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연설문

제34차 인권이사회 고위급회기 기조연설문

작성일
2017-02-28 08:12:00
조회수
7812

제34차 인권이사회 고위급회기 기조연설문

Statement
H.E. Yun Byung-se
Minister of Foreign Affairs

High-level Segment
34th Session of the
UN Human Rights Council
February 27, 2017

Mr. President,

Since we met in this august chamber last March, the international community has made diverse efforts to promote and protect human rights and dignity around the globe. As always, the UN Human Rights Council has been at the forefront of these efforts, by adopting and implementing many resolutions and decisions to defend the rights of the vulnerable and the oppressed. World leaders also gathered last year at the World Humanitarian Summit in Istanbul and at the High-level meeting on refugees in New York to address the unprecedented humanitarian crisis since the end of World War II.

However, we still witness significant gaps between our commitment to protecting human rights and dignity and dire reality on the ground. Indiscriminate attacks against innocent civilians, gross sexual violence and humanitarian crises caused by armed conflict are still rampant in many parts of the world.


These daunting challenges highlight the need to mainstream human rights throughout the UN system. We also need to take a holistic approach encompassing all three pillars of the UN – peace and security, human rights and development – as was stressed by last year’s landmark UN resolutions on sustaining peace. There can be no peace without human rights and vice versa.

As High Commissioner Zeid eloquently stated this morning, without a commitment to fundamental human rights and human dignity, and I quote, “Our world will become chaos, misery and warfare,” unquote.


Time and again, we have witnessed cases where persistent human rights violations posed serious threat to peace.

A case in point is North Korea.

Three years ago, the Commission of Inquiry (COI) submitted to the Human Rights Council a historic report on the systematic, wide-spread and gross human rights violations in North Korea. It established that and I quote, “crimes against humanity have been committed pursuant to policies established at the highest level of the state,” unquote.

Since then, the dire human rights situation in North Korea has been high on the agenda across the whole UN system. Not only have the Human Rights Council and the General Assembly adopted resolutions on the human rights situation in North Korea, but also the Security Council, which has the primary responsibility for the maintenance of international peace and security, has discussed this issue as its formal agenda for three consecutive years. This unusual development reflects the global concern over the ever-worsening human rights situation in North Korea and its implications for international peace.

Last year, the General Assembly adopted the strongest-ever North Korean human rights resolution by consensus. This landmark resolution highlighted for the first time the responsibility of the North Korean leadership for the human rights abuses. It also expressed grave concern about the human rights situation of North Korean workers sent abroad and the impact of diverting resources to advance WMD programs on humanitarian and human rights situation in North Korea.

As a matter of fact, we now have an endless list of dismal records of human rights abuses in North Korea:

- According to UN reports, some 80,000 to 120,000 people are imprisoned to date in political camps suffering from deliberate starvation, torture, forced labor, executions and rape. Indeed, the whole country has turned into a massive gulag with unrelenting surveillance;

- Its human rights violations are not confined within the country. It is running its labor camps abroad with tens of thousands of overseas workers whose fundamental human rights are denied as pointed out in the recent report of the Special Rapporteur. European Parliament resolution last year likened the situation of North Korean overseas workers to state-sponsored forced labor.;

- Over the past five years, several hundred high-level officials have been openly or extra-judicially executed in North Korea, not to mention the countless ordinary people. It is no wonder that an increasing number of North Koreans including the elite class have defected to South Korea and elsewhere.

This is not the end of the story. Just two weeks ago, the world was shocked when North Korean leader’s elder brother was brutally assassinated at an international airport on Malaysian territory. Malaysian authorities suspect that 8 North Koreans involved in this assassination included one diplomat at its Embassy in Kuala Lumpur. The other seven are reported to hold official passports issued by the North Korean government.

They revealed that the victim was killed with VX nerve agent, a chemical weapon classified as a weapon of mass destruction by the UN and also strictly banned by international norms and resolutions, including the Chemical Weapons Convention.

All these acts constitute a serious violation of various international human rights instruments to which North Korea is a party. It is also an outright challenge to the rules-based international order.

In fact, North Korea has a long record of heinous crimes such as the 1983 Rangoon bombing killing more than 16 cabinet members and high-level officials of the ROK Government and the 1987 bombing of Korean Air killing over 115 innocent Korean and foreign passengers.
Mr. President,

We the international community should no longer allow innocent North Koreans to suffer such serious human rights abuses. The aggravation of North Korean human rights situation will not remain local but become a threat to the peace and security of the whole international community. We should act, individually and collectively, before the violation of human rights lead to much bigger calamity.

Just as the UN Security Council adopted last year the strongest-ever sanctions in the face of North Korean nuclear threats, it is high time to end impunity for human rights violators including its leadership.

Now, the international community should hold those violators accountable by bringing the North Korean case to the ICC as recommended by the resolutions adopted at the UN General Assembly and this august body. In this regard, we welcome the recent report by the Group of Independent Experts on Accountability which recommended the submission of the North Korean case to the ICC or the establishment of an international tribunal for accountability.

