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연설문

FEALAC 외교장관회의 Plenary 발언문

작성일
2015-08-21 12:20:00
조회수
4911

Remarks
by H.E. Yun Byung-se
Minister of Foreign Affairs

7th FEALAC FMM Plenary
San Jose, Costa Rica, August 21, 2015

Thank you Mr. Co-Chair, for your kind gesture allowing me to speak before designated speakers.

Minister Gonzalez,
Permanent Secretary Norachit,
Fellow Ministers,
Ladies and gentlemen,

This morning at the retreat session, I offered a preview of my thoughts on how to advance FEALAC at this critical juncture. Now, I would like to elaborate on the themes I touched on, namely the concrete actions we could take to lift FEALAC to a higher level through greater visibility, solidarity and connectivity.

First, let’s muster the political will to enhance FEALAC’s visibility and its profile. For today’s Ministers’ Meeting, only 15 ministerial colleagues have been able to join us. Back in 2013, it was 13 ministers, and in 2011, 16 ministers - ever a minority. Without top-level engagement, we could hardly raise the visibility of FEALAC or revitalize it to give it more relevance.

For my part, I believe that ministerial presence at FEALAC meetings could be thought of as a yardstick to measure the overall commitment of the members. This is why two years ago, I proposed the idea of having a foreign ministers’ gathering for the troika of the previous, current and upcoming regional coordinating countries, in years when the Foreign Ministerial Meetings are not held. I remain convinced that we need to seriously consider such a troika gathering next year. The sidelines of the UN General Assembly could provide us with a favorable opportunity for this. Through decades of experience, we know that the Foreign Ministers of troika members tend to be more actively involved in FEALAC matters. More frequent contact between them will surely help FEALAC plot a clearer path ahead.

Another option we could consider would be to have the FEALAC Foreign Ministers’ Meeting in the first half of the year. In the latter half of the year, many ministers have to clear their diaries for a series of multilateral conferences, from the ASEAN meetings to the UN General Assembly, ASEM, APEC and the G20. Rescheduling FEALAC meetings could provide us a way to boost ministerial-level attendance.

It would also be a good idea for us to schedule the Ministerial Meetings in more regular and predictable two-year patterns, as opposed to the shorter or longer gaps there were between some past sessions. It is true that there is a vast ocean between East Asia and Latin America. But in a similar vein, there is a large landmass between East Asia and Europe - but that hasn’t deterred frequent, regular contacts in the context of ASEM.

Furthermore, I believe that it is now high time for us to look into convening a FEALAC summit meeting. Indeed, this was a suggestion made by experts in the Report of the Vision Group adopted two years ago, at the 6th Foreign Ministers’ Meeting. A summit meeting could do wonders for reaffirming our shared commitment and would also raise FEALAC’s profile and visibility. In the case of APEC, it began at the ministerial level in 1989 but launched its first summit meeting in 1993,just four years later. In the case of ASEM, it began holding summit meetings since its inception in 1996. For FEALAC, an ideal time for the first summit could be 2019, the year FEALAC celebrates its 20th anniversary.

To this end, at the 8th Foreign Ministers’ Meeting in 2017, we member countries could agree in principle to hold a summit meeting and start the preparatory process. Of course, the details for the summit would be decided by consensus.

Second, let’s take up FEALAC-wide projects to cement solidarity among members. The Report of the Vision Group in 2013 recommended that we think about a FEALAC fund, and we could benchmark the Asia-Europe Foundation Fund established by ASEM. The rationale is clear - in order to engage in FEALAC-wide projects, securing sustainable funds is a necessity.

In this regard, yesterday’s Meeting of the Latin American and East Asian Financial Organizations and Institutions is a signal that there is increasing awareness of this need. As a next step, I would suggest that at the next Foreign Ministers’ Meeting in 2017 in Korea, we have more in-depth discussions on forming a FEALAC fund with financial institutions such as the Inter-American Development Bank (IDB) and the Asian Development Bank (ADB). I say this with the caveat that this should be taken up with a good dose of realism, in light of the uncertainties in the global economy and the phenomenon of ‘donor fatigue.’

