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연설문

2015 IFANS 국제학술회의 축사

작성일
2015-10-23 15:28:42
조회수
6642

 2015 IFANS 국제학술회의 축사

Remarks
by H.E. Yun Byung-se
Minister of Foreign Affairs

2015 IFANS Conference on Global Affairs
October 23, 2015

Chancellor Yoon Duk-min,
Professor Mearsheimer,
Professor Wang Jisi,
Professor Tanaka,
Members of the diplomatic corps,
Ladies and gentlemen,

This year is special not only for the international community, but also for Korea. It marks the 70th anniversary of the end of the Second World War. For Korea, this is the 70th year of division. As the world underwent transformations in the Cold War and post-Cold War periods, Korea was deeply affected by such international developments. In a sense, no country in the world has been so closely intertwined with changes in the global landscape as my own.

Korean diplomacy has always adapted and responded to such shifts.
- Our government was established with the blessing of the United Nations three years after our independence.
- During the Korean War, it was the US-led UN Command that fought with us.
- During the post-war development period, it was international aid, together with our own efforts, that helped us overcome grinding poverty.
- And whereas in the Cold War era, Korean diplomacy was largely defined by the ideological confrontation between the East and the West, the post-Cold War environment has allowed us to pursue broader horizons, as was manifested by Nordpolitik or Northern Diplomacy.

Now, around a quarter century after the end of the Cold War, the geopolitical and geo-economic landscape is still affecting our diplomacy, not only this region, but around the world. Through all these phases of global and regional transformation, Korea has overcome daunting challenges and even turned them into opportunities.
- We now enjoy greater stability thanks to the robust Korea-U.S. alliance.
- We enjoy a vibrant democracy, high standards of the rule of law and human rights.
- We enjoy friendly relations with almost every nation in the world.
- We are now supporting developing countries around the world in a way that befits a country of our stature.

Paradoxically, however, we are now confronting new challenges emanating from geopolitical and geo-economic shifts. These challenges are coming simultaneously on all fronts, on the Korean peninsula, in the Northeast Asia region and around the world, which I have called the “triple waves.”

And more than ever before, the nature of these challenges is complex and multi-dimensional. In this part of the world, we are witnessing the rise of China, a resurgent Japan, the U.S. rebalancing to Asia, Russia looking East and a recalcitrant North Korea. In addition to old problems such as history and territory issues, new problems such as space, maritime security and cyber threats are emerging fast. Moreover, the mismatch between increasing economic interdependence and the lack of political and security cooperation, which we call the Asia Paradox, is still ongoing.

Korean diplomacy under the Park Geun-hye government is exerting intensive efforts to solve this multi-factor equation despite many constraints. Thanks to these efforts,
- We have been able to achieve a Korea-U.S. alliance stronger than ever before, like President Obama recently said.
- We have the best ever relationship with China under our strategic cooperative partnership, as well as amicable relations with Russia. We are also trying to have more stable relations with Japan on the occasion of the 50th anniversary of normalization between the two countries.
- We enjoy very close relationships with EU and ASEAN countries, as well as many others in the world.
- And we have key players at the helm of international organizations, such as the UN, the IMO and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IPCC) and international legal tribunals.

President Park’s recent speeches at the UN General Assembly and at the CSIS in the U.S. eloquently elaborated on Korea’s expanding diplomatic horizons, from the Korean peninsula and Northeast Asian region to the wider world.

Nevertheless, when it comes to opening a new chapter in Korean diplomacy, I must confess that we have daunting challenges on the way ahead. I will not delve into details today, as they will form the essence of your discussions. Instead, I will briefly touch upon key factors that will affect Korean diplomacy in the short, medium and longer terms.

The first challenge is from North Korea. How do we deal with the decades-old threat posed by North Korea’s nuclear and missile programs? How do we induce changes in North Korea’s strategic calculus, like Myanmar, Cuba and Iran? How can we achieve peaceful unification, which Germany accomplished 25 years ago? These tasks are further complicated as North Korea argues that it is a different case from Iran, that it is already a nuclear armed state, and that Seoul’s unification efforts are a veiled attempt for absorption.

The second challenge is how to build sustainable peace and cooperation in Northeast Asia, a part of the world where the trust deficit is so high and lacks a habit of regional cooperation.

Certainly, bilateral relations between regional countries are the primary factor in this mission. Above all, U.S.-China relations are a crucial factor. Here, we can see elements of both competition and cooperation, so it is critical that we do not fall into the trap of a zero-sum or preordained mindset.

Japan’s pursuit of a new post-war order is another important factor, and the final shape of such moves will impact the entire region and beyond, including its relations with neighbors.

