional and global peace and prosperity.

Towards North Korea, she laid out three key action agendas: an agenda for humanity; an agenda for co-prosperity; and an agenda for integration. These are partly drawn from the German experience that winning the hearts and minds of the people was a real key to achieving reunification.

In particular, we are paying attention to the calamitous humanitarian situation of the North Korean people. Examples of this sad reality were recently reported by The Economist: the average North Korean man is eight centimeters shorter than his southern cousins; his life span 12 years shorter. Such alarming differences, between Koreans across the border, are a problem that can cast a long shadow, even after reunification.

Internationally, Korean reunification is no longer off-limits to discussion, and views supporting reunification are on the rise. President Obama has backed the vision of a peaceful reunification, on the basis of democracy and the market economy. Even President Xi Jinping has frequently expressed support for the peaceful re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as has President Putin.

Korea is also building a strong network of friends helping reunification. This includes a Joint Advisory Panel on unification with Germany, a forum with four Central European countries called the Visegrad Four on their transition experience – as well as strengthened cooperation with the UK, the EU, ASEAN, UN and MIKTA, a cross-border middle-power grouping of Mexico, Indonesia, Korea, Turkey and Australia. Last but not least, my government took the initiative of creating a group of forty two ambassadors, both in Seoul and in Pyeongyang, accredited to the DPRK, who are supporting Korean unification.

Ladies and gentlemen,

Korea’s challenges are not confined to the peninsula. This is all the more so as Korean issues cannot be delinked from the wider regional context. So, managing our neighborly relations, as well as issues between them, are part and parcel of our equation.

Here, one fundamental problem is what I call the “trust deficit”. This deep-rooted mistrust can easily escalate into real conflicts, as you saw in a series of near collisions between military aircraft this year.

So, my government intends to foster a regional environment where a structure of mistrust and confrontation is replaced by that of trust and cooperation, forming virtuous cycles throughout the region. The key to these efforts is to improve bilateral relations among all regional actors, including North Korea.

In this regard, I would like to share with you the achievements my government has made so far. The Korea-U.S. alliance, as well as Korea–China strategic partnership, are each at their best ever. In particular, our three countries have more converging interests on such strategic issues like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

In addition, Korea is now promoting various formats of mini-lateral collaboration. This includes not only trilateral cooperation among Korea-U.S.-Japan, but also among Korea-Japan-China, Korea-U.S.-China as well as South and North Korea and Russia. In the longer term, we could also look into cooperation among South and North Korea and China.

In particular, Korea recently proposed the trilateral Korea-Japan-China Foreign Ministers’ meeting. We hope that its outcomes would lead to a trilateral Summit meeting too. Restoring dialogue among these countries would ease the bilateral tensions and facilitate multilateral cooperation in Northeast Asia.

All these efforts are closely related to Korea’s initiative for a new regional multilateral dialogue mechanism, called the Northeast Asia Peace and Cooperation Initiative, or NAPCI. I do not wish to preempt your discussions, which will immediately follow my speech.

Simply, I will remind you that despite all the troublesome Genies, Northeast Asia is the only region lacking multilateral cooperation mechanisms. This is a part of the world where a culture and habit of dialogue and collaboration have yet to take shape. Certainly, our idea was substantially inspired by the European experience. Even now, we are working in league with the EU, the OSCE and NATO. Thanks to such support, we successfully hosted the first-ever track 1 NAPCI meeting in Seoul last October. And last week, a regional conference on nuclear safety among nuclear regulators in Northeast Asia was also held in Seoul.

The security challenges faced by Korean diplomacy no longer emanate only from the Korean Peninsula and Northeast Asia. Now, many global issues affect us as well. The recent Ebola outbreak and the threat of ISIL and foreign terrorist fighters are good cases in point. In this inter-connected world, no one is free from developments on the other side of the world.

As a member of the G-20 and of three key UN mechanisms, such as the UN Security Council, the Human Rights Council and the Economic and Social Council, Korea is playing an active role in an array of issues: non-proliferation, human rights and humanitarian assistance, counter-terrorism, climate change, development cooperation, trade liberalization and epidemic control.

