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연설문

2015 제주포럼 만찬사

작성일
2015-05-20 23:32:12
조회수
6121

Dinner Remarks
by H.E. Yun Byung-se
Minister of Foreign Affairs

Jeju Forum
May 20, 2015

Former President Yudhoyono,
Former Prime Minister Shroeder,
Former Prime Minister Fukuda,
Former Prime Minister Howard,
Former Prime Minister Clark,
President Li Xiaolin,
Former Foreign Minister Kong and former ministers,
Distinguished guests,
Ladies and gentlemen,

I am delighted to welcome you to this beautiful island of Jeju, at an eventful week for Korean diplomacy. From U.S. Secretary Kerry, Indian Prime Minister Modi, to UN Secretary-General Ban Ki-moon and other leaders, including the UNESCO Director-General and the World Bank President, we have had a string of meetings before this Forum. And tomorrow in Seoul, I will be hosting a five-nation foreign ministers’ meeting of MIKTA – Mexico, Indonesia, Korea, Turkey and Australia, a cross-regional group of middle powers. For me, this is gratifying as a sign of Korea’s increased convening power and its growing contributions to regional and global governance.

The Jeju Forum, now in its tenth session, was launched back in 2001 to foster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and in the Northeast Asian region. Like the Davos Forum, this Forum is now serving as a bellwether for the evolving geopolitical and geoeconomic landscape in this part of the world. Especially, I find this year’s theme, “Towards a New Asia of Trust and Harmony,” very relevant and timely, with the deepening Asian Paradox in an otherwise auspicious 70th anniversary of the end of the Second World War.

From the outset, my government has given top priority to promoting peace through trust and harmony in the region. However, as I pointed out at the Davos Forum in January, Northeast Asia is hardly an outlier from the wave of geopolitical tensions sweeping the world.

Indeed, talks about the “return of geopolitics,” and a “mini Cold War,” are all indicative of the unhealthy state of affairs in this region. Why is this so? First and foremost, Northeast Asia’s geopolitical and geoeconomic landscape has become truly multi-dimensional. If North Korea was the main source of threats and problems over the last two decades since the end of the Cold War, now we have multiple sources of conflicts and tensions.

This part of the world is going through a major transformation, and regional actors are realigning their policies in accordance with their own calculus and perspectives: the U.S. rebalance to the Asia-Pacific, China’s new security concept, Russia’s Look East policy and Japan’s current policy to unshackle itself from the bondage of the Second World War. Whether such different visions will diverge or converge will lead us to different paths in shaping the 21st century.

So taking this good opportunity, I would like to provide some food for thought for your discussions tomorrow on our common challenges from the standpoint of a policy maker.

First, what is the realistic approach to an ever-growing North Korean threat and unpredictability? We are witnessing North Korea advance its nuclear weapons capability and diversify its delivery systems, most recently through its SLBM ejection test. Pyongyang has made it clear that it will cling to its nuclear weapons program, and has rebuffed South Korea, the U.S., China and even Russia’s invitation to Moscow. So the big question remains, what ca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do with North Korea when it continues to keep its door closed?

Which brings us to the second question. Can we expect the winds of change blowing in North Korea, like we have seen in countries such as Myanmar, Iran and recently Cuba? What is coming out from Pyongyang these days are signs of brutality, uncertainty and unpredictability in its decision-making.

Third, how can we narrow down differences over the rise of China? For China, it is a peaceful development, but some feel less sure. The way we in the region view and approach China’s rise will have an impact on the region’s trust level. On the geoeconomic side too, some view the Trans-Pacific Partnership and the Asia Infrastructure Investment Bank issues through the prism of geopolitics, as a rivalry between China and the U.S.

Fourth, what will the dynamics between China and Japan be like? Will it remain a tense relationship, or do we see a light at the end of the tunnel with the recent two summits in Beijing and Bandung respectively?