Moreover, we should take care to carefully select areas of shared interest for the FEALAC-wide projects. Korea’s view is that development cooperation, public health, climate change, cyber-security and trade could be prime fields for such collaboration.

Why? Because these are international hot topics, as we can see from the upcoming UN Development Summit in New York, the Global Health Security Agenda high-level meeting in Seoul, the global climate change conference in Paris, as well as the recent Global Cyberspace Conference in The Hague.

It is against this backdrop that my Ministry is planning to host a seminar on inter-regional trade in March 2016, on the occasion of a FEALAC Cyber Secretariat workshop. Inter-regional trade initiatives are a matter of major relevance to most members.

Third, let’s strengthen our connectivity to overcome the geographic distance between the two regions. In this respect, cultural and people-to-people exchanges are especially important.

Last April, while accompanying my President during her visit to Latin America, I was pleasantly surprised to discover that in Peru, there are 124 Hallyu - or Korean culture clubs with more than 400,000 members. Across this region, the membership numbers amount to more than 1.4 million. Likewise, in Korea we are experiencing a proliferation of Latin American dance and music clubs - from salsa and tango to samba and rumba. This is proof that culture can transcend geography to bring people closer together.

Likewise, people-to-people exchanges through tourism are also very promising. To take an example from another region, the number of Korean tourists visiting Croatia in 2013 was only 75,000. In 2014, in just one year, it jumped up more than threefold to 240,000. I see no reason why this couldn't be replicated with Latin America, a region with a wealth of fascinating tourist destinations.

Culture and tourism can be powerful tools for strengthening our connectivity. However, let us not forget that substantive cooperation between our regions is also promising. Mechanisms such as FTAs can connect us closer together.

So I would like to suggest that FEALAC undertake a study of the ways and means, as well as the needs, of such connectivity-boosting mechanisms. These could include direct flights to ease the flow of people between the two regions, and streamlining customs procedures to expedite the exchange of goods. Needless to say, the business people of East Asia and Latin America would have an important stake in this. In this regard, we should give serious thought into institutionalizing the Business Forum at the next FEALAC Foreign Ministers’ Meeting.

In conclusion, Ernest Hemingway, the famous author of “The Old Man and the Sea,” wrote that, quote, “today is only one day in all the days that will ever be. But what will happen in all the other days that ever come can depend on what you do today,” unquote. In the same vein, what we discuss and decide today will set the course for FEALAC in the years to come. So let’s embark together, with our eyes set on the horizons of broader and deeper cooperation between East Asia and Latin America. Thank you very much. /끝/

----------------------------------------(국문 번역본)----------------------------------------


FEALAC 외교장관회의 Plenary 발언문 (4-5분)




이미 정해진 발언 순서에 앞서 제가 먼저 발언하도록 배려해주신 의장님께 감사드립니다.

곤살레스 장관님,
노라칫 사무차관님,
동료 장관님,
각국 대표 여러분,

아침 Retreat 세션에서 저는 중대한 전환점을 맞이하는 FEALAC을 발전시켜 나가기 위해 우리가 해야 할 일에 대한 구상을 제시한 바 있습니다. 이제 제가 언급한 주제, 특히 FEALAC을 보다 제고된 가시성과 연대성 및 연계성을 통해 더 높은 수준으로 발전시켜 나가기 위한 구체적 조치들에 대해 설명드리고자 합니다.

첫째, FEALAC의 가시성과 위상을 제고하기 위해 회원국들의 정치적 의지를 모아야 합니다. 36개 회원국 장관 중 오늘 이 자리에는 불과 15명의 장관들만 참석하고 있습니다. 지난 2013년에는 13명, 2011년에는 16명에 불과하여 늘 과반수 이하였습니다. 최고위급 수준의 참여 없이는 우리가 FEALAC의 가시성을 제고하거나 활력을 불어넣을 수 없습니다.