Ladies and gentlemen,

Until now, you have heard from me what daunting challenges Korea faces and will be facing on its journey to become a peaceful, prosperous, and unified country, serving the cause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We are aware that the road to reunification may well be rough and bumpy. But our history shows we have prevailed over these challenges, and have cultivated a wisdom of turning crises into opportunities.

As we charge ahead in this great journey, I know that the UK is a natural and perfect partner. Our ongoing collaborations are living testament to this: in Sierra Leon to fight the Ebola epidemic; crisis cooperation in such areas like Libya; the Preventing Sexual Violence Initiative (PSVI); and cyber-security. All these joint efforts have been made possible by blood-forged collaboration during the Korean War, which will be symbolized by the new Korean War Memorial to be unveiled later this afternoon.

So let us stand together, the United Kingdom and the Republic of Korea, in our joint endeavors to respond to historic challenges of our times and to contribute to humanity’s progress. Thank you. /끝/

-----------------------------------------------------

(비공식 국문 번역본)

채텀하우스 외교장관 기조 연설


니블랫 소장님,
스웬슨-라이트 박사님,
내외 귀빈, 그리고 신사 숙녀 여러분,

이제 며칠 후면 우리는 2014년을 보내고 새해를 맞이하게 됩니다.

올해는 시리아, 이라크 및 ISIL,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이란, 아프가니스탄, 우크라이나 사태 및 에볼라 발병 등으로 인해, 탈냉전 시대에 접어든 이후 가장 다사다난했던 해 중의 하나로 기억될 것 같습니다. 동북아 지역도 전례 없이 혼란스러운 시간을 보냈습니다. ASEM, APEC 및 G-20 등이 연이어 개최되면서 ‘상호 연결된 세계’에 관한 논의가 이어지는 가운데에서도, 많은 문제들이 마치 판도라의 상자가 열린 것처럼 동시에 발생하였습니다.

이러한 배경 하에서, 오늘 채텀하우스에서 제가 속한 지역에서 일어나는 큰 변화에 대한 생각을 여러분과 공유하고, 아울러 오늘날 한국 외교가 직면하고 있는 도전과 이를 극복하기 위한 노력에 대해 말씀드릴 수 있는 기회를 가지게 된 것을 매우 기쁘게 생각합니다.


채텀 하우스는 저명한 역사가 「아놀드 토인비」가 고위직에 있으면서 수십년간 일했던 곳입니다. 그는 저와 같은 한국의 외교관들에게는 여전히 영감의 원천이 되고 있으며, 특히 ‘역사는 도전과 응전’으로 이루어진다는 그의 통찰은 복합적인 도전에 직면해 있는 한국 외교에 있어서 지금도 시사하는 바가 매우 크다고 하겠습니다.

채텀하우스가 두 달 전 서울에서 열린 컨퍼런스에 이어 금번 런던에서 이러한 연설 기회를 제공해주신 데 대해 사의를 표하며, 오늘 행사를 준비한 한국국제교류재단의 노고에 대해서도 감사드립니다.

내외 귀빈 여러분,

냉전 종식 이후 아시아는 세계 경제성장의 견인차 역할을 해왔습니다. 올해 APEC, EAS, ASEAN+3 및 ARF 회의 계기에도 많은 지도자들은 그간의 성과를 강조하고,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TPP),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CEP), 아태자유무역지대(FTAAP)와 같은 기제들을 통해 지역 통합 및 연계성을 촉진시켜 나가자는데 의견을 모았습니다.

그러나, 회의 도중 그리고 회의장 주변 양자회담장에서는 북한, 남중국해, 해양 안보, 역사 수정주의, 우크라이나 사태와 같은 민감한 이슈를 둘러싸고 긴장된 대화들이 오가기도 하였습니다.

왜 그럴까요? 이 문제의 근원에는 “아시아 패러독스”라고 부르는 문제가 자리 잡고 있습니다. 아시아에서는 경제적 상호의존성의 증대에도 불구하고 정치·안보 분야에서의 협력은 이에 미치지 못하고, 상위 정치와 하위 정치 간에 불일치가 생겨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역설은 특히 동북아 지역에서 두드러지는데, 지금 이 지역은 역내 국가들 간의 관계 및 지역질서 차원에서 중대한 변화를 겪고 있습니다. 이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설명 드리겠습니다.

