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연설문

북대서양이사회 연설

작성일
2016-10-07 10:38:00
조회수
8356

Thank you Sandy,
Distinguished Representatives,

Today I am privileged to make my debut here at the North Atlantic Council, the principal decision-making body of NATO. NATO, together with the Korea-US Alliance, is the oldest and most successful political and military alliance in the post-war era.

Adding to my pleasure today are the roles of my good friends Ambassador Vershbow and General Scaparrotti, who are leading NATO’s political and military arms. They served in Korea with distinction as Ambassador and Commander of the USFK, and their current and past capacities symbolize and demonstrate the natural link between Korea and NATO.

Indeed, back in February, I pointed out the commonalities between Korea and NATO in my address to the German Atlantic Association in Munich. Taking this opportunity today, I would like to elaborate further on our partnership. As Secretary-General Stoltenberg gave an impressive lecture at Harvard’s Kennedy School titled the “Three Ages of NATO” just two weeks ago, I will set out to you the three stages of the Korea-NATO partnership: The past, the present and the future.

The first stage is our historical links based on shared values. This year marks the tenth anniversary of Korea-NATO partnership. In fact, our ties date back to the Korean War in 1950, just a year after NATO’s creation. Eleven of the twelve NATO members fought to defend the two-year old fledging Republic of Korea.

Ever since the beginning of the Cold War, NATO and the Korea-US Alliance have been on the front lines of the free world on either side of Eurasia, as trans-Atlantic and trans-Pacific alliances respectively. We stood together in defense of democracy, freedom and the rule of law, values enshrined in the North Atlantic Treaty.

The second stage is our current partnership for global peace and stability.

Among NATO’s missions beyond its borders, Korea is already standing shoulder to shoulder on land and in the oceans in three missions from Africa to Central Asia.

- In Afghanistan, we sent our forces to reinforce the NATO-led ISAF and operated our own PRT (Provincial Reconstruction Team). Financially, as Ambassador Vershbow said, we have contributed 500 million U.S. dollars during the period of 2011 through 2016 in Afghanistan. Indeed, in Warsaw last July and here just yesterday, Korea freshly pledged additional 255 million U.S. dollars in Afghanistan.

- In Somalia, Korea has dispatched twenty-two rotations of Cheonghae (Blue Sea) Naval Units to assist “Operation Ocean Shield” to combat piracy.

- In Libya, during NATO’s “Operation Unified Protector,” this same Cheonghae Unit evacuated some eighty citizens of five European countries.

The third stage of our relationship is our evolving partnership for new horizon issues.

- As regards terrorism and violent extremism, no country is immune from them. These rising threats have swept through Europe, Middle East and are now advancing to Asia.

It is with this sense of crisis that my government has supported over fifty million U.S. dollars for the stabilization of Iraq and Syria. We are also actively taking part in the Global Coalition to Counter ISIL. Korea and NATO can deepen cooperation to defeat terrorism and violent extremism.

- Next, cyber security, along with nuclear, maritime and space security, is yet another domain where we have special common stakes The 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s Union (ITU) warned that should a third world war break out, it would be a cyber-war.

Korea has accumulated a high degree of defense capabilities and experience against cyber-attacks. We are already partnering with a dozen countries on cyber security issues, including four NATO members. In this sense, I look forward to the launch of the first Korea-NATO Cyber Defense Consultative Meeting before the end of this year.

Distinguished colleagues,

As we are endeavoring for the full-scope partnership between Korea and NATO, we are faced with a daunting common challenge. That is North Korea. Let me highlight four key messages on this issue.

My first key message for you today is the gravity and urgency of the North Korean nuclear and missile programs. The very unpleasant truth is that North Korea is now nearing the final stage of nuclear weaponization.

Let me elaborate. The magnitude and frequency of North Korea’s nuclear tests as you saw this year was a major departure from previous ones. On top of this, Pyongyang has fired twenty-two ballistic missiles of various types this year. When you add plutonium reprocessing, this makes at least twenty-five violations of UN Security Council resolutions by North Korea this year alone. Moreover, Pyongyang has openly and repeatedly made clear its intention to preemptively use these weapons.

Now, North Korea is advancing ICBM and SLBM capabilities at an alarming pace. As U.S. JCS (Joint Chiefs of Staff) General Dunford pointed out recently, Pyongyang is becoming a direct threat even to the continental United States.