Korea, like pre-unification Germany, is trying to develop cordial ties with all its neighbors on the road to unification. Korea is one of the few countries that enjoy a good relationship with both the U.S. and China. This certainly helps us expand Korea’s strategic space in the region.

However, good bilateral relations are not enough. We need to cultivate a habit of regional and sub-regional cooperation. Dr. Victor Cha of CSIS has dubbed Korea’s vigorous trilateral diplomacy as “triplomacy.” Korea has been proactive in fostering Korea-U.S.-Japan as well as Korea-Japan-China trilateral cooperation. A future avenue would be Korea-U.S.-China trilateral dialogue.

Regional cooperation mechanisms are conspicuously absent in Northeast Asia. The Northeast Asia Peace and Cooperation Initiative, or NAPCI, is an effort to fix this. All in all, Korea is a country that benefits from regional cooperation and harmony, and not from tension and conflict.

The third challenge is how to ease the Asia Paradox, especially so that the region’s economic interdependence is not overshadowed by geopolitical tensions. Overcoming the Asia Paradox is essential in securing Asia’s century as a global growth engine. Unless this problem is resolved, Korea as well as other regional countries will be severely affected.

Korea favors a free and open trade system, and continues to benefit from this. We have signed bilateral FTAs with major economies, including the U.S., the EU and China, and are open to mega-FTAs such as the Trans-Pacific Partnership (TPP), the Regional Comprehensive Economic Partnership (RCEP) and the Free Trade Area of the Asia Pacific (FTAAP).

Last but not least, the fourth challenge is how to equip Korean diplomacy for assuming more global responsibilities. Dr. John Hamre recently wrote about redefining Korea as a global leader. Whether you belong to the realpolitik or liberalist school, I think you will agree that Korea is poised to assume a greater global role. This was clearly demonstrated last month at the UN General Assembly, as my President attended or chaired seven summit-level sessions.

In this hyper-connected world, no country is immune from climate change, epidemic outbreaks such as MERS, cyber threats and the threat of terrorism and violent extremism. Moreover, Korea’s network diplomacy, such as MIKTA, an innovative cross-regional partnership of middle powers, is an effort to contribute to global public goods.

Ladies and gentlemen,

As you have just heard from my remarks, unlike previous times, Korea’s diplomacy is facing multiple complex challenges at the same time. Nevertheless, I believe that we have sufficient experience, networks and capabilities to rise up to them. Indeed, if Korea’s trajectory over past seventy years is a guide, I hope and believe that we will be able to overcome the challenges together with the cooperation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t the outset, I spoke about the triple waves. The eminent historian Edward Gibbon pointed out that, quote, “the winds and waves are always on the side of the ablest navigators,” unquote. We wish to become such able navigators with the benefit of the sharpest minds on the regional and international landscape. So, I truly hope that today, we will have an outpouring of insights, and wish each and every one of you fruitful discussions. Thank you. /끝/

---------------(비공식 국문번역)---------------

윤덕민 국립외교원장님,
미어샤이머 교수님,
왕지스 교수님,
다나카 교수님,
주한 외교단 여러분,
신사 숙녀 여러분,

올해는 국제사회뿐만 아니라 한국에게도 특별한 의미를 갖습니다. 제2차 세계대전 종전 70주년을 맞는 해이자 한국에서는 분단 70년이 되는 해이기도 합니다. 세계는 냉전과 탈냉전기를 거치며 변모를 거듭했고, 한국 역시 그러한 국제적 변화로부터 많은 영향을 받았습니다. 어찌 보면 전세계에서 한국만큼 글로벌 정세의 변화에 밀접하게 연관되었던 국가도 없었습니다.

한국 외교는 그간 이러한 대전환에 적응하고 대응해 왔습니다.
- 우리 정부는 해방 3년 후 유엔의 축복 속에 출범하였습니다.
- 한국전쟁 당시 우리와 함께 싸운 것은 미국이 주도한 유엔사였습니다.
- 전후 개발 시기에 우리가 극심한 빈곤을 극복하는데 도움을 준 것도 우리 스스로의 노력과 함께 국제사회의 원조가 있었기 때문입니다.
- 냉전기 한국외교가 주로 동서간 이념대립에 의해 규정되었다면, 탈냉전기의 환경은 북방외교(Nordpolitik or Northern Diplomacy)에서 드러나는 바와 같이 우리가 더 넓은 지평을 추구할 수 있게 하였습니다.