지난 20년간, 이 지역의 주요 이슈는 북한의 핵개발과 지속적인 도발이었습니다만, 이제는 다양한 요인들로 인해 긴장이 고조되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잠재해 있던 역사·영토 이슈 및 민족주의 문제가 전면에 부상하고 있고, 우주·사이버 안보, 해양 안보 및 경계 획정 분쟁 등과 같은 새로운 도전에도 직면해 있습니다. 단지 남·북한 뿐만 아니라 일·중, 한·일, 심지어 중·북간에도 문제가 생겨나고 있는 것입니다.

이 지역의 지정학적 역동성은 다양하고 새로운 형태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중북 관계는 북한의 핵실험 및 통제되지 않는 행동으로 인해 과거 그 어느 때보다 악화되었으며, 북한이 중국에게 더 이상 전략적 자산이 아닌 부담이라고 생각하는 중국 인사들이 점차 늘어나고 있습니다. 중국과 일본 관계는 2012년 후 균열을 보이면서, 베이징 APEC 계기에 정상 회동이 개최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터널 끝의 빛이 보이지 않고 있습니다. 북한은 새로운 파트너로서 러시아, 그리고, 이상한 조합으로 보이겠지만, 일본과의 접근을 모색함으로써 외교적 고립과 경제난을 탈피하기 위한 절박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북한의 한국에 대한 태도는 매우 변덕스러운 가운데 남북 관계의 부침은 반복되고 있고, 긴장과 불안정도 지속되고 있습니다. 한중 관계는 1992년 수교 이후 최상의 상태로 평가받고 있으며, 최근 실질적으로 타결된 한중 FTA는 양국의 경제 및 전략적 동반자 관계에 새로운 이정표가 될 것입니다.

지금까지 말씀드린 동향들은 새롭거나 오래된 문제들이 겉으로 드러난 현상 또는 증상입니다만, 좀 더 깊게 들여다 보면, 그 중심에는 역내 새로운 안보 지형의 형성이라는 문제가 자리 잡고 있습니다. 이에는 부상하는 중국, 전후 체제 탈피를 추구하는 일본, 동진 정책을 추구하는 러시아, 아시아 재균형 정책을 도모하는 미국, 격랑에서 살아남으려는 북한 등, 크고 작은 역내 행위자들이 포함되며, 이들은 서로 상충하는 꿈과 비전을 추구하고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한국 또한 자국의 지위와 영향력을 활용하여 새로운 도전들을 다루어 나가야 하는 처지에 있습니다. 이러한 모든 요소들이 동북아 지역의 새로운 지형을 형성하고 있습니다.

내외 귀빈 여러분,

한국의 관점에서 볼 때, 가장 급박하고 직접적인 도전은 바로 북한의 핵무기 프로그램입니다. 20년 전 협상을 통해 문제를 해결코자 했던 첫 번째 시도는 북한의 비밀 농축우라늄 프로그램으로 인해 실패에 그쳤고, 6자회담을 통해 이 난제를 해결코자 했던 두 번째 시도는 2005년 초기 단계에서의 일부 성과에도 불구하고 결국에는 북한의 지속적인 핵·미사일 실험으로 인해, 2009년 이후에는 특별한 진전이 없는 상황입니다. 최근에는 UN 총회 제3위원회에서 북한 인권 결의안이 채택되자, 북한은 네 번째 핵실험을 위협하고 핵무기의 잠재적 목표물로서 우리 대통령의 집무실을 거론하기도 하였습니다.

우리가 북한의 핵무기 프로그램에 대해 지속적으로 경계하며 단호한 자세를 취해야 하는 이유는 무엇보다도 우리 모두에게 분명하고 현존하는 위협이기 때문입니다. 김정은 체제 등장 이후 북한은 헌법을 개정하여 스스로 “핵무기 보유국”임을 천명하였습니다. 또한, 핵무기 개발과 경제 발전을 동시에 추구하는 정책을 공식적으로 채택하였으며, 심지어 지금 이 순간에도 북한은 핵무기의 소형화와 다양화, 그리고 그 운반수단의 고도화를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습니다. 북한의 핵 능력은 이란 보다 훨씬 더 위험합니다. 북한의 핵무기가 잘못된 자들의 손아귀에 떨어질 경우, 이는 동북아 지역은 물론 전 세계에 큰 재앙이 될 것입니다.