When I say North Korea is aiming at North America, it means Europe is already within range. A threat and attack against the United States is a threat and attack against the entire NATO fighting under the banner of “all for one, one for all.”

This is why my President stated that North Korea’s nuclear and missile threats are like a dagger against our throats. If we do not put a brake on North Korea’s nuclear ambition today, we will come to regret it tomorrow. This is our last chance. Imagine Kim Jong Un, this young leader’s fingers on the nuclear button; this would be a nightmarish scenario.

My second message for you is that we need to take an extraordinary response to these extraordinary circumstances. Our past milestone deals made through denuclearization dialogue have unfortunately allowed Pyongyang to cheat us and buy more time to accelerate their nuclear weapons program. We should remind ourselves that it was North Korea that rejected dialogue and resorted to reckless provocations for the last two decades.

Indeed, just two weeks ago at the UN General Assembly, North Korea’s Foreign Minister even stated in front of the 193 member states of the UN that, and I quote, “Going nuclear armed is the policy of our state,” unquote. Pyongyang wants recognition as a nuclear state from the international community. But once it secures this, it will then unleash its nuclear blackmails.

As long as North Korea is so determined for nuclearization like the North Korean Foreign Minister’s remarks, the international community should stand firmly together with military deterrence and coercive diplomacy.

My third message for you is that in order to resolve the North Korean nuclear conundrum we need a holistic approach. In other words, it is inseparable from a host of North Korea-related issues, such as human rights violations, overseas slave labor and information black-out inside North Korea.

On North Korea’s human rights, the awakening momentum brought by the Commission of Inquiry (COI) report of 2014 has resonated in the UN Human Rights Council, UN General Assembly and even the UN Security Council. All of these developments would not have been possible without the EU’s leadership.

Finally, we should make North Korea realize that it is facing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s a whole. Following the latest nuclear test by Pyongyang last month, some 110 countries and international bodies, including NATO itself, condemned North Korea. Included in this tally is the rare statement by His Holiness the Pope, the religious leader of some 1.2 billion Catholics. The IAEA’s 168 members also adopted by consensus the strongest ever condemnation resolution on the DPRK’s nuclear provocations.

As I speak, the UN Security Council is now discussing additional comprehensive sanctions that will reinforce and augment the current measures. We need to close the loopholes in the UN Security Council Resolution 2270 and further beef up the existing sanctions.

As you recall, the recent UN Security Council press statement invoked Article 41 of the UN Charter. Now is the time to seriously consider taking more resolute measures on relations with North Korea, as stipulated in Article 41. Just a few days ago, a senior U.S. official echoed this through a statement that called for the cutting off and downgrading diplomatic relations with Pyongyang. NATO members may wish to join this new global chorus.

Distinguished colleagues,

To effectively deter North Korea’s blind pursuit for nuclearization, coercive diplomacy alone is not sufficient. It should be backed up by reliable military deterrence.

Looking back, NATO started out with the “massive retaliation” strategy in the age of “balance of terror.” The “flexible response” doctrine followed and then came the current deterrence strategy, employing an appropriate mix of nuclear, conventional capabilities and missile defense.

The Korea-US Alliance has also progressively upgraded credible deterrence with the spirit of “fight tonight.” Starting from nuclear umbrella in the 1970’s, the alliance has developed an extended deterrence mechanism comprising of the nuclear umbrella, conventional strike capabilities and missile defense, under the overarching principle of denucleariz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It is now advancing into a more concrete form under the “Tailored Deterrence Strategy (TDS),” reflecting the unique security landscape on the Korean Peninsula. Recently, the U.S. commitment on extended deterrence was reaffirmed at the highest level by President Obama himself in the wake of North Korea’s fifth nuclear test.

As Korea and NATO have each maintained their own unique systems, I believe Korea and NATO can share best practices in optimizing our respective deterrence mechanisms.

To this end, we could make use of existing Korea-NATO consultative bodies and expand our cooperation in this area as well.

Dear colleagues,

It is my hope that my presentation this morning has rekindled awareness on the gravity and urgency of the North Korean threat and the great potential of Korea and NATO as reliable partners.

NATO’s prime objective of preventing another conflagration in Europe has been more or less met through the unification of Germany. In the same vein, the ultimate remedy vis-à-vis the immense challenge posed by North Korea would be the unification of Korea.