냉전종식 후 약 4반세기 가까이 흐른 현 시점에서 동북아 뿐만 아니라 전세계의 지정학적·지경학적 환경은 여전히 우리 외교에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전세계와 지역 차원의 모든 변혁의 순간들마다 한국은 엄중한 도전들을 극복하고 심지어 이를 기회로 전환해 왔습니다.
- 우리는 오늘날 굳건한 한미동맹을 바탕으로 더 큰 안정을 누리고 있습니다.
- 우리는 역동적 민주주의는 물론, 수준높은 법치(法治)와 인권을 향유하고 있습니다.
- 우리는 세계 거의 모든 국가들과 우호관계를 맺고 있습니다.
- 우리는 이제 우리의 위상에 걸맞는 방식으로 전세계의 개도국들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역설적으로 우리는 지금 지정학적·지경학적 전환에서 초래되는 새로운 도전들에 직면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도전들은 제가 “3중파고(triple waves)”라고 말씀드린 바 있듯이, 한반도, 동북아, 그리고 전세계 차원에서 동시다발적으로 제기되고 있습니다.

과거 그 어느 때보다, 이러한 도전의 성격이 복합적이고도 다차원적입니다. 동북아 지역에서 우리는 중국의 부상, 일본의 부활, 미국의 아시아 재균형, 러시아의 동방정책, 그리고 북한의 지속적인 도전을 목도하고 있습니다. 역사 및 영토 문제와 같은 전통적 이슈들 뿐만 아니라, 우주, 해양안보, 사이버 위협과 같은 새로운 이슈들이 급속도로 대두되고 있습니다. 나아가, 우리가 아시아 패러독스라고 부르는 것처럼 점증하는 경제적 상호의존성에도 불구하고 정치․안보 측면에서는 협력이 부재하는 부조화 현상이 여전히 계속되고 있습니다.

박근혜 정부의 한국 외교는 많은 제약에도 불구하고 이같은 고차원적 방정식을 풀기 위해 집중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이러한 노력에 힘입어,
- 우리는 오바마 대통령이 최근 언급한 것처럼 그 어느 때보다 강력한 한미 동맹을 만들어 냈습니다.
- 우리는 전략적 협력 동반자관계 하에 중국과 역대 최상의 관계를 맺고 있으며, 러시아와도 우호관계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우리는 한일 국교정상화 50주년을 맞아 일본과도 더 안정적인 관계를 구축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 우리는 유럽연합(EU), 아세안(ASEAN) 국가는 물론, 기타 전세계 여러 국가들과도 매우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 또한 우리는 유엔, 국제해사기구(IMO),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패널(IPCC), 국제재판소들과 같은 국제기구들을 책임지는 핵심인사들도 배출하고 있습니다.

박근혜 대통령은 최근 유엔총회 및 미국 국제전략문제연구소(CSIS)에서의 연설을 통해 한반도, 동북아를 넘어 더 넓은 세계로 뻗어나가는 한국 외교의 지평을 웅변적으로 설명해 주셨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 외교의 새로운 章을 열어가는데 있어 우리 앞에 매우 어려운 도전들이 산적해 있음을 인정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이러한 도전들은 여러분들의 토론에서 주로 다뤄질 예정인 만큼, 오늘 제가 이에 대하여 세세히 논하지는 않겠습니다. 대신 저는 한국외교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요소들에 대하여 단기, 중기, 그리고 장기적 측면에서 간략히 다루어 보고자 합니다.

첫 번째 도전은 북한입니다. 지난 수십년간 북한의 핵‧미사일 프로그램에 의해 제기되어 온 위협을 어떻게 다루어야 할까요? 미얀마, 쿠바, 이란의 경우와 같이 북한이 전략적 셈법을 변화시키도록 어떻게 유도해야할 까요? 독일이 25년 전 달성한 평화통일을 어떻게 실현할 수 있을까요? 북한이 자신은 이란의 경우와 다르고, 이미 핵보유국일 뿐만 아니라, 한국의 통일 노력은 흡수통일을 위한 은폐된 시도에 불과하다고 주장함에 따라 이러한 과제들은 더욱 복잡해지고 있습니다.

두 번째 도전은 신뢰가 매우 부족하고 역내 협력의 습관이 결여되어 있는 동북아에서 어떻게 지속가능한 평화와 협력을 구축해 나갈 것인가 하는 문제입니다.

분명한 것은 역내 국가들 간의 양자관계가 이러한 과제에 있어 핵심요소라는 점입니다. 무엇보다도 미중관계가 중요합니다. 여기서 우리는 경쟁과 협력의 요소를 모두 발견할 수 있는데, 중요한 것은 우리가 제로섬적 또는 운명론적 사고의 함정에 빠져서는 안 된다는 점입니다.