그러면 우리의 목표는 무엇이 되어야 하며 어떻게 이를 달성할 수 있을까요? 어떤 이는 비확산에 초점을 맞추고, 다른 이들은 비핵화를 강조합니다만, 의심할 여지없이, 두 가지 모두 우리의 목표이어야 합니다. 우리는 북한의 완전하고 검증가능하며 불가역적인 비핵화를 변함없는 핵심 목표로 삼고 있으며, UN 안보리 결의도 이를 분명히 밝히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이란 핵의 경우에서와 같이, 국제사회와의 긴밀한 공조가 중요합니다. 핵무기가 그들에게 아무런 이익이 되지 않으며 오로지 견딜 수 없는 고통만을 안겨준다는 점을 북한이 깨닫고 스스로 자신들의 셈법을 바꾸도록 해야 합니다. 이와 관련하여, 중국 등 양자 차원의 제재를 포함한 UN 안보리 제재가 북한 경제, 특히 경화 획득에 큰 타격을 주고 있으며, 이로 인해 북한은 아시아·중동 지역으로의 해외 인력 송출 등을 포함하여 다양한 수단을 모두 동원해 돈을 버는데 혈안이 되어 있습니다. 아울러, 우리는 6자회담 또는 다른 유용한 방식을 통한 북핵 폐기가 이루어지도록, 대북 압박 및 설득 작업을 지속해 나갈 것입니다. 이와 관련하여, 현재 6자회담 재개 조건들에 대한 협의가 진행 중이며, 이러한 노력들에 동력을 주입하기 위해 다양한 형태의 소다자 협력도 추진되고 있습니다.

좋은 소식은 중국과 러시아를 포함하여 국제 사회가 북한의 핵무기에 한 목소리로 반대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중국의 입장은 그 어느 때보다 단호하며, 러시아조차 핵 문제는 러북 양자 관계에 장애물이 될 것임을 명확히 했습니다. 만약, 루빅의 큐브 퍼즐로 묘사되기도 합니다만, 현재 진행 중인 이란 핵 협상이 2015년 중반까지 성공적으로 타결된다면, 이는 북한에게도 좋은 교훈이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두 번째 도전은 새로운 지도자가 등장한 북한을 어떻게 다루어 한반도에 지속 가능한 평화를 만들어 낼 것인가라는 보다 근본적인 질문에 관한 것입니다. 앞서 말씀드린 북핵 문제도 결국에는 이러한 북한 문제의 일부분입니다.

내년이면 한국은 분단 70주년을 맞이하지만, 이미 현대사에서 가장 오래된 정전 체제를 유지하고 있는 나라이기도 합니다. 한국의 분단 상황은 과거 독일과도 다릅니다. 한국은 지구상에서 가장 중무장된 경계선으로 양분되어 있으며, 군사분계선과 서해 북방한계선을 따라 종종 벌어지곤 하는 충돌은 오판으로 인해 즉각 더 큰 충돌로 비화될 소지를 안고 있습니다.

지난 20년간 한국의 모든 정부는 이러한 안타까운 현실을 바꾸기 위해 다양한 정책을 시도했습니다. 어떤 이들은 햇볕론자들의 적극적 대화 시도에서 보듯이 뜨거운 방식을 선호했고, 어떤 이들은 강경 노선의 보수주의자들이 추진한 것처럼 차가운 방식을 선호했습니다만, 어떠한 방식도 효과적이지 않았습니다. 물론 북한 문제의 복잡성을 고려할 때, 만병통치약이 없다는 것은 자명합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박근혜 정부는 한반도 신뢰 프로세스 정책을 가동하였습니다. 이는 국내 정치적 이득 때문에 타산적으로 접근하지 않고, 안보이슈와 인도주의와 같은 안보 이외의 이슈간에, 그리고 남북대화와 국제사회와의 협조 간에 적절한 균형을 모색해 나감으로써, 남북 관계에 있어 새로운 패러다임을 모색하는 노력이며, 우리는 이를 통해서만이 과거 악순환을 끊고 궁극적으로 건설적인 남북 관계를 위한 초석을 놓을 수 있다고 믿고 있습니다.