We all know who is ultimately responsible for the abuses and crimes. The Republic of Korea fully supports such endeavors for accountability and looks forward to working closely with the international community to this end.

On our part, with the new North Korean Human Rights Act in force, my government has started collecting and recording information on human rights violations in North Korea through the newly established Center for North Korean Human Rights Records.

Mr. President,

In his new year’s address, UN Secretary-General Guterres appealed to make 2017 “a year for peace.” He went on to stress that and I quote, “Prevention is not a priority, but the priority,” unquote. I cannot agree more.

I echoed his appeal at the G20 Foreign Ministers Meeting in Bonn two weeks ago by underscoring the need to pay a particular attention to human rights abuses. It is because the protection and promotion of human rights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the prevention of conflicts.

The Human Rights Council should always bear in mind that its activities ultimately contribute to sustaining peace and sustainable development. In promoting human dignity and human rights, the Council needs to strengthen its role in promptly responding to various human rights crises.

As a responsible member of the Human Rights Council, the Republic of Korea will play its due part in realizing human dignity across the globe, working closely with the UN human rights mechanisms including the OHCHR. Thank you. /END/

 

--------------------------------------------(비공식 국문번역문)--------------------------------------------



제34차 인권이사회 고위급회기 윤병세 외교장관 기조연설문 



의장,

작년 3월 인권이사회 고위급회기 이후 한 해 동안 국제사회는 전 세계적으로 인간의 권리와 존엄을 보호 및 증진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을 기울여 왔습니다.

인권이사회는 늘 그랬듯이 취약하고 억눌린 이들의 권리를 보호하기 위하여 많은 결의와 결정을 채택하는 등 이러한 노력에 있어 선도적인 역할을 담당해왔습니다. 또한 지난해 세계 지도자들은 2차 세계대전 이후 전례없는 인도적 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인도주의 정상회의와 난민이주민 고위급회의를 각각 이스탄불과 뉴욕에서 개최하였습니다.

그러나, 인권을 보호하겠다는 약속들과 실제 현장 상황간에는 여전히 큰 격차가 존재하고 있습니다. 무고한 시민에 대한 무차별적 공격, 흉악한 성폭력 그리고 무력분쟁으로 인해 야기되는 인도적 위기는 여전히 세계 많은 지역에 만연해 있습니다.

이렇게 심각한 도전들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인권의 주류화(mainstream)와 더불어, 유엔의 3대 축인 평화·안보, 인권, 개발 모두를 포괄하는 총체적 접근이 긴요합니다.
인권 없는 평화는 있을 수 없고, 평화 없는 인권도 있을 수 없는 것입니다.

오늘 아침 Zeid 인권최고대표도 웅변적으로 강조하였듯이, 기본적 인권과 인간 존엄성에 대한 헌신이 없으면, “우리 세계는 결국 혼란과, 불행 그리고 전쟁에 처하게 될 것입니다.”

우리는 지속적인 인권 침해가 평화에 심각한 위협을 초래한 사례들을 반복해서 목격해 왔습니다. 북한이 바로 그 대표적인 사례입니다.

3년 전 북한인권 조사위원회(COI)는 북한에서의 조직적이고 광범위하며 심각한 인권침해에 대한 역사적인 보고서를 제출하였고, "국가 최고위층이 수립한 정책에 의해 인도에 반하는 죄(crimes against humanity)가 자행되었다"고 결론을 내린 바 있습니다.

이후 북한의 심각한 인권상황은 유엔 시스템 전반에 걸쳐 우선적인 관심사가 되었습니다. 유엔 인권이사회와 총회가 매년 북한인권 결의를 채택한 것에 더하여 국제 평화와 안보 유지에 일차적 책임을 지고 있는 안보리도 북한인권 문제를 3년 연속 정식 의제로 다루었습니다. 이러한 이례적인 진전은 날로 심각해지고 있는 북한의 인권상황이 인권 자체는 물론이고 국제평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국제사회의 우려를 보여주는 것입니다.

작년에 유엔 총회는 그 어느 때보다 강력한 내용의 북한인권 결의를 컨센서스로 채택하였습니다. 이 기념비적인 결의는 북한인권 침해에 대한 지도층(leadership)의 책임을 최초로 강조하였습니다. 또한, 북한 해외노동자들의 심각한 인권상황과 아울러, 희소한 자원을 대량살상무기 프로그램에 전용하는 것이 인권 및 인도주의 상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도 심각한 우려를 표명하였습니다.

사실 북한에서 발생한 끔찍한 인권침해 사례들은 헤아릴 수 없이 많습니다.

- 유엔 보고서들에 의하면, 현재까지 8~12만명이 정치범 수용소에서 고의적인 기아, 고문, 강제노동, 처형과 강간 등으로 고통받고 있습니다. 사실상 나라 전체가 철저한 감시 하에 있는 거대한 수용소가 되어 버렸습니다.