본인은 FEALAC 회의에 대한 고위급 인사들의 참여도가 회원국들의 전반적인 의지를 가늠할 수 있는 척도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제가 2년 전에, 외교장관회의가 개최되지 않는 해에 전‧현직 및 차기 지역조정국 외교장관이 참석하는 트로이카 외교장관회의를 개최하자고 제의한 것도 바로 이 때문입니다. 저는 내년에 트로이카 회의 개최를 진지하게 고려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유엔 총회 계기에 트로이카 외교장관회의를 개최하는 것도 좋은 기회가 될 것입니다. 수십 년 간의 경험을 통해 우리는 트로이카 외교장관들이 FEALAC에 보다 적극적으로 참여하게 될 것이라는 점을 알고 있습니다. 트로이카 외교장관들이 더 자주 접촉함으로써 FEALAC의 발전 방향에 대해 보다 명확한 진로를 설정할 수 있게 될 것입니다.

아울러, 우리가 하나 더 고려해 볼 수 있는 것은 외교장관회의를 개최년도 상반기에 개최하자는 것입니다. 통상 하반기에는 외교장관들이 ASEAN 관련 외교장관회의를 시작으로 유엔총회, ASEM, APEC, G20 등을 포함한 각종 다자회의에 참석하기 위해 다른 일정을 비워두어야 합니다. FEALAC 회의 일정을 재조정한다면 장관급 인사들의 참석률을 제고할 수 있을 것입니다.

또한 외교장관회의를 과거와 같이 2년을 기준으로 그보다 길거나 짧은 제각각의 주기로 개최했던 것과 달리, 보다 정기적이고 예측가능한 격년 주기로 확정하여 개최하는 것도 좋을 것입니다. 동아시아와 중남미 사이에 드넓은 대양이 있는 것이 사실입니다. 그러나 마찬가지로 동아시아와 유럽 사이에도 광활한 대지가 자리 잡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 거리가 ASEM 차원에서의 정기적이고 잦은 접촉을 방해하지는 못했습니다.

또한, 이제 FEALAC 정상회의 개최를 검토하기에 적절한 시점이라고 생각합니다. 이는 2년 전 제6차 외교장관회의에서 채택된 비전그룹 최종보고서에서도 전문가들이 제안한 바 있습니다. 정상회의는 우리의 공동의 의지를 재확인하고 FEALAC의 위상과 가시성을 제고하는데 크게 기여할 것입니다. APEC의 경우 1989년 각료급 회의로 출범했지만 불과 4년 뒤인 1993년 첫 정상회의를 개최한 바 있습니다. ASEM의 경우에는 1996년 출범 단계에서부터 정상회의를 개최하기 시작하였습니다. FEALAC은 출범 20주년이 되는 2019년에 첫 정상회의를 개최하는 것이 이상적일 것으로 생각합니다.

이를 위해 2017년 제8차 외교장관회의에서 회원국들이 동 정상회의 개최에 대한 원칙적 합의를 도출하고, 이를 위한 준비 절차를 개시할 것을 제안합니다. 물론, 정상회의 관련 구체적인 사항은 컨센서스로 결정될 것입니다.


둘째, 회원국간 연대를 다지기 위해 全 FEALAC 차원의 협력사업(FEALAC-wide projects)을 실시합시다. 2013년 채택된 비전그룹 보고서에서 FEALAC 기금 조성을 고려할 것을 권고한 바 있습니다. 우리는 ASEM 체제 하에 설립된 아시아·유럽 재단(Asia-Europe Foundation) 기금을 벤치마킹할 수 있을 것입니다. 그 이유는 명백합니다. 全 FEALAC 차원의 협력사업 추진을 위해서는 지속가능한 재원 확보가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볼 때 어제 개최된 동아시아-중남미 금융기구 회의는 재원 마련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제고되고 있다는 신호입니다. 다음 단계로, 2017년 한국에서 개최될 차기 외교장관회의에서 미주개발은행(IDB), 아시아개발은행(ADB) 등 금융기구들과 함께 FEALAC 기금 조성에 관해 보다 심도 있게 논의할 것을 제안합니다. 다만, 세계경제의 불확실성이 계속되고 있는 상황과 소위 ‘공여국 피로감(donor fatigue)’ 현상을 감안해 기금 조성 방안은 현실성 있게 추진되어야 할 것입니다.

