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연설문

2015 DCF 고위급심포지엄 개회사 (2015. 4. 9.)

작성일
2015-04-13 13:35:02
조회수
5368

2015 DCF 고위급심포지엄 개회사 (2015. 4. 9.)

Opening Remarks
by H.E. Yun Byung-se
Minister of Foreign Affairs

April 9, 2015

H.E. Ambassador Sajdik, President of ECOSOC,
H.E. Ambassador Talbot, Co-facilitator for the preparatory process of the 3r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Financing for Development,
Under Secretary-General Wu,
Distinguished representatives,
Ladies and gentlemen,

I am delighted to welcome all of you to Incheon. This city was a gateway between Korea and the world when its ports opened in the 19th century. Now, it has become the springboard of a new Asia-Pacific age, a metropolis with its eyes on the future, and a welcoming host of international organizations.

The growth of Incheon mirrors the development of Korea, making it the perfect venue for today’s Symposium. Back in 1953, when I was born, Korea was a war-torn, aid-dependent nation. The ensuing decades of growth has led us to Korea’s today, and has given us an extraordinary commitment and passion for development cooperation. So it means a lot to me, to co-chair today’s meeting as the Foreign Minister of a recipient-turned-donor country, in our common journey for sustainable development.

Ladies and gentlemen,

This year marks the 70th anniversary of the founding of the United Nations. Potentially, it can become a historic year in its own right, a landmark year in the UN’s pursuit of its key objectives: peace, development and human rights. Our ambitious agendas – to set the post-2015 development agenda and to reach a new global climate change accord – will define not just the world we live in, but the world of our children.

In this regard, today’s symposium is timely and significant in driving the momentum to reach new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as it is the final symposium in the run-up to the Addis Ababa conference and the New York Development summit. Furthermore, the Millennium Development Goals’ target date is fast approaching. Despite the fifteen year-long efforts and many successes, the bitter reality is that the “bottom billion” still suffer from crushing poverty. And in terms of equality, access to justice, and the environment, there are major gaps to be filled.

Indeed, we are living in a paradox, where our way of life is undermining our life and our planet. The linear economy structure i.e., the pattern of mass production, mass consumption and mass dumping is not only unsustainable, but it is also aggravating climate change and imperiling our future. It is in this context that we are trying to shape and sharpen our vision for a post-2015 world.

Ladies and gentlemen,

Last January in Davos, I took part in a leaders’ discussion group, “Defining the Imperatives for 2015.” Deputy Secretary-General Jan Eliasson, who chaired the discussions, asked me the first question: how would Korea contribute to sustainable development, the most important agenda for the UN this year?

My response was, we should ensure that the “three main stops for the 2015 roadmap” – the Financing for Development conference in July, the UN Development Summit in September and the UN Climate Change conference in December – should dovetail each other, and we should collaborate together.

Today’s symposium is being held as part of that continuum, to give impetus and create synergy in the discussions leading up to the post-2015 development agenda. The daunting question before us is “development cooperation for people and planet: what will it take?”

As I know you will engage and explore this question in its myriad aspects in the course of the next two days, instead of trying to supply answers, I will try to set the stage by sharing a few key words.

First, is partnership. The nature of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is going through changes; the post-2015 development agenda is about taking an integrated approach on the social, economic and environmental factors. This has been translated into an unprecedented number of actors, pledges and means of implementation, working not only for poverty eradication and development, but for human dignity and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as well.

This is a welcome phenomenon. We should embrace and empower such enthusiastic participation, and align partnerships to bring out synergies. Traditional and emerging donor countries; recipient countries and international organizations; civil society and the private sector; we all need to encourage and engage with each other as partners in the journey for a universal agenda.

And with the rise of broader and newer kinds of partnerships in development cooperation, we should not shy away from deploying new tools that fit the changing circumstances. In the fifteen short years since the MDGs, we have seen sea changes in technology. So, how can we use the data revolution and non-financial means of implementation to help us turn challenges into opportunities? How can various pledges be linked with means of implementation?