- 북한의 인권침해는 북한 내에만 한정된 것이 아닙니다. 수만 명의 북한 해외노동자들이 갇힌 채 강제노동에 시달리고 있으며, 북한인권 특별보고관도 최근 보고서에서 지적하였듯이 이들은 기본적 인권조차 누리지 못하고 있습니다. 지난해 유럽의회는 북한의 해외노동자 상황이 국가 주도의 강제노동에 해당한다는 내용의 결의를 채택한 바 있습니다.

- 지난 5년간 셀 수 없이 많은 일반인은 물론 백여 명에 달하는 고위 간부들도 공개적 또는 초사법적으로 처형되었습니다. 이에 비추어 볼 때, 고위층을 포함하여 점점 더 많은 수의 북한 주민들이 한국이나 다른 나라로 탈북하고 있는 것도 이상한 일이 아닙니다.

그런데 이야기는 여기서 끝나지 않습니다. 바로 2주전, 전 세계는 북한 지도자의 이복형이 말레이시아의 국제공항에서 잔인하게 암살된 것을 보면서 충격을 받았습니다. 말레이시아 당국은 쿠알라룸푸르 소재 북한 대사관에 근무하는 외교관 한 명과 북한 관용여권을 소지한 7명 등 8명의 북한인을 이번 암살사건 용의자로 지목하였습니다. 또한, 말레이시아 당국은 이번 사건 피해자는 유엔이 대량파괴무기로 분류한 화학무기이자 화학무기금지협약 등 국제규범과 결의에 의해 엄격하게 금지된 VX 신경작용제로 살해당했다고 밝혔습니다.

이러한 모든 행위들은 북한이 당사국인 여러 국제인권규범의 심각한 위반일 뿐만 아니라, 규범에 기초한 국제질서에 대한 정면도전이라고 할 것입니다.

사실, 북한은 과거에도 최소 16명의 대한민국 정부 각료 및 고위관료를 살해한 1983년 랑군 폭파 사건과 115명의 무고한 승객의 목숨을 앗아간 1987년 KAL기 폭파 사건과 같은 끔찍한 범죄를 여러 번 저지른 전력이 있습니다.

의장,

우리 국제사회는 무고한 북한 주민들이 이렇게 심각한 인권상황 속에서 고통받는 것을 더 이상 방치해서는 안 됩니다. 북한 인권상황의 악화는 그 자체로 끝나지 않고, 국제사회 전체의 평화와 안보에 대한 위협이 될 것입니다. 우리는 인권 침해가 더 큰 재앙을 낳기 전에 독자적으로 그리고 집단적으로 필요한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유엔 안보리가 북한의 핵위협에 맞서 역대 최강의 제재를 채택한 바와 같이, 이제 북한 지도층을 포함한 인권침해자들에 대한 불처벌(impunity) 관행을 종식시켜야 할 시점입니다.

국제사회는 유엔 인권이사회와 총회에서 채택된 결의의 권고와 같이 북한 사례를 ICC에 회부함으로써 인권 침해 가해자들이 책임을 지도록 해야 합니다. 이러한 면에서 우리는 북한인권 책임규명 독립전문가 그룹이 최근 보고서에서 북한 인권상황의 ICC 회부 또는 임시 국제재판소 설립을 권고한 것을 환영합니다.

우리 모두는 이러한 인권 유린과 범죄의 책임이 궁극적으로 누구에게 있는지 알고 있습니다. 한국은 책임규명을 위한 이러한 노력을 전적으로 지지하며, 이를 위해 국제사회와 긴밀히 협력해 나갈 것입니다.

이러한 차원에서, 한국은 새롭게 발효한 북한인권법에 따라 신설된 북한인권기록센터를 통해 북한인권 침해 관련 정보를 수집 및 기록하기 시작했습니다.

의장,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은 연두 연설에서“2017년을 평화의 해로 만들자”고 호소하였고, 나아가 "예방은 우선순위 중 하나가 아니라 가장 중요한 우선순위이다(Prevention is not a priority, but the priority)"라고 하였습니다. 저도 이에 전적으로 공감합니다.

저도 2주전 본에서 개최된 G20 외교장관회의에서 연설을 통해 인권침해에 특별히 관심을 둘 필요성을 강조함으로써 그의 호소에 호응한 바 있습니다.

우리는 인권이사회 활동이 궁극적으로 평화의 지속화와 지속가능한 개발에 기여한다는 사실을 항상 명심해야 합니다. 인권이사회는 인간의 존엄성과 인권을 증진함에 있어 다양한 인권위기에 신속하게 대응하는 역할을 강화해야 합니다.

한국은 인권이사회의 책임있는 이사국으로서 인권최고대표실(OHCHR)을 비롯한 유엔 인권메커니즘과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지구촌 곳곳에 인간 존엄의 이상을 실현해 나가는데 적극 기여해 나갈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