For Korea, we are in favor of better ties between Beijing and Tokyo. This past March, I hosted the Korea-Japan-China trilateral Foreign Ministers’ meeting in Seoul, resuscitating the trilateral talks, which had been in hibernation for three years. Not only Japan and China, but also the U.S. publicly welcomed Korea’s role in hosting the meeting. As agreed at that meeting, Korea is committed to holding a trilateral summit at the earliest convenient time. And hopefully, like in 2010, the trilateral summit meeting could be held again in Jeju, an island symbolizing peace and reconciliation.

Fifth, how do we view Japan’s current pursuit of a new post-war order? This is manifesting itself in different ways, from changes in interpreting its “peace constitution” to the revision of the guidelines for U.S.-Japan defense cooperation. Japan’s active role does have its upside. However, one should ask why its neighbors and many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re not blessing it - probably because of their concern about Japan’s recent tendency towards historical revisionism. Earlier this month, 187 historians from around the world sent an unprecedented open letter to the Japanese government, raising serious concerns about its views on history. In two weeks or so, that number has swelled to almost 500.

Sixth, how should we view the evolving relationship between the U.S. and China? As Secretary Kerry said recently, this is the most consequential relationship for East Asia’s regional order. Certainly, there are elements of both cooperation and competition between a U.S. rebalancing to Asia and China’s pursuit of a new type of great power relations. This is probably unavoidable, and naturally, regional countries, including Korea, prefer to promote the cooperative aspects between the U.S. and China. In this regard, the fact that the U.S. has invited the leaders of Japan, Korea and China to visit Washington, D.C. this year is a welcome signal.

Seventh, is about Korea’s strategic value and enhanced role. In the past, Korea faced the geopolitical and geoeconomic dilemma of being between continental and maritime powers. However, Korea is now becoming a more influential regional actor, and has established close ties with its neighbors.

As for the Korea-U.S. relationship, the strength of our alliance was reaffirmed during Secretary Kerry’s visit just a few days ago. Secretary Kerry characterized the Korea-U.S. alliance as at its best state ever. The upcoming visit of President Park to Washington, D.C. will open new frontiers for our alliance. As for Korea-China, it is now strategic cooperative partnership and better than ever.

Like President Obama said last year, Korea’s ties with the U.S. and with China are totally compatible. Indeed, in our view, our good ties with both countries are precious assets that can reinforce not only the U.S. rebalance to Asia, but also China’s pursuit of a new type of great power relations.

Eighth, what are the implications of China’s relations with ASEAN countries on the regional order? It is crucial that the South China Sea issue be resolved through dialogue, the sooner the better.

Ninth, how to manage the negative impacts from Russia’s worsening relations with the U.S. and western nations, which have aggravated since the events in Ukraine. Those tensions are spilling over to Northeast Asia as well. North Korea is certainly losing no time in trying to exploit this situation and to use the Russia card. Russia invited the North Korean leader, who embarrassed Moscow at the last minute. As the North Korean nuclear problem is at a critical juncture, it is imperative that the five parties of the Six Party Talks stand united on this issue than anytime before.

Ladies and gentlemen,

The questions I have raised so far are serious, but we also know that various efforts are underway in earnest to overcome these challenges.

Yesterday, I spoke at the World Education Forum, co-hosted by Korea and UNESCO, and met with Director-General Bokova. This reminded me of the words of the UNESCO Constitution, that quote, “since wars begin in the minds of men, it is in the minds of men that the defenses of peace must be constructed,” unquote.

So, in the final analysis, as long as those who favor cooperation and harmony prevail over those who seek to benefit from tension and conflict in the region, there is reason for hope. Korea is decisively on the side of cooperation and harmony.

We will continue to work to that end, through policies such as the Northeast Asia Peace and Cooperation Initiative, or NAPCI. Like UN Secretary-General Ban Ki-moon pointed out at last November’s East Asia Summit, Northeast Asia remains a crucial missing link in the UN’s network of sub-regional cooperative mechanisms, and there is a pressing need to explore means for closer regional cooperation. In this regard, NAPCI can complement and reinforce existing forums such as the EAS and the ASEAN Regional Forum, and complete the jigsaw of multilateral cooperation in East Asia.