For Korea, NATO is Korea’s valuable partner on the path to Korean unification. And, I am confident that a unified Korea will be a much more reliable partner for NATO.

That, in essence, is my message today. Thank you very much. /END/


-------------------(비공식 번역본)-------------------




버시바우 NATO 사무차장님,
회원국 대사 및 대표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저는 오늘 이곳 북대서양조약기구 (NATO)의 최고의사결정기구인 북대서양이사회에 처음 방문하게 된 것을 영광스럽게 생각합니다. NATO는 한미동맹과 함께 전후 가장 오래되고 성공적인 정치·군사 동맹입니다.

특히, 저의 오랜 친구이자 동료인 버시바우 대사님(NATO 사무차장)과 스캐퍼로티 사령관님이 NATO의 정치와 군사 양 부문을 이끄는 역할을 맡고 계셔서 더욱 기쁩니다. 한국에서 대사와 주한미군 사령관을 역임하면서 뛰어난 업적을 세우신 두 분은 바로 한국과 NATO간의 긴밀한 유대(natural link)를 상징적으로 보여주고 계십니다.

실제로 저는 지난 2월 뮌헨의 독일-대서양협회에서 한국과 NATO간 공통점에 대해 말씀드린 바가 있습니다. 오늘 이 자리를 빌어 우리의 파트너십에 대해 상세히 말씀 드리고자 합니다. 불과 2주일전 하버드 케네디 스쿨에서 스톨텐베르그 사무총장님이 ‘NATO의 3단계 인생’이라는 주제로 훌륭한 강의를 해주셨듯이 저도 한-NATO 파트너십을 과거, 현재, 미래 3단계로 나누어 말씀드리고자 합니다.

첫 번째 단계는 공통의 가치에 바탕을 둔 한-NATO간의 역사적 연계입니다. 올해는 한-NATO 파트너십 설립 10주년입니다. 그러나 한-NATO 관계의 기원은 NATO 창설 이듬해인 1950년 한국전쟁으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당시 12개 NATO 창설국 중 11개국이 두 돌을 갓 맞은 신생국 한국을 지키기 위해 함께 싸웠습니다.

냉전 발발 이래 유라시아 대륙 양 끝단에서 NATO는 범대서양동맹(trans-atlantic)으로서, 한미동맹은 범태평양동맹 (trans-pacific)으로서 자유진영의 최전선에서 민주주의, 자유, 법의 지배 등과 같은 북대서양조약에 명문화된 가치를 수호하기 위해 함께 싸워 왔습니다.

두 번째 단계는 글로벌 평화와 안정에 기여하는 현재의 파트너십입니다.

한국은 이미 아프리카부터 중앙아시아까지, 육상과 해상을 넘나들며 NATO가 수행중인 역외 임무 중 3개 지역에서 함께 어깨를 맞대고 협력해왔습니다.

- 한국은 NATO 주도의 국제안보지원군(ISAF)에 파병하여 아프간 지방재건팀(PRT)을 운영하였습니다. 재정적으로도 2011년부터 2016년까지 아프간 군경 역량 강화 및 경제사회 개발을 위해 5억불을 지원하였습니다. 또한, 어제 1.2억불을 추가 서약하여, 지난 7월 1.35억불 공약과 함께 총 2.55억불을 아프가니스탄에 추가로 지원하기로 하였습니다.

- 소말리아에서는 한국은 2009년부터 22진의 청해부대를 파견하여 해적퇴치를 위한 NATO의 작전(Operation Ocean Shield)을 지원하였습니다.

- 리비아에서는 NATO의 리비아 공습 작전(Operation Unified Protector)때 바로 그 부대인 청해부대가 파견되어 유럽 5개국 80여명의 민간인을 소개하였습니다.

한-NATO 관계의 세 번째 단계는 새로운 지평의 사안들에 대응하는 진화하는 파트너십이니다.

- 테러리즘과 폭력적 극단주의의 경우, 어떤 나라도 이들로부터 안전하지 못합니다. 이러한 새로운 위협은 유럽과 중동을 넘어 아시아로 동진해오고 있습니다.

