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연설문

제71차 유엔의날 연설

작성일
2016-10-24 18:33:00
조회수
9804

유엔한국협회 주최 제71차 유엔의 날 기념 오찬


Former Prime Minister Lee Hong-koo,
Former Foreign Minister Yoo Jong-ha,
Ambassador Park Soo-gil,
Ambassador Lee Ho-jin,
Distinguished members of the diplomatic corps,
Ladies and Gentlemen,

It is my great privilege to have all of you here today as we celebrate the 71st anniversary of the UN. This is my third time as Foreign Minister to join the UN Day celebrations. This illustrates my special affection for the UN and multilateral diplomacy which is now playing a more prominent role in the formation of contemporary international order.

This year also marks the 25th anniversary of Korea’s membership in the UN. I cherish the fond memories of those days when I worked at our UN Observer Mission day and night together with my seniors, including those who are present here today, to chart a new path in our post-Cold War diplomacy. I still feel proud that I was part of the history making when we removed the word “observer” from our mission plate and hoisted our national flag in the UN compound in 1991.

Ever since, Korea has been an active contributor and participant in the UN’s efforts to realize the vision of achieving its three pillars – peace and security, development and human rights – and to address numerous global challenges.

As a result, I would say that multilateral diplomacy is now enjoying its prime time in Korea. Robust global diplomacy is indeed one of the most distinct features of the Park Geun-hye administration's foreign policy.

In fact, during the past three and a half years, Korea served on the Security Council, Human Rights Council and ECOSOC, representing all three key pillars of the UN. This year alone, we assumed a record number of presidencies of the main organs of as many as ten international organizations or groupings.

The recent appointment of Kang Kyung-hwa as head of the transition team for the next UN Secretary-General, as UN Secretary-General Ban Ki-moon passes the torch to his successor, also illustrates the high expectatio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holds for Korea’s role as a global player.

For my part, over the past two months, all but one trip I made were multilateral events. They include the 71st UN General Assembly, the Brussels Conference on Afghanistan, the North Atlantic Council of NATO, ASEAN Summit and the EAS in Laos and the G20 Summit in Hangzhou. For the rest of this year too, my diary is full of multilateral diplomacy.

Indeed, my keynote speeches at seven major events held during the recent UN General Assembly, which is an unusually high number, reflect Korea’s active participation in a broad range of global agendas, such as sustaining peace, disarmament and nonproliferation,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SDGs), refugees, and human rights.

To be more specific, development cooperation and humanitarian diplomacy are signature priority areas for the Park Geun-hye administration.

In particular, my government launched four major development initiatives focusing on education, women empowerment, science and technology and rural development over the last year. We have also been increasing our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ODA) at an average rate of 10.2 percent during the past ten years, which is the highest among OECD Development Assistance Committee (DAC) members.

With regard to humanitarian diplomacy, I took part in the Leaders’ Summit on refugees during the UN General Assembly and the recent ministerial conference on Afghanistan held in Brussels. I pledged very significant financial contributions to support refugees in many parts of the world and the socio-economic development of Afghanistan, respectively. These are in addition to our ongoing humanitarian assistance for Syria and Iraq.

As a country which has lived through an internecine war, Korea is taking an active part in the UN’s efforts for peace-building and conflict prevention. We have thus far dispatched 14,300 men and women to UN peacekeeping operations. As I speak, we are engaged in six PKO missions, including in Lebanon and South Sudan.

Aside from making continued efforts to increase our financial contributions in this area, I co-hosted the High-level Pledging Conference for the UN Peace-building Fund, which was held on the sidelines of this year’s UN General Assembly. Korea is also currently serving as a Vice-Chair of the UN Peace-building Commission (PBC).

Distinguished guests,

As this year marks the 25th anniversary of simultaneous admission of both Koreas, it is with mixed and heavy feelings that we look back on the track record of the two Koreas. There could be no starker contrast.

President Obama aptly pointed out in his recent UN General Assembly address that one has come to the path of success, while the other has become a wasteland. If the South has been a peace promoter, development model, and advocate of human rights, the North has been on the opposite extreme: It has been a peace destabilizer, economic disaster, and abuser of human rights.