취임 후 21개월이 지난 지금의 대차대조표는 무엇일까요? 안보 측면에서 우리의 억지 노력은 비교적 성공적이었습니다. 2010년에 벌어진 천안함 폭침이나 연평도 포격 사건과 같은 일들이 일어나지 않았고, 북한이 지속적으로 언급해온 제4차 핵실험도 현재까지 감행되지 않았습니다. 경제와 인도주의 측면에서, 한때 폐쇄되었던 개성공단은 현재 정상 가동 중에 있고, 인도적 지원을 재개해 나감에 있어서도 인도적 사안의 정치화를 피하고자 세계보건기구 및 세계식량프로그램, 유엔아동기금을 통해 이를 추진해 나가고 있습니다.

그러나 우리는 여전히 갈 길이 멀다는 점을 알고 있습니다. 북한과 남북 대화를 제도화시켜야 하며, 인권 문제와 같이 민감한 이슈들도 정면으로 다루어 나가야 합니다. 올해 우리는 수차례 고위급 접촉과 인도적, 정치·군사적, 스포츠 분야에서의 회담을 개최하였으나, 의미있는 성과를 거두지 못했습니다. 오늘날의 북한이 과거와 구별되는 점은 도발과 유화공세를 교대로 했으나, 최근에는 이를 동시에 진행한다는 점입니다.

올해 북한의 행동에서 가장 주목할 만한 점은 인권 문제에 대해 북한이 전례없이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다는 점입니다. 잘 알려진 대로, 지난달 유엔 총회 제3위원회에서는 북한 인권 상황을 국제형사재판소로 회부할 것과 인도에 반하는 범죄에 관여한 책임있는 자들에 대한 표적제재를 권고하는 결의안이 통과되었습니다.

더 나아가 이번 결의안의 공동제안국 수는 사상 최대였으며, 또한 111개 UN 회원국으로부터 압도적인 지지를 받았습니다. 이 결의안은 이달 중 유엔총회 본회의에서 공식적으로 채택될 것이며, 향후 안보리에서도 어떤 방식으로든 계속 다루어질 가능성이 있습니다. 미리 말씀드리자면, 유엔인권최고대표사무소의 북한 인권 문제 관련 현장사무소가 내년 초 서울에 개설될 예정입니다.

북한이 많은 유엔 회원국들을 대상으로 올 한 해 내내 결의안 저지를 위한 전면적인 외교노력을 전개했다는 사실, 그리고 인권 결의안을 비난하기 위해 평양에서 100,000여명에 달하는 규모의 궐기 대회를 개최했다는 사실은 앞으로 어떤 일이 일어날 수 있을 지를 가늠케 해 줍니다.

역사적으로 북한은 20세기 후반 비록 짧게 끝나버리긴 했습니다만 두 번에 걸쳐 전략적인 결정을 내렸는데, 첫 번째는 1970년 초 급작스런 데탕트 시기에 이루어졌고, 두 번째는 베를린 장벽의 붕괴 및 구소련 연방 해체 이후인 1990년 초에 이루어졌습니다. 이제 20년이 지난 지금 바로 이 순간이야말로 북한이 지각 변동의 한가운데에서 올바르고 지속 가능한 결정을 내려야 할 시점입니다.

내외 귀빈 여러분

지금까지 논의한 것처럼 북한의 핵무기 프로그램과 인권문제를 포함한 모든 내부 모순들은 한반도에서 살고 있는 우리가 처한 냉엄한 현실의 일부분입니다. 이러한 현실로 인해 한국인들은 세 번째 도전인 한반도 통일이 실현 가능한 시나리오라고 생각하지 못하였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사고방식은 금년 들어 크게 변하기 시작했습니다. 2014년은 한국 정부가 통일에 대한 새로운 아이디어를 제시했다는 점에서 뿐 아니라, 한국인을 비롯하여 이웃국가들과 전 세계 도처의 친구들을 일깨워 주었다는 점에서 한국의 통일 추진에 있어서 획기적인 해로 기억될 것입니다.