이러한 위기 의식하에 우리 정부는 이라크와 시리아의 안정화를 위해 5천만불 이상을 지원해 왔습니다. 또한, 한국은 반ISIL 국제연대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습니다. 한국과 NATO는 테러 및 폭력적 극단주의 격퇴를 위해 상호간 협력을 심화할 수 있을 것입니다.

- 그 다음으로, 사이버안보는 핵, 우주, 해양안보와 더불어 한국과 NATO가 이해를 공유하는 새로운 분야입니다. 국제전기통신연합(ITU)은 제3차 세계대전이 발발한다면, 이는 사이버전이 될 가능성이 높다고 경고한 바가 있습니다.

한국은 사이버 공격에 대비하여 높은 수준의 방어 역량과 경험을 축적해 왔습니다. 또한, 한국은 4개 NATO 회원국을 포함 10여개국과 사이버안보 관련 협력을 맺고 있습니다. 이러한 맥락에서, 금년내 NATO와의 제1차 사이버 방위 협의회가 개최되길 기대합니다.

내외 귀빈 여러분,

한국과 NATO가 전면적 협력관계를 추구하는 가운데, 우리는 심각한 공통의 안보 위협에 직면해 있습니다. 바로 북한입니다. 이에 대해 저는 4가지 메시지를 강조하고자 합니다.

저의 첫 번째 메시지는 북한 핵 및 미사일 프로그램의 심각성과 시급성입니다. 불편한 진실은 이제 북한이 핵무기화 과정의 마지막 단계에 근접하였다는 것입니다.

보다 자세히 말씀드리자면, 여러분들도 보셨던 금년 북한 핵실험의 규모와 실험주기는 기존의 핵실험과는 차원이 달랐습니다. 뿐만 아니라, 북한은 금년에 22발의 각종 탄도미사일을 발사하였습니다. 여기에 플루토늄 재처리까지 합치면 북한은 올해에만 안보리 결의를 무려 25회 위반하였습니다. 더욱이, 북한은 공개적으로 그리고 반복해서 이러한 무기를 선제적으로 사용하겠다고 명백히 밝혔습니다.

북한은 지금 놀라운 속도로 ICBM과 SLBM 능력을 고도화하고 있습니다. 던포드 미 합참의장이 지적한대로, 북한은 미 본토의 직접적인 위협(direct threat)이 되어 가고 있습니다.

북한의 미사일이 미국을 향하고 있다면, 유럽은 이미 그들의 사정거리 안에 있습니다. “모두를 위한 하나, 하나를 위한 모두”라는 기치 아래 싸우고 있는 NATO에게 미국에 대한 위협과 공격은 곧 NATO 모두에 대한 위협과 공격이기도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 대통령께서도 현재 북한의 핵·마시일 위협은 턱밑의 비수와 같다고 하셨습니다. 오늘 북한의 핵야욕을 꺾지 못한다면 내일 후회하게 될 것입니다. 지금이 마지막 기회입니다. 젊은 지도자인 김정은이 핵미사일 발사 버튼에 손가락을 얹고 있는 상황은 악몽과 같은 시나리오가 될 것입니다.

여러분께 두 번째로 말씀드리고자 하는 메시지는 예외적 상황에서는 그에 걸맞은 특단의 대응이 필요하다는 점입니다. 과거 북한과의 기념비적인 협상은 유감스럽게도 북한이 우릴 기만하고 자신들의 핵 프로그램을 고도화 시킬 시간 벌이에 악용되었습니다. 우리는 바로 북한이 지난 20여년간 대화를 거부하고 무모한 도발을 지속했다는 사실을 잊지 말아야 합니다.

실제로, 바로 지난 2주전 유엔 총회에서 북한의 외무상은 193개 유엔회원국 앞에서 “핵무장은 국가노선”이라고 발언한 바 있습니다. 북한은 지금 국제사회로부터 핵보유국 지위를 인정받고자 하며, 여사한 지위를 확보하는 순간 핵공갈로 우리를 위협할 것입니다.

북한 외무상의 발언과 같이 북한이 계속해서 핵보유를 고집한다면, 국제사회는 이에 다같이 단호하게 맞서 강력한 군사적 억제 및 대북 압박을 해야 합니다.

여러분께 드리는 세 번째 메시지는 북핵이라는 난제 해결을 위해서는 총체적인 접근이 필요하는 점입니다. 다시 말해, 북핵 문제는 북한 인권 침해문제, 북한 해외노동자 문제, 북한 내부로의 정보유입 등과 같은 북한 문제로부터 분리될 수 없습니다.