Multilateral dialogue and cooperation, coupled with bilateral efforts to promote peace and cooperation, will be conducive to overcoming the division of the Korean peninsula – already 70 years old, and a relic of the Cold War. Just like German reunification transformed the geopolitical landscape of Europe, Korean unification will be a peace-promoter and growth-booster, not only in the Asia-Pacific, but also in Eurasia.

I hope that each and every one of you here today will join us in this journey, and allow the Jeju Forum to become a venue for promoting peace and prosperity in the region and around the world. Thank you.
/끝/

-----------------------------------------(비공식 번역문)-------------------------

유도요노 前 인도네시아 대통령님,
슈뢰더 前 독일 총리님,
후쿠다 前 일본 총리님,
하워드 前 호주 총리님,
클라크 前 캐나다 총리님,
리샤오린 중국인민대외우호협회장님,
공로명 前 외교장관님을 비롯한 전직 장관님들,
그리고 내외귀빈 여러분,

아름다운 섬 제주에서 여러분을 만나게 되어 기쁩니다. 이번 주는 한국 외교에 있어 정말 중요한 행사들이 많습니다. 케리 美 국무장관과 모디 인도 총리에 이어, 반기문 유엔사무총장, 유네스코 사무총장, 세계은행 총재 등 국제기구 수장들과 오늘 포럼 전까지 연쇄 회동을 가졌습니다. 또 저는 내일 서울에서 멕시코, 인도네시아, 한국, 터키, 그리고 호주로 구성된 중견국 협의체 믹타(MIKTA) 5개국 외교장관회의를 주재할 예정입니다. 이 모든 것은 국제사회에서 한국의 신장된 소집의 힘과 지역 및 글로벌 거버넌스에 대한 증대된 기여를 보여주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제주포럼은 한반도와 동북아에서의 평화 증진을 목적으로 2001년 출범한 이래 개최 10회를 맞았습니다. 제주포럼은 다보스포럼과 마찬가지로 같이 이 지역의 지정학적, 지경학적 측면의 지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특히, 금년도 주제인‘신뢰와 화합의 새로운 아시아를 향하여(Towards a New Asia of Trust and Harmony)’는 종전 70주년이라는 뜻 깊은 해에, 아시아 패러독스가 심화되고 있는 현 상황에서 매우 시의적절하다고 생각합니다.

우리 정부는 출범 초기부터 신뢰와 화합을 통한 역내 평화 증진에 최우선 순위를 부여해왔습니다. 그러나 제가 지난 1월 다보스 포럼에서 지적한 바 있듯이 동북아는 전 세계를 휩쓸고 있는 지정학적 긴장의 파고로부터 벗어나 있지 않습니다.

실제, “지정학의 귀환”이나 “미니냉전”에 관한 말들은 모두 이 지역의 바람직하지 못한 상황을 가리키고 있습니다. 왜 그럴까요? 무엇보다도 동북아의 지정학적, 지경학적 상황이 정말로 다차원적이 되었기 때문입니다. 즉, 탈냉전 이후 지난 이십여 년간 북한이 위협과 문제의 주원인이었다면, 이제는 갈등과 긴장의 원천이 보다 다양해졌습니다.

이 지역은 현재 중대한 변화를 겪고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역내 행위자들은 저마다의 계산법과 시각에 따라 정책을 조정하는 과정에 있습니다. 미국의 아태 재균형 정책, 중국의 신안보관, 러시아의 동방정책, 그리고 2차 세계대전의 족쇄에서 벗어나기 위한 현재 일본의 정책이 바로 그러한 예입니다. 이처럼 서로 다른 비전들이 다른 방향으로 나아갈 것인지 아니면 수렴할 것인지에 따라 21세기는 우리에게 다른 모습으로 다가올 것입니다.

그래서 저는 오늘 이 자리를 빌려, 정책입안자의 입장에서 내일 논의될 우리의 공동 도전들에 관한 주제들을 제시해보고자 합니다.