일본의 전후 새로운 질서의 추구는 또다른 중요한 요인이며, 그러한 움직임이 최종적으로 어떤 형태로 나타나느냐 하는 문제는 이웃국가들과의 관계를 포함하여 동북아 지역 전체는 물론 그 너머에까지 영향을 미칠 것입니다.

통일 이전의 독일과 같이 한국은 통일을 향한 여정에 있어 모든 주변국가들과 우호적 관계를 발전시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한국은 미․중(美․中) 모두와 좋은 관계를 유지하는 몇 안 되는 국가들 중 하나입니다. 이는 확실히 이 지역에서 한국의 전략적 공간을 확대시키는데 도움이 됩니다.

그러나 좋은 양자관계 만으로는 충분치 않습니다. 우리는 지역 및 소지역 차원에서 협력의 습관을 배양해야 합니다. CSIS의 빅터 차 박사는 한국의 이러한 야심찬 삼각외교를 “triplomacy”라고 명명한 바 있습니다. 한국은 한미일 관계뿐만 아니라 한일중 관계 강화에도 주도적 역할을 하였습니다. 앞으로는 한미중간 3자 대화의 길도 열어나갈 것입니다.

동북아에는 유독 지역 협력 메커니즘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동북아평화협력구상(NAPCI)은 이를 개선하고자 하는 노력의 일환입니다. 요컨대, 한국은 역내 긴장과 갈등이 아니라 협력과 조화에서 혜택을 받는 국가입니다.

세 번째 도전은 아시아 패러독스를 어떻게 해소할 것인가 하는 문제로서, 특히 지역의 경제적 상호의존성이 지정학적 긴장에 의해 침해되지 않도록 하는 것입니다. 아시아 패러독스의 극복은 글로벌 성장엔진으로서 아시아의 세기(Asia century)를 확보해 나가는데 필수적입니다. 이 문제가 해소되지 않는다면, 한국 뿐만 아니라 여타 역내국가들도 심각한 영향을 받게 될 것입니다.

한국은 자유롭고 개방된 무역 시스템을 지지하며, 이로부터 계속적으로 이익을 얻고 있습니다. 한국은 미국, EU, 중국을 포함하여 주요 국가들과 양자 FTA를 체결하였으며,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TPP),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CEP), 아시아태평양자유무역지대(FTAAP)와 같은 광역 FTA에 대해서도 열린 자세를 갖고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네 번째 도전은 더 큰 글로벌 책임을 수행하기 위해 한국 외교가 어떻게 준비해야 할 것인가입니다. 존 햄리 박사는 최근 한국을‘글로벌 리더’라고 재정의하는 글을 기고한 바 있습니다. 여러분이 현실주의자이든 자유주의자이든 간에, 저는 여러분께서 한국이 글로벌 무대에서 더 큰 역할을 맡을 준비가 되어있다는 데에 동의하리라 생각합니다. 이는 지난달 유엔총회에서 우리 대통령께서 7개의 정상급 행사에 참석하거나 주재하신 데서 분명히 드러났습니다.

오늘과 같이 상호 밀접하게 연계된 세상에서, 그 어떤 국가도 기후변화, MERS와 같은 전염병의 발발, 사이버 위협 및 테러리즘과 폭력적 극단주의의 위협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합니다. 이러한 맥락에서 중견국간의 혁신적인 지역간 파트너십인 믹타와 같은 한국의 네트워크 외교는 글로벌 공공선에 기여코자 하는 노력의 일환이라 하겠습니다.

신사 숙녀 여러분,

앞서 말씀드린 바와 같이, 한국외교는 지금 과거와는 달리 다양하고 복잡한 도전들을 동시에 직면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저는 우리가 이러한 도전들에 맞서는 데 있어 충분한 경험과 네트워크, 능력을 보유하고 있다고 믿습니다. 지난 70년간 한국이 걸어온 길을 따라 계속 나아간다면, 우리는 국제사회와 함께 협력하며 도전들을 극복해 나갈 수 있을 것입니다.

서두에 저는 3중 파고에 대해 언급한 바 있습니다. 저명한 역사학자인 에드워드 기번은 “바람과 파도는 언제나 가장 유능한 항해사의 편이다”라고 말했습니다. 우리는 지역 및 국제질서의 지형에 대한 냉철한 마인드를 토대로 이처럼 유능한 항해사가 되기를 희망합니다. 끝으로, 오늘 혜안이 담긴 많은 의견들을 나누며 여러분 모두에게 생산적인 토론이 이루어지길 기원합니다. 감사합니다.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