이와 관련하여, 박 대통령의 핵심 메시지는 통일이 꿈꿀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도 실현가능하다는 점이었습니다. 무엇보다 통일은 모든 한국인 및 이웃나라와 지구 전체에 편익을 가져다 줄 것입니다. 박 대통령은 지난 3월 드레스덴 연설에서 통일한국이 비핵국가로서, 인권과 민주주의를 위한 희망의 등대이자, 모든 주변국들과 평화를 유지하며, 세계 경제의 성장엔진이자 지역 및 세계 평화와 번영의 촉진자가 될 것이라는 비전을 발표했습니다.

북한을 향해, 박 대통령은 3가지 핵심 아젠다 즉, 인도주의를 위한 아젠다, 공동 번영을 위한 아젠다, 그리고 통합을 위한 아젠다를 제시하였습니다. 이 3가지 아젠다는 무엇보다 주민들의 마음과 생각을 얻는 것이 통일 성취에 있어서 핵심적이었다는 독일의 경험으로부터 부분적으로 영향을 받아 도출되었습니다.

특히, 우리는 재앙수준에 달한 북한 주민의 인도주의적 상황에 주의를 기울이고 있습니다. 이러한 비참한 현실은 최근 이코노미스트에 의해 보도된바 있습니다. 즉, 북한 남자의 평균키는 남쪽 동년배들보다 8cm가 작으며, 평균수명은 12년이 더 짧다는 것입니다. 한반도 분단선을 두고 나타나는 이러한 놀라운 차이는 심지어 통일 이후에도 오랫동안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문제이기도 합니다.

국제적으로도 한반도 통일은 더 이상 금지된 토론 주제가 아니며, 통일을 지지하는 견해들이 점차 증가하고 있습니다. 오바마 대통령은 민주주의와 시장경제에 기초한 평화 통일 비전을 지지했습니다. 시진핑 주석도 한반도 평화 통일에 대한 지지를 빈번하게 언급하였으며, 푸틴 대통령 또한 그러한 입장을 표명하였습니다.

한국은 통일을 지지하는 우방국들과 강력한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여기에는 한·독 통일외교 자문위원회 및 비제그라드 4국으로 불리는 중유럽 4개국과의 체제 전환 경험 공유를 위한 포럼을 비롯하여 영국, EU, 아세안, UN, 그리고 중견국인 멕시코·인도네시아·한국·터키·호주로 구성된 MIKTA와의 강화된 협력 등이 포함됩니다. 마지막으로 우리 정부는 서울과 평양에 주재하며 북한에 신임장을 제정한 40여개 국가의 대사들을 중심으로 또한 한반도 통일을 지원하는 모임을 주도하기도 하였습니다.

내외 귀빈 여러분,

한국의 도전 요인들은 한반도에만 국한되어 있지 않습니다. 한반도 문제를 지역적 맥락으로부터 분리하여 생각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우리와 주변국들 간의 관계는 물론 주변국들 간의 이슈들을 잘 다루어 나가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여기에서 가장 근본적인 문제는 바로 “신뢰 부족”에 있다고 생각합니다. 뿌리 깊은 불신은 금년 군용기들간의 충돌 직전까지 갔던 일련의 상황에서도 볼 수 있듯이, 실제 갈등으로 쉽게 비화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우리 정부는 불신과 대결의 구도를 신뢰와 협력의 구조로 바꾸어 나감으로써 지역 전반에 걸쳐 선순환적인 흐름이 생겨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 나가고자 하며, 북한을 포함한 역내 국가들간의 양자 관계를 개선해 나가는 것이 이러한 노력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와 관련하여, 우리 정부가 그간 이룩한 성과에 대해 여러분들과 공유코자 합니다. 무엇보다 한·미 동맹과 한·중 전략적 동반자 관계는 역사상 최상의 상태입니다. 특히, 한·미·중 3국은 북핵문제와 같은 전략적 이슈에 있어서 서로의 이해가 수렴되는 관계로 나아가고 있습니다. 아울러, 한국은 한·미·일은 물론, 한·일·중, 한·미·중, 남·북·러 등 다양한 형태의 소다자 협력을 활성화해 나가고 있으며, 보다 장기적 관점에서 남·북·중 협력 가능성도 모색해 나가고 있습니다.