첫째, 나날이 증대하는 북한발 위협과 예측불가능성에 대한 현실적 접근은 무엇일까요? 북한은 핵무기 능력을 고도화하고 있으며, 가장 최근에는 SLBM 사출실험을 단행하는 등 운반수단을 다양화하고 있습니다. 북한은 핵무기 프로그램을 포기하지 않겠다는 뜻을 분명히 하고 있으며, 한국, 미국, 중국과의 대화, 그리고 심지어 러시아의 모스크바 초청마저도 거부했습니다. 그렇다면 남은 질문은 북한이 계속해서 문을 닫아걸고 있을 때 국제사회가 무엇을 할 수 있느냐는 것입니다.

이는 두 번째 질문으로 이어집니다. 미얀마, 이란, 그리고 최근 쿠바에서처럼 북한에도 변화의 바람이 불어올까요? 요즘 평양은 의사결정에 있어서 잔인성, 불확실성, 그리고 예측불가능성을 보이고 있습니다.
셋째는 우리가 중국의 부상에 관한 입장차이를 어떻게 좁히느냐 하는 문제입니다. 중국이 주장하는 평화로운 발전에 대해 일부 국가들은 아직 확신이 부족합니다. 그리고 역내 국가들이 중국의 부상을 바라보는 시각과 접근방식은 역내 신뢰 수준에 영향을 미칠 것입니다. 혹자는 환태평양파트너십(TPP)과 아시아인프라투자은행(AIIB)을 지정학적 측면에서 중·미간 라이벌 관계로 바라보기도 합니다.

넷째는 중일 관계가 어떻게 발전해나갈 것인가 하는 것입니다. 긴장 관계에 머무를까요? 아니면 베이징과 반둥에서의 최근 두 차례 정상회동으로 터널의 끝에 빛이 보이는 걸까요?

한국으로서는 중국과 일본간 관계 개선을 바랍니다. 지난 3월 저는 서울에서 한일중 외교장관회의를 주최하여 지난 3년간 동면에 빠져 있던 3국간 대화를 부활시켰습니다. 이에 대해 일, 중 양국은 물론, 미국도 회의를 주최한 한국의 역할을 공개적으로 환영한 바 있습니다. 회의에서 합의된 바와 같이 한국은 가장 빠른 편리한 시기에 3국 정상회의를 개최할 수 있도록 노력해 나갈 것입니다. 바라기는 2010년에 그랬던 것처럼 3국 정상회의가 평화와 화해의 상징인 제주에서 다시 개최될 수도 있을 것입니다.

다섯째는 현재 일본의 새로운 전후질서 추구를 어떻게 보아야하는가 입니다. 이는 평화헌법에 대한 해석 변경에서 미일 방위협력지침 개정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일본의 적극적 역할에는 분명 긍정적 측면도 있습니다. 하지만, 주변국들과 국제사회의 많은 국가들이 어째서 이를 축복하지 않는지 생각해 보아야만 합니다. 아마도 그것은 최근 일본의 역사 수정주의 성향에 대한 우려 때문일 것입니다. 이달 초, 전 세계 187명의 역사학자들은 전례 없는 공개서한을 통해 일본 정부의 역사인식에 대해 심각한 우려를 제기했습니다. 그리고 약 2주 만에 그 수는 거의 500명까지 늘었습니다.

여섯째는 미중관계 발전을 어떻게 보아야 하는가 입니다. 케리 국무장관이 최근 언급한 것처럼 미중 관계는 동아시아 지역질서에 있어 가장 중요한 관계입니다. 물론, 미국의 아태 재균형 정책과 중국의 신형대국관계 건설 간에는 경쟁과 협력의 요소가 모두 존재합니다. 이는 불가피한 측면도 있습니다. 그리고 자연스러운 이야기지만, 한국을 포함한 역내 국가들은 미중간 협력 증진을 더 바라고 있습니다. 이러한 맥락에서, 미국이 일본, 한국, 중국의 정상들의 금년중 방미를 초청한 것은 환영할 만한 조치입니다.

일곱째는 한국의 전략적 가치와 증대된 역할에 관한 것입니다. 과거 한국은 대륙세력과 해양세력 사이에서 지정학적, 지경학적 딜레마에 처하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한국은 이제 보다 영향력 있는 역내 행위자로 부상하고 있으며, 주변국들과의 긴밀한 관계도 구축했습니다.