When the two Koreas were admitted in the UN in 1991, the North pledged before the august body that it would abide by the UN Charter. But just two years after admission, Pyongyang declared its withdrawal from the NPT and started down the nuclear path single-mindedly.

Since early this year, North Korea conducted two nuclear tests and fired twenty-four ballistic missiles of all types. When you add reprocessing, this constitutes at least twenty-seven manifest violations of relevant UN Security Council resolutions by North Korea this year alone. This is unprecedented in the history of the UN. Moreover, Pyongyang has openly and repeatedly made its intention clear that it will actually use these weapons against its foes.

Now, with the historic agreement on the Iranian nuclear issue, the North Korean nuclear program is practically the only perennial nonproliferation agenda being discussed at the UN Security Council.

When the UNSC adopted the strongest-ever sanctions resolution 2270 on North Korea in March, it represented the strong unity and solidarity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I was able to witness this sense of unity at the recent UN General Assembly, North Atlantic Council and Korea-U.S. 2+2 Foreign and Defense Minister’s Meeting. So let me elaborate.

First, there is shared perception on the urgency and gravity of North Korea’s nuclear and missile threats. As mentioned by my President, it is like a dagger at our throat. For us, every day is like the Cuban missile crisis. This assessment was echoed by my good colleague U.S. Secretary of State John Kerry at the 2+2 Meeting last week. The North Korean threat has now gone beyond South Korea and the region – it is now becoming a direct threat to continental United States. as well as Europe and other parts of the world.

Second,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lso concurs that the current extraordinary circumstances call for extraordinary responses. Half-baked measures cannot work any longer. With hindsight, unfortunately, we came to learn that our past milestone agreements and understandings have all been exploited by North Korea to deceive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nd to buy time for the advancement of its nuclear and missile programs. It is no wonder that President Obama and high-level officials as well as many opinion leaders in the United States are consistently stressing, including during my visit to Washington last week, that premature dialogue with North Korea will only validate Pyongyang’s wrongdoing.

Now is the time for the international community to cut off this vicious cycle, and instead of repeating failed or ineffective policies, send an unequivocal message that the so-called dual pursuit of nuclear weapons and economic development cannot work. Simply put, it cannot have the cake and eat it too. As my president emphatically spoke this morning at the National Assembly, my government together with the international community will make every effort to leave North Korea with no other option but to denuclearize through stronger sanctions and pressure.

It is in this context that we are mobilizing three-pronged diplomatic pressures that include Security Council resolutions, unilateral sanctions, and diverse forms of global pressure.

What is noteworthy is the new trend of globalized pressure. Recently, voices calling for the severance or downgrading of diplomatic relations vis-à-vis North Korea are on the rise. For instance, at the last UN General Assembly, the Vice President of Botswana declared before all UN member states that North Korea does not deserve to be a peace-loving member of the UN and reminded them that his country severed diplomatic relations with North Korea, echoing my statement the previous day.

In the same vein, the U.S. revealed that it has recently instructed its embassies to request their host governments to take additional measures to downgrade their diplomatic relations with North Korea. And at the 2+2 Meeting in Washington D.C. last week, Korea and the U.S. decided to encourage third countries to review the full scope of their ties with North Korea.

Third, the international community shares the view that we must take a holistic approach.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 is inseparable from the larger North Korean problem such as human rights violations and information black-out inside North Korea.

As you are aware, the Commission of Inquiry (COI) report in 2014 brought to the fore the systematic, widespread and gross human rights violations committed by the North Korean leadership. The fact that this is addressed not only at the UN Human Rights Council but also at the UN General Assembly and even the Security Council attests to the gravity of the issue.

Today, we live in an age of greater accountability. In this regard, I stressed three points in my keynote speech at the UN General Assembly last month: that international human rights mechanisms must take more robust measures; that we need to sharpen our focus on the human rights situation of North Korean workers abroad; and that the international community should pay greater attention to the yearnings of North Koreans for freedom and human dignity. In particular, I expect that the human rights issues related to North Korean workers abroad will be discussed intensively at the UN in the near future.

Distinguished guests,

I have just stressed the need for extraordinary responses. Yet the three-pronged diplomatic pressure I mentioned may be a necessary condition, but it may not be a sufficient condition per se.