By tackling such problems and coming up with possible solutions, this Symposium can provide an enabling policy environment and eliminate bottlenecks in development cooperation.

Second, is universality. All voices have been calling for a universal post-2015 agenda. In this sense, whether we attain universality could make or break the post-2015 system. Just as we have no ‘planet B,’ we have no ‘plan B’ except for a universal, win-win agenda for sustainable development.

For this, we need renewed global solidarity. Yes, achieving a universal agenda will be more difficult. But the process of working together for a global development cooperation model that puts people and planet at the center can actually serve as a catalyst in strengthening international solidarity.

In this regard, Secretary-General Ban Ki-moon has been urging a post-2015 agenda that is more than an MDG sequel, with the message that quote, “commitments without empowerment are words without meaning. Solidarity is crucial to solving problems in our interconnected world,” unquote.

Third, is coherence and cross-linkages. There is a real need for improving coherence among various approaches and enhancing connectivity among different issues. Global issues such as the Ebola outbreak, humanitarian crises including refugees, food and energy security are often closely linked, and can be best solved through a comprehensive, inclusive approach.

And in my view, this is how we should approach the many upcoming events to be held in the run-up to the post-2015 Summit in September. The key is connecting the fragmented dots to an integrated whole, to weave the different strands into a harmonious unity that is bigger than its parts.

And it is in such a spirit that following today’s symposium, Korea will host the World Water Forum next week, and the World Education Forum in May. As an emerging development partner, we wish to connect and synergize the key elements of the post-2015 agenda by holding these global events. This is in addition to our efforts to promote effective development cooperation through the Busan Global Partnership.

Ladies and gentlemen,

This year, as the curtains fall on an era, we are building a new stage. During the past three years, we have come together to reach our goal. Now, we are on the final stretch. The remaining five months are a golden opportunity to bring our wisdom together, to forge a harmonious partnership for development cooperation.

So, today and tomorrow, let us explore constructive and creative ways in making development cooperation work for people and planet. Thank you. /끝/

------------------------------------(비공식 국문 번역본)------------------------------------

UN 경제사회이사회 의장 Sajdik 대사님,
제3차 개발재원총회 준비회의 공동의장 Talbot 대사님,
Wu Hongbo UN 경제사회국 사무차장님,
대표단 여러분, 그리고 내외 귀빈 여러분,

인천에서 여러분들을 만나 뵙게 되어 반갑습니다. 19세기 인천이 개항하였을 당시 이 도시는 한국과 세계를 잇는 관문이었습니다. 이제 인천은 새로운 아시아·태평양시대를 향한 출발점이자 여러 국제기구들을 유치하고 있는 미래지향 도시로 발돋움하였습니다.

한국의 발전상을 대변하고 있는 인천에서 오늘 심포지엄이 개최되는 것은 매우 적절하다고 생각합니다. 제가 태어났던 1953년을 돌이켜 보면, 한국은 전쟁의 상흔 속에 원조에 의존하는 국가였습니다. 이후 수십년간의 성장을 거쳐 오늘의 한국에 이르렀고, 이러한 경험은 한국이 개발협력에 대해 강한 의지와 열정을 갖게 된 밑거름이 되었습니다. 이러한 점에서 원조수원국에서 공여국으로 성장한 한국의 외교장관으로서 오늘 회의를 공동주재하게 된 것은 우리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공동의 여정에 있어 그 의미가 더욱 각별하다고 생각합니다.

내외 귀빈 여러분,

금년은 유엔창설 70주년을 맞는 해입니다. 그런 점에서 올해는 그 자체로서도 역사적인 해일 뿐만 아니라, 평화, 개발, 인권으로 요약되는 유엔의 3대 핵심 목표를 추구하는데 있어서도 기념비적인 한 해가 될 것입니다. Post-2015 개발의제 수립과 新기후변화 체제 협정이라는 우리의 야심찬 의제들은 단지 우리 세대 뿐만 아니라, 우리의 후손들이 살아갈 세상에도 영향을 미칠 것입니다.