또한 全 FEALAC 차원의 협력사업 분야를 선택할 때에는 동아시아와 중남미 양 지역이 공히 관심을 가지는 부문을 신중히 선정하는 것이 중요할 것입니다. 한국의 관점에서 볼 때 개발협력, 보건의료, 기후변화, 사이버안보, 교역 등 이슈들이 좋은 협력분야가 될 것으로 생각합니다.

왜냐하면 이 분야들은 다음 달 뉴욕에서 개최될 유엔 개발정상회의(UN Development Summit)와 서울에서 개최될 글로벌보건안보구상(GHSA) 고위급 회의, 12월에 파리 개최 예정인 기후변화당사국회의(COP21), 그리고 최근 헤이그에서 개최된 사이버 스페이스총회(Global Conference on Cyberspace) 등에서 보듯이 국제적인 핫이슈이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배경에서 우리 외교부는 2016년 3월 FEALAC 사이버사무국 워크숍 계기에 지역간 무역에 관한 세미나를 개최하고자 합니다. 지역간 무역 이니셔티브는 대부분의 회원국들에게 중요한 관련성이 있습니다.

셋째, 양 지역간 지리적 거리를 극복하기 위해 연계성을 강화합시다. 이러한 차원에서 문화교류 및 인적교류는 특히 중요합니다.

지난 4월 우리 대통령의 중남미 순방을 수행하면서 저는 페루에 124개의 한류 동호회가 있으며 이들의 회원수가 40만명이 넘는다는 것을 알고 깜짝 놀랐습니다. 중남미 전역에는 140만명 이상에 달하는 한류 동호회원이 있습니다. 이와 마찬가지로 한국에서는 살사, 탱고와 같은 라틴 댄스, 그리고 삼바, 룸바와 같은 라틴 음악 동호회가 늘어나고 있습니다. 이는 문화가 지리적 한계를 초월하여 사람들을 서로에게 가까이 다가갈 수 있도록 한다는 사실을 증명합니다.

마찬가지로 관광을 통한 인적 교류 증진도 매우 유망합니다. 다른 지역의 예를 들어보자면 2013년 크로아티아를 방문한 한국 관광객들의 숫자는 7만 5천명이었습니다. 이듬해인 2014년에는 무려 세 배 이상인 24만 명으로 증가하였습니다. 이러한 현상이 환상적인 관광 명소들로 가득한 중남미 지역에서 되풀이 되지 못할 이유가 없습니다.

문화와 관광은 우리의 연계성을 강화하기 위한 강력한 도구입니다. 그러나 우리는 양 지역간 실질협력 역시 유망하다는 점을 잊지 않아야 합니다. FTA와 같은 메커니즘은 우리를 보다 긴밀히 연결시켜 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저는 FEALAC 차원에서 이러한 연계성 증진 메커니즘의 수단과 방법 및 필요성에 대한 연구를 수행할 것을 제안합니다. 인적 이동을 편리하게 하기 위한 직항 노선 개설 및 신속한 물적 교류를 위한 통관시스템 재정비 등도 이에 포함될 수 있습니다. 이에 동아시아와 중남미 지역내 기업인들의 중요한 이해관계가 걸려 있다는 것은 두말할 필요도 없습니다. 이러한 차원에서 우리는 차기 FEALAC 외교장관회의 계기에 비즈니스 포럼을 제도화하여 개최하는 문제를 진지하게 고려해야 합니다.

‘노인과 바다’로 유명한 미국 작가 어니스트 헤밍웨이는 “오늘은 많은 날들 중 단지 하루에 불과하지만, 다가올 다른 모든 날들에 일어날 일들은 당신이 오늘 무엇을 하느냐에 달려있다”라는 말을 남겼습니다. 오늘 우리가 이 자리에서 무엇을 논의하고 결정하느냐에 따라 향후 FEALAC의 진로가 정해질 것입니다. 그러므로 우리의 시선을 동아시아와 중남미간 더 넓고 깊은 협력을 향한 수평선에 두고 함께 승선합시다.

감사합니다.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