In the face of unprecedented threat posed by North Korea’s nuclear and missile programs, diplomatic pressure and military deterrence, like the two blades of a pair of scissors, must be in full sync to be effective.

This was the reason I flew to Washington D.C. last week to have the Foreign and Defense Ministers’ Meeting with the United States. Just before my trip to D.C., I also flew to Brussels to meet with the NATO Secretary-General and also give a special address to the North Atlantic Council where I proposed for an exchange of best practices regarding extended deterrence. In this connection, the agreement to establish the High-level Extended Deterrence Strategy and Consultation Group (EDSCG) at the 2+2 Meeting is significant and timely.

The combined capabilities and channels will enable comprehensive and coordinated measures at the strategic and policy dimension as well as effective mobilization of what we call DIME, including Diplomacy, Information, Military and Economic sanctions related elements of deterrence. The EDSCG will serve as another pillar which will undergird the Alliance, along with the already existing three high-level consultative bodies on North Korea, economy and civilian nuclear cooperation, all of which were installed under the Park Geun-hye government.

Distinguished guests,
Ladies and Gentlemen,

As you can assess from what I said, two daunting tasks are before my country. One is to play an increasing global role commensurate with the high expectations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The other is to overcome the pressing challenge posed by North Korea and achieve durable peace.

Just as the UN contributed to the independence of Korea some 70 years ago, I believe the UN will be a good partner in bringing peace and security as well as unification on the Korean Peninsula. For its part, my government is ready to play its constructive role in the UN’s efforts to overcome the daunting global challenges.

In this regard, I am proud that Secretary-General Ban Ki-moon has done a great job over the past decade. All of you will agree with me that Secretary-General Ban has greatly strengthened the role and status of the UN by contributing to addressing the unprecedented global challenges of our times, such as climate change and sustainable development.

Likewise, we must carry the torch forward in addressing the numerous challenges before us. Having said that, let me close by quoting from Secretary-General Ban’s second acceptance speech in 2011. I quote, “Together, no challenge is too large. Together, nothing is impossible,” unquote. Thank you very much. END.



---------------------------------------(비공식 국문번역본)---------------------------------------



이홍구 전 총리님,
유종하 전 장관님,
박수길 대사님,
이호진 유엔한국협회 회장대행님,
주한 외교사절 여러분,
그리고 신사 숙녀 여러분,

[UN 가입 25주년 및 한-UN 관계 조명]

제71차 유엔의 날을 맞아 이 자리에 계신 여러분과 함께 하게 된 것을 기쁘게 생각합니다. 금번이 외교장관으로서 세 번째 유엔의 날 행사 참석인데, 이는 현 국제질서 형성에 그 어느 때보다 두드러진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유엔과 다자외교에 대한 저의 특별한 애정을 보여주는 것입니다.

주지하시듯이 올해는 또한 한국의 유엔 가입 25주년이기도 합니다. 제 개인으로서는 탈냉전기 우리 외교의 새로운 길을 개척해 나가기 위해 오늘 여기 계신 선배님들과 주유엔옵저버대표부에서 밤낮으로 함께 일했던 당시의 소중한 기억을 간직하고 있습니다. 특히, 1991년 우리 대표부 간판에서 “옵저버”라는 단어를 떼어내고 유엔 본부에 우리의 국기를 게양하는 역사 창조에 동참했던 것을 자랑스럽게 여기고 있습니다.

그후로 우리는 평화안보, 개발, 인권이라는 유엔헌장의 3대 비전을 실현하고 수많은 글로벌 도전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유엔의 노력에 적극적으로 기여하고 동참해 왔습니다.

그 결과 한국의 다자외교는 지금 전성기를 누리고 있다고 감히 말씀드릴 수 있고, 능동적인 글로벌 외교는 박근혜 정부 외교정책의 가장 뚜렷한 특징 중 하나입니다.