북한 인권문제와 관련하여, 2014년 발표된 북한인권조사위원회 보고서가 불러온 파장은 공감대를 형성했고, 이제 북한 인권문제가 유엔인권이사회, 유엔총회, 심지어 유엔안보리에서 논의되고 있습니다. EU의 지도력이 없었다면 이러한 진전은 이루어질 수 없었을 것입니다.

마지막으로, 북한으로 하여금 “국제사회 對 북한”이라는 구도가 공고해 지고 있음을 직시하도록 하여야 합니다. 금번 5차 핵실험 이후 NATO를 포함한 약 110여개 국가 및 국제기구가 북한을 규탄했습니다. 여기에는 12억 7천만 가톨릭을 대표하는 교황도 포함됩니다. 168개 IAEA 회원국도 북한의 핵 도발에 대하여 가장 강력한 규탄 결의를 컨센서스로 채택하였습니다.

지금 제가 말씀을 드리는 이 순간에도 유엔안보리는 기존 2270호를 강화하고 증대시키는 포괄적인 추가 제재 조치를 논의하고 있습니다. 결의 2270호의 빈틈을 막고, 기존 제재 조치를 더욱 확대‧강화해야 할 것입니다.

주지하시다시피, 금번 유엔 안보리 성명에는 유엔 헌장 41조를 원용하였습니다. 이제는 41조에 명시되어 있는대로 북한의 외교관계에 대해 보다 단호한 조치를 고려할 때입니다. 불과 며칠전에 미 고위 당국자는 북한과의 외교관계 단절 또는 축소를 언급하는 발언을 통해 이에 공감한 바가 있습니다. NATO 회원국 여러분들도 이와 같은 새로운 글로벌 노력에 동참하실 것으로 기대합니다.

회원국 대사 여러분,

북한의 맹목적인 핵개발을 효과적으로 저지하기 위해서는 외교적 압박만으로는 충분치 않습니다. 신뢰할 수 있는 군사적 억제가 반드시 뒷받침되어야 합니다.

NATO의 경우, ‘공포의 균형’ 시기 ‘대량보복전략’에서 ‘유연반응전략’을 거쳐 현재의 핵, 재래식 및 미사일방어의 적절한 배합(appropriate mix)에 기반한 억제 전략으로 발전해 왔습니다.

한미동맹 역시 굳건한 상시전투태세(fight tonight)를 유지하며 그간 점진적으로 억제력을 발전시켜 왔습니다. 1970년대 핵우산에서 출발해, 한미동맹은 한반도 비핵화라는 대원칙 하에서 핵우산, 재래식 타격 능력, 미사일방어를 포괄하는 확장억제로 발전하였습니다.

그리고 가장 최근에는 한반도 안보환경의 특수성을 반영한 “맞춤형 억제전략(TDS)”으로 발전되었습니다. 최근 북한의 5차 핵실험 직후 Obama 대통령 자신이 직접 미국의 강력한 확장억제 의지를 최고위급 차원에서 확인했습니다.

한국과 NATO가 각자 독자적 체제를 유지해온 만큼, 한국과 NATO가 각자의 억제 메커니즘을 최적화하는데 서로 최적의 경험(best practices)을 공유할 수 있다고 믿습니다.

이를 위해 기존의 한-NATO간 정책협의회를 활용하고 이 분야에서도 협력을 확대시킬 수 있으리라 생각됩니다.

회원국 대사 여러분,

오늘 아침 이 자리에서 저의 발표가 북한 위협의 심각성과 시급성에 대해 경종을 울리고 든든한 동반자로서 한-NATO 관계의 커다란 잠재력을 확인할 수 있는 기회가 되었기를 희망합니다.

유럽에서 또 다른 전쟁의 참화를 예방한다다는 NATO의 주목표는 독일 통일을 통해 어느 정도 달성되었습니다. 마찬가지로, 북한 문제라는 거대한 도전의 궁극적 해결은 한반도 통일일 것입니다.

NATO는 통일로 가는 길에 있어 한국의 중요한 동반자입니다. 그리고 통일 한국은 NATO의 보다 더 신뢰할 수 있는 동반자가 될 것이라 확신합니다.

이상입니다. 대단히 감사합니다.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