한미관계에 대해 말씀드리자면, 바로 며칠 전 케리 국무장관의 방한은 한미동맹의 굳건함을 재확인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케리 장관은 한미동맹이 역대 최상의 상태라고 평가하였습니다. 또한 곧 있을 박근혜 대통령의 방미는 한미동맹의 새로운 지평(new frontier)을 열게 될 것입니다. 한중관계도 전략적 협력동반자 관계로서 그 어느 때보다 좋습니다.

작년 오바마 대통령께서 말씀하셨듯이, 한미, 한중관계는 전적으로 양립 가능합니다. 그리고 미중 양국과 한국의 좋은 관계는 미국의 아시아 재균형 정책뿐만 아니라 중국의 신형대국관계 추진에도 도움이 되는 귀중한 자산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여덟째, 역내 질서에 있어 중국과 아세안 국가들간 관계는 어떤 함의를 가질까요? 남중국해 문제가 대화를 통해 해결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는 빠르면 빠를수록 좋습니다.

아홉째, 우크라이나 사태로 악화되고 있는 러시아와 미국, 서방 국가들간 관계의 부정적 여파를 관리하는 문제입니다. 이러한 긴장 상황은 동북아에까지도 파급되고 있습니다. 북한은 재빠르게 이 상황을 이용해 러시아 카드를 사용하려 하고 있습니다. 러시아는 북한 지도자를 모스크바에 초청했지만 북한은 마지막 순간에 입장을 바꾸어 러시아를 당혹스럽게 만들었습니다. 북핵문제가 중대한 갈림길에 있는 상황에서 6자회담 당사국들 가운데 5자가 동 문제에 관해 단합하는 것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합니다.

내외 귀빈 여러분,

제가 지금까지 제기한 문제들이 매우 심각하긴 하지만, 동시에 우리는 이러한 도전들을 극복하기 위한 다양하고도 진지한 노력들이 이루어지고 있다는 것도 잘 알고 있습니다.

어제 저는 한국과 유네스코가 공동 주최한 세계교육포럼에서 연설을 하고, 보코바 사무총장님과 면담을 가졌습니다. 이를 통해 저는“전쟁은 인간의 마음에서 생기는 것이므로 평화의 방벽을 세워야 할 곳도 인간의 마음이다”라는 유네스코 헌장의 문구를 되새겨 보았습니다.

이제 제 마지막 말씀을 드리자면, 역내 긴장과 갈등으로부터 이익을 취하려는 이들보다 협력과 조화를 바라는 이들이 많은 한, 우리가 희망을 가져야할 이유는 충분하다는 것입니다. 단언컨대 한국은 협력과 조화의 편에 서있습니다.

우리는 동북아평화협력구상(NAPCI) 등의 정책들을 통해 이러한 목표를 향해 계속해서 나아갈 것입니다. 작년 11월 동아시아정상회의(EAS)에서 유엔 사무총장께서 지적하신 것처럼 동북아는 유엔의 소지역 협력 네트워크에서 빠져있는 중요한 연결고리이며, 따라서 보다 긴밀한 역내 협력을 위한 방안을 찾아야만 합니다. 이런 점에서, 동북아평화협력구상은 EAS와 아세안지역안보포럼(ARF) 등 기존 포럼들을 보완·강화함으로써 동아시아 지역의 다자협력 퍼즐을 완성할 수 있는 기제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다자간 대화 및 협력과 병행하여 평화와 협력을 촉진하기 위한 양자적 노력을 계속해 나간다면, 이는 70년을 지속해온 냉전의 잔재인 한반도 분단을 극복하는데 기여할 것입니다. 그리고 과거 독일 통일이 유럽의 지정학적 상황을 변화시켰듯이 한반도 통일은 향후 아태지역뿐만 아니라 유라시아 전역에서 평화와 발전을 촉진할 것입니다.

아무쪼록 오늘 이 자리에 참석하신 모든 분들께서 우리의 이러한 여정에 동참하시길 기대합니다. 그리고 제주포럼이 이 지역과 전세계의 평화와 번영을 촉진하는 장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협조해 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