지난 3년 반 동안 한국은 유엔의 3대 핵심축을 대표하는 안전보장이사회, 인권이사회, 경제사회이사회의 이사국을 모두 역임하였거나 역임하고 있습니다. 올해에만 우리는 역대 가장 많은 10개 국제기구 내지 협의체의 의장국을 수임하였습니다.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이 후임자에게 사무총장직을 인계하는 시점에, 강경화 사무차장보가 차기 사무총장 인수위원장으로 임명된 것은 한국의 글로벌 역할에 대한 국제사회의 높은 기대를 보여주는 또 하나의 사례입니다.

제 자신도 지난 2개월간의 국외출장 중 지난 주 워싱턴 방문을 제외하고는 모두 다자행사 참석을 위한 출장이었습니다. 제71차 유엔 총회, 아프가니스탄 관련 브뤼셀 회의, NATO 북대서양이사회, 라오스 ASEAN 관련 정상회의 및 EAS, 항저우 G20 정상회의 등이 포함됩니다. 올해 남은 저의 일정도 다자외교로 채워져 있습니다.

또한, 최근 유엔 총회 기간중 이례적으로 많은 7개의 주요 행사에서 기조연설을 하였는데, 평화의 지속화, 군축과 비확산, 지속가능개발목표, 난민, 인권 등을 망라한 분야에서 우리의 적극적인 참여를 반영하고 있습니다.

특히, 개발협력과 인도지원 외교는 박근혜 정부의 대표적인 우선순위 분야입니다. 우리 정부는 지난 한 해 동안 교육, 여성역량강화, 과학기술, 농촌개발에 중점을 둔 4대 주요 개발협력 구상을 출범시켰으며, 우리는 지난 10년간 OECD 개발원조위원회(DAC) 위원국으로서는 가장 높은 연평균 10.2%의 증가율로 ODA를 확대해 왔습니다.

인도주의 외교 관련해서도, 저는 유엔 총회 기간중 개최된 난민정상회의와 브뤼셀 개최 아프가니스탄 관련 각료회의에 참석하여 우리의 기존 시리아 및 이라크에 대한 인도적 지원에 더해, 세계 곳곳의 난민과 아프가니스탄의 사회·경제적 개발을 지원하기 위한 중대한 재정적 기여를 서약하였습니다.

한편, 한국은 동족상잔의 참화를 직접 겪은 국가로서 유엔의 평화구축 및 분쟁예방 노력에 적극 동참하고 있습니다. 우리는 지금까지 유엔 평화유지활동에 14,300명을 파병하였고, 현재 레바논, 남수단을 포함한 6개의 PKO 임무단에서 활동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분야에서의 재정적 지원을 늘리기 위한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이는 동시에, 저는 금년 유엔총회 계기 개최된 유엔 평화구축기금 관련 고위급 공여회의를 공동주최하였습니다. 한국은 또한 금년도 유엔 평화구축위원회(PBC) 부의장국을 맡고 있습니다.

[북핵 및 북한 문제]

귀빈 여러분,

남북한 유엔 동시 가입 25주년을 맞아 남북한이 그간 걸어온 정반대의 여정을 돌아보면 착잡한 마음을 금할 수 없습니다. 오바마 대통령은 최근 유엔총회 기조연설에서 한쪽은 성공의 길을 걸어온 반면, 다른 한쪽은 불모지가 되었다고 적절히 지적한 바 있습니다. 한국이 평화 증진자, 개발의 모범이자 인권의 옹호자라고 한다면, 북한은 평화에 대한 위협(destabilizer)이며, 경제적 실패이자 인권 침해자라는 점에서 확연히 대비됩니다.

1991년 유엔 가입시 북한은 우리와 함께 국제사회 앞에서 유엔 헌장을 준수하겠다는 약속을 했습니다. 그러나 가입 2년만에 북한은 핵확산금지조약(NPT) 탈퇴를 선언하고 핵개발의 외길로 들어섰습니다.

북한은 금년들어서 두 번의 핵실험을 하고 24발의 각종 탄도미사일을 발사하였습니다. 여기에 플루토늄 재처리까지 포함하면 금년에만 안보리 결의를 적어도 27번이나 명백하게 위반한 것입니다. 이는 유엔의 역사에 유례가 없는 것입니다. 더 나아가 북한은 이러한 무기들을 실제로 사용하겠다는 의도를 공공연하고 지속적으로 드러내 왔습니다.