오늘 심포지엄은 금년 아디스아바바 개발재원총회와 뉴욕 개발정상회의가 개최되기 前 마지막 심포지엄으로 새로운 지속가능개발 목표 수립을 위한 모멘텀 증진 측면에서 매우 시의적절하고 각별한 의미를 갖습니다. 새천년개발목표가 정한 목표 시점이 빠르게 다가오고 있습니다. 그간 15년 동안의 노력을 통해 많은 성과도 거두었습니다만, 아직도“최저층 10억(bottom billion)”이라 불리우는 수많은 사람들이 절대빈곤에 시달리고 있는 것이 현실입니다. 그리고, 평등, 정의, 환경의 측면에서도 아직 해결해야 할 과제가 많습니다.

우리는 지금 우리 자신의 생활방식이 스스로의 삶과 지구를 위협하는 역설 속에 살고 있습니다. 직선적 경제구조, 즉 대량생산-대량소비-대량폐기 패턴은 더 이상 지구의 지속가능성을 보장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기후변화를 악화시키고 우리의 미래를 위태롭게 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역설 속에서 우리는 Post-2015 시대의 비전을 구축하고 정교화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내외 귀빈 여러분,

저는 지난 1월 다보스 포럼에서“2015년 핵심 과제(Defining the Imperatives for 2015)”주제로 열린 정상급 비공개 오찬세션에 참석한 바 있습니다. 회의를 주재한 Jan Eliasson 유엔 부사무총장은 금년도 유엔의 가장 큰 아젠다인 지속가능개발 목표를 다루면서 저에게 가장 먼저 한국의 기여방안에 대해 질문을 던졌습니다.

저는 “2015 로드맵으로 가는 3대 이정표(three main stops for the 2015 roadmap)”, 즉 오는 7월 개발재원총회, 9월 유엔총회 계기 개발정상회의, 그리고 12월 파리 기후변화협상(COP21)을 들면서 이러한 주요 이정표들이 모두 연계되어 있는 만큼 서로 상승작용을 할 수 있도록 국제사회가 힘을 모아야 한다고 강조한 바 있습니다.

오늘 심포지엄 역시 그 연속선상(continuum)에서 Post-2015 논의에 추동력을 부여하고 시너지 효과를 창출하기 위해 개최되었습니다. 그리고, 지금 우리 앞에는「인간과 지구를 위한 개발협력: 무엇을 필요로 하는가?」라는 무거운 질문이 놓여 있습니다.

앞으로 이틀간 이 질문에 대한 해답들이 여러 관점에서 논의될 것인 만큼, 저는 답을 제시하는 대신 몇 가지 키워드를 공유하는 것으로 논의의 기반을 마련하고자 합니다.

첫째는 파트너십(partnership)입니다. 국제개발협력의 성격이 변화함에 따라 Post-2015 개발의제는 사회, 경제, 환경을 아우르고 있습니다. 빈곤퇴치와 개발뿐만 아니라 인간의 존엄과 지구의 지속가능성을 확보하고자 하는 행위자, 공약 및 이행수단들이 전례가 없을 정도로 늘어나고 있습니다.

이는 환영할만한 현상입니다. 우리는 이러한 열정들을 포용하고 독려해야 하며, 조화로운 시너지를 창출할 수 있도록 조율된 파트너십을 만들어나가야 합니다. 전통적 공여국과 신흥 공여국은 물론, 수원국과 국제기구, 시민사회와 민간 부분들 모두 보편적 아젠다를 위한 여정에서의 파트너로서 서로 북돋고 단합해 나가야 할 것입니다.