특히, 한국은 최근 한·일·중 3국 외교장관회담을 제의하였으며, 이 회담의 결과가 3국 정상회담으로까지 이어질 수 있기를 희망합니다. 한·일·중 3국간의 대화를 복구시켜 나가는 것은 동북아에서 양자간 긴장을 완화하고 다자간 협력을 촉진시킬 것입니다.

이러한 노력은 한국이 추구하고 있는 지역내 새로운 다자 대화 메커니즘인 동북아평화협력구상과도 밀접히 연관되어 있습니다. 본 연설에 바로 이어 동북아평화협력구상에 대한 토의가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만, 동북아 지역은 여러 골치 아픈 문제들에도 불구하고 세계에서 다자적 협력 메커니즘이 부재한 유일한 지역이라는 점만 간단히 말씀 드립니다.

동북아 지역에는 대화와 협력의 문화와 습관이 아직 자리 잡지 못하고 있습니다. 우리의 동북아평화협력구상은 상당 부분 유럽의 경험에서 영감을 얻은 것입니다. 지금 이 순간에도 우리는 EU, OSCE, NATO와 함께 협력해 나가고 있으며, 이들의 성원에 힘입어 지난달 10월 서울에서 제1차 track-1 동북아평화협력회의를 성공적으로 개최하였고, 지난주에는 서울에서 동북아 원자력 안전 심포지움을 개최한 바 있습니다.

한국 외교·안보가 직면한 도전은 이제 한반도와 동북아로부터만 기인하지 않으며, 많은 글로벌 이슈들이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최근 발생한 에볼라 바이러스와 ISIL 및 외국인 테러전투원들의 위협은 그 좋은 예입니다. 이렇게 상호 연관되어 있는 세계 에서 어느 누구도 지구 반대편에서 발생하는 사태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는 것입니다.

이러한 점에서, 한국은 G20 회원국이자, 유엔의 3대 핵심 메커니즘인 안보리, 인권이사회 및 경제사회이사회의 이사국으로서, 비확산, 인권과 인도적 지원, 테러리즘, 기후변화, 개발협력, 무역자유화 및 전염병 통제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발한 활동을 전개하고 있습니다.

내외 귀빈 여러분,

지금까지 저는 여러분들에게 한국이 현재 직면해 있는, 그리고 장차 평화롭고 번영하는 통일국가이자 국제사회의 대의에 봉사하는 국가로 나아가는 여정에서 직면하게 될 과제들이 얼마나 어려운 것들인가에 대해 언급하였습니다.

우리는 통일로 가는 앞으로의 길에 많은 굴곡이 있을 것임을 잘 알고 있습니다. 그러나 한국의 역사는 한국이 그간 직면해왔던 수많은 도전들을 극복해 왔으며, 위기를 기회로 바꾸어 나가는 지혜를 키워왔음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우리가 이러한 위대한 여정에 나섬에 있어서 영국은 최적의 완벽한 동반자임을 잘 알고 있습니다. 시에라리온에서의 에볼라 퇴치를 위한 공조를 비롯하여, “분쟁하 성폭력 방지 이니셔티브”와 사이버 안보는 물론 리비아 등과 같은 지역에서의 위기대응 협력은 이를 여실히 보여주는 증거들입니다. 이러한 모든 공조들은 한국전을 통해 피로 형성된 토대위에서 가능하게 되었으며, 이는 오늘 오후 한국전 참전 기념비 제막식을 통해서 상징적으로 드러나게 될 것입니다.

우리 시대의 역사적 도전에 대한 응전과 인류의 진보에 기여해 나가고자 하는 공동노력에 있어서 우리 양국이 함께 힘을 모아 나가기를 기대합니다. 감사합니다.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