역사적인 이란 핵문제 합의로, 이제 북한 핵문제는 사실상 유엔 안보리에서 상시 논의되는 유일한 비확산 의제입니다.

지난 3월 유엔 안보리가 역대 가장 강력한 대북제재 결의 2270호를 채택했을 당시, 이는 국제사회의 강력한 단합과 연대를 나타내는 것이었습니다. 저는 최근 유엔총회, 북대서양이사회, 한미 외교·국방장관(2+2) 회의 참석 기간중 이러한 국제사회의 단합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이에 대해 부연해 드리고자 합니다.

첫째, 북한 핵 및 미사일 위협의 시급성과 엄중성에 대한 공통된 인식입니다. 우리 대통령께서 언급하셨듯이, 이는 턱밑의 비수와도 같습니다. 또한, 우리에게는 매일매일이 쿠바 미사일 위기와 같습니다. 이러한 평가에 대해서는 지난주 2+2회의에서 저의 좋은 동료인 존 케리 미 국무장관도 공감을 표하였습니다. 북한의 위협은 이제 한국과 동북아를 넘어 미 본토와 유럽 그리고 세계 여타 지역에 대한 직접적인 위협이 되고 있습니다.

둘째, 국제사회는 특단의 상황에서는 그에 걸맞는 특단의 대응이 필요하다는 데 동의하고 있습니다. 미온적인 조치는 더 이상 효과를 발휘할 수 없습니다. 돌이켜보면 불행하게도 우리는 북한이 과거 기념비적인 합의와 양해들을 국제사회를 기만하고 자신들의 핵 및 미사일 프로그램 고도화하기 위한 시간을 벌기 위해 악용하였음을 깨닫게 되었습니다.

오바마 대통령과 미국 고위 당국자들 그리고 많은 미국의 여론 주도층들이 북한과의 성급한 대화는 북한의 잘못된 행동을 정당화시켜 줄 뿐이라는 점을 지속적으로 강조하고 있는 것은 놀라운 일이 아닙니다. 이러한 점은 저의 지난주 워싱턴 방문 시에도 여지 없이 표명되었습니다.

이제는 국제사회가 이러한 악순환을 끊고, 과거 실패하였거나 효과가 없는 정책을 되풀이하지 말고 북한의 소위 핵개발-경제발전 병진노선이 성공할 수 없다는 분명한 메시지를 전달해야 할 시점입니다. 다시 말해, 북한은 분명한 선택을 해야만 합니다(It cannot have the cake and eat it too). 박근혜 대통령께서 오늘 국회에서 강조하셨듯이, 우리 정부는 국제사회와 함께 더욱 강력한 제재와 압박을 통해 북한이 비핵화 이외에는 다른 선택을 할 수 없도록 만들기 위한 모든 노력을 경주해 나갈 것입니다.

이러한 맥락에서 우리는 안보리 결의, 독자제재 및 다양한 형태의 글로벌 압박을 포함하는 3대 축의 외교적 압박을 가하고 있습니다.

주목할 것은 글로벌 압박의 새로운 추세입니다. 최근 북한과의 외교관계 단절 또는 격하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지난 유엔 총회에서 보츠와나 부통령은 모든 유엔 회원국 앞에서 그 전날 저의 발언에 공감하면서 북한이 평화를 애호하는 유엔 회원국으로서의 자격이 없다고 강조하였으며, 자국이 북한과의 외교관계를 단절하였음을 상기시켰습니다.

같은 맥락에서, 미국은 최근 자국 재외공관에 대해 주재국들이 북한과의 외교관계를 격하하는 추가 조치를 취할 것을 요청하도록 지시했다고 밝혔습니다. 그리고, 지난주 워싱턴에서 개최된 한미 외교·국방장관(2+2) 회의에서, 한미 양국은 여타국으로 하여금 북한과의 관계 전반을 재검토하도록 독려할 것을 결정하였습니다.

셋째, 국제사회는 총체적(holistic)인 접근을 취해야 한다는 시각을 공유하고 있습니다. 북한 핵문제는 인권침해나 북한내부로의 정보유입과 같은 북한 문제와 분리할 수 없습니다.