개발협력분야에 있어 더욱 폭넓고 새로운 종류의 파트너십의 부상과 함께 변화하는 환경에 걸맞는 새로운 개발협력 도구를 보다 적극적으로 활용해 나가야 합니다. MDGs 출범 이후 15년 동안 우리는 엄청한 기술변화를 목도해 왔습니다. 그렇다면, 우리는 어떻게 데이터 혁명과 非재정적 이행수단들을 활용하여 도전을 기회로 전환시킬 수 있을까요? 다양한 공약을 어떻게 이행수단과 연계할 수 있을까요?

이러한 문제들에 대한 해결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이번 심포지엄은 개발협력에 있어 최상의 효과를 낼 수 있는 정책환경을 제공하고 개발의 병목현상을 해소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입니다.

둘째는 보편성(universality)입니다. 모두가 한 목소리로 보편적인 post-2015 의제를 촉구하고 있습니다. 이런 점에서 보편성 달성 여부가 post-2015 체제의 성패를 가를 수 있습니다. 우리에게 지구 이외의 planet B가 없듯이, 보편적이며 win-win이 되는 지속가능한 新개발체제 이외에 plan B란 있을 수 없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새로운 글로벌 연대의식(renewed global solidarity)이 필요합니다. 물론, 보편적인 의제를 달성하는 일은 어려운 작업이 될 것입니다. 하지만, 인간과 지구를 중심에 두는 새로운 글로벌 개발협력 모델 구축을 위하여 함께 노력하는 과정은 실제 국제사회의 연대의식을 높이는 촉매 역할을 하게 될 것입니다.

이런 점에서, 반기문 사무총장께서는 Post-2015 아젠다를 단순히 MDGs 2(MDG sequel)로 만들어서는 안된다고 하면서,“권능없는 약속은 의미없는 말에 불과하다(Commitments without empowerment are words without meaning). 연대의식은 상호연계된 세계에서 문제 해결에 반드시 필요하다(Solidarity is crucial to solving problems in our interconnected world)”라고 강조하신 바 있습니다.

셋째, 일관성(coherence)과 상호연계성(cross-linkages)입니다. 다양한 개발협력 방식 간 일관성을 제고하고, 다양한 이슈들 간에도 연계성을 증진시키는 것이 필요합니다. 에볼라, 난민 문제 등의 인도적 위기, 식량 및 에너지 안보와 같은 글로벌 이슈들은 상호 긴밀하게 연계되어 있기 때문에, 포괄적이고 통합적인 방식을 통해 해결될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9월 개발정상회의 전까지 예정된 다양한 행사들에 대하여도 이처럼 포괄적·통합적인 방식으로 접근해야 합니다. 중요한 점은 이러한 행사들 간 connecting the dots하는 자세로 분절된 점들을 통합된 전체로 연계함으로써, 하나의 조각들을 전체의 큰 틀로 합쳐내는 것입니다.

한국은 이런 자세를 가지고 오늘 이 심포지엄에 이어 다음 주 세계물포럼, 그리고 5월에는 세계교육포럼을 개최할 예정입니다. 새로운 개발협력의 파트너로서 우리는 이러한 글로벌 이벤트들을 주최함으로써 Post-2015 아젠다의 핵심요소들을 연계시키고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내외 귀빈 여러분,

금년에 우리는 MDG 시대를 마무리하고 새로운 지속가능개발의 시대를 엽니다. 우리는 지난 3년간 Post-2015 체제의 출범을 위해 달려왔습니다. 그리고, 이제 막바지 단계에 이르렀습니다. 남은 5개월은 우리의 지혜를 모으고 조화로운 개발협력 파트너십을 구축할 수 있는 절호의 기회가 될 것입니다.

오늘과 내일에 걸쳐 인간과 지구를 위한 개발협력의 건설적이고 창조적인 길을 우리 다함께 모색할 수 있기를 기원합니다. 감사합니다.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