아시다시피, 2014년도 유엔 북한인권조사위원회(COI) 보고서는 북한 지도층이 저지른 체계적이고, 광범위하며 심각한 인권침해를 전면에 부각시켰습니다. 유엔 인권이사회뿐만 아니라 유엔 총회와 심지어 안보리에서도 이 문제가 다루어진다는 것은 사안의 중대성을 잘 보여주고 있습니다.

오늘날 우리는 보다 더 큰 책임성의 시대(age of greater accountability)에 살고 있습니다. 이와 관련 저는 지난 달 유엔총회 기조연설에서 세 가지를 강조하였습니다. 국제인권메카니즘이 보다 강력한 조치를 취해야 한다는 점과 해외 북한노동자 인권상황에 관심을 제고할 필요가 있다는 점, 그리고 국제사회가 북한 주민들의 자유와 인간존엄을 향한 갈망에 보다 많은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는 점이 바로 그것입니다. 특히, 가까운 미래에 유엔에서 해외 북한노동자 관련 인권문제가 논의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한미 2+2 회담 결과]

귀빈 여러분,

제가 특단의 대응이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드렸는데, 3개축의 외교적 압박은 필요조건이 될 수는 있어도 그 자체로서 충분조건이 될 수는 없습니다.

북한의 핵·미사일 프로그램이 제기하는 전례없는 위협 앞에 외교적 압박과 군사적 억제는 가위의 양 날과 같이 일체화 되어야 합니다.

이것이 제가 지난주 워싱턴 D.C에 가서 미국과 한미 외교국방장관(2+2) 회의를 가진 이유입니다. 또한 이에 앞서 저는 브뤼셀에 가서 NATO 사무총장 면담과 북대서양이사회 특별연설을 통해 확장억제에 관한 한-NATO간 최적의 경험 공유를 제안하였습니다. 이와 관련, 2+2회의에서 확장억제전략협의체(EDSCG) 신설에 합의한 것은 중요하고 시의적절합니다.

이러한 양국의 외교․국방 역량과 협의 채널을 통해 전략적, 정책적 차원에서의 포괄적이고 조율된 조치뿐 아니라 DIME으로 통칭되는, 외교, 정보, 군사 및 경제제재와 같은 억제 요소들의 효과적인 활용이 가능해질 것입니다.

확장억제전략협의체는 박근혜 정부하에서 설치된 북한, 경제, 민간 원자력 협력 관련 세 개의 기존 고위급 협의체와 함께 한미 동맹을 뒷받침하는 또 다른 축이 될 것입니다.

[결어]

귀빈 여러분,
신사, 숙녀 여러분,

방금 말씀드린 것에서 알 수 있듯이, 두 개의 어려운 과제가 우리 앞에 놓여져 있습니다. 하나는 이와 함께 국제사회의 높은 기대에 부응하여 글로벌 역할을 수행하는 것입니다. 다른 하나는 북한이 제기하는 급박한 도전과제를 극복하고 항구적인 평화를 성취하는 것입니다.

약 70년전 유엔이 우리 정부수립에 기여하였듯이, 유엔은 한반도의 평화·안보 정착과 통일에도 좋은 동반자가 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우리 정부로서도 어려운 글로벌 도전과제를 극복하기 위한 유엔의 노력에 건설적인 역할을 수행할 준비가 되어 있습니다.

이와 관련, 저는 반기문 사무총장이 지난 10년간 훌륭하게 업무를 수행해온 것을 자랑스럽게 생각합니다. 반 사무총장이 기후변화와 지속가능개발과 같은 우리 시대의 전대미문의 글로벌 도전과제 대응에 기여함으로써 유엔의 역할과 위상을 크게 강화하였다는 데 대해 여러분 모두가 저와 마찬가지로 같은 생각이실 것입니다.

마찬가지로 앞으로도 우리 앞에 놓인 수많은 도전과제들에 대응하면서 우리는 희망의 횃불을 이어가야 합니다. 저는 반 사무총장의 2011년 2번째 사무총장 선출후 수락연설을 인용하면서 제 연설을 마무리할까 합니다. “함께라면 어떠한 도전과제도 극복할 수 있습니다. 함께라면 불가능한 것이 없습니다.” 대단히 감사합니다.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