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정책·기업지원

한국과의 관계

  1. 정책·기업지원
  2. 한국과의 관계

I. 양국관계 개황

  • 외교관계 수립 : 1989.11.1

  • 주폴란드대사관 개설 : 1989.11.27

  • 주한 폴란드대사관 개설 : 1990.1.16

  • 공관장 현황

  • 임훈민 제14대 대사(2021.12 부임)

  • 오스타셰프스키(Piotr Ostaszewski) 대사(2017.9월 부임)

  • 교육

  • 의무교육 8년(초등중학교 8년)

  • 우리나라와의 교역규모(2023년 기준) : 101억달러

  • 수출(한국▸폴란드) : 90억달러 (기타정밀화학연료, 비행기, 자동차부품, 기타기계류, 프로세서와 콘트롤러 등)

  • 수입(폴란드▸한국) : 11억달러 (기타축전기, 전기전자 웨이스트와 스트랩, 기타금속광물, 자동차부품 등)

  • 한국-폴란드간 LOT항공사 직항노선 취항 : 2016.10.17

  • 우리나라와의 시차 : 한국기준-8시간 (썸머타임 적용시 -7시간)

  • 투자현황(2023년 말 기준 누계)

  • 대폴 투자 :60억달러(법인 설립건수 390개)

  • 주요인사 상호 방문 현황

  • 91. 5 박준규 국회의장

  • 91. 6 Bielecki 총리

  • 93. 6 한승주 외무장관

  • 94.12 Walesa 대통령

  • 96. 5 이수성 국무총리

  • 97. 5 임창렬 통상산업부 장관

  • 98. 7 김종필 국무총리

  • 99. 4 Steinhoff 경제장관

  • 99. 5 김용준 헌법재판소장

  • 99. 6 Buzek 폴란드 총리

  • 00. 6 이정빈 외교통상부장관

  • 00. 8 김종호 국회부의장

  • 02. 6 Kwasniewski 대통령

  • 02.11 김호식 해수부장관

  • 03.11 반기문 외교보좌관

  • 04. 8 Cimoszewicz 외교장관

  • 04.12 노무현 대통령

  • 07. 6 도른 하원의장

  • 07. 10 송민순 외교장관

  • 08. 10 Sikorski 외교장관

  • 08. 12 Kaczyński 대통령

  • 09. 07 이명박 대통령

  • 10. 1 유인촌 문화부장관

  • 12. 7 양승태 대법원장

  • 13. 4 양건 감사원장

  • 13. 5 진영 보건부장관

  • 13. 7 Dabrowski 대법원장

  • 13.10 Komorowski 대통령

  • 14.4 이병석 국회부의장

  • 14.5 이석준 기재부차관

  • 14.6 정승 식약처장

  • 14.9 정연만 환경부차관

  • 14.9 Rzeplinski 헌법재판소장

  • 14.12 Gawliki 국고부차관

  • 15.3 현병철 국가인권위원장

  • 15.3 Dycha 경제부차관

  • 15.3 Malecka-Libera 보건부차관

  • 15.3 Siemoniak 국방부총리

  • 15.7 윤병세 외교장관

  • 15.9 김소영 대법관

  • 16.2 조태열 외교차관

  • 16.4 우태희 산업통상자원부차관

  • 16.10 바슈치코프스키 외교부장관

  • 17.10 정세균 국회의장

  • 18.2 Duda 대통령

  • 18.5 김현종 통상교섭본부장

  • 18.6 김영춘 해양수산부장관

  • 19.1 김현미 국토교통부장관

  • 19.2 강경화 외교부장관

  • 19.10 Czaputowicz 외교부장관

  • 21.11 문승욱 산업부장관

  • 21.12 노형욱 국토부장관

  • 22.5 Blaszczak 부총리겸 국방부장관

  • 22.7 이창양 산업부장관

  • 22.8 김진표 국회의장

  • 22.10 Sasin 부총리겸 국유재산부장관

  • 22.11 Rzeczkowska 재무부 장관

  • 23.2 장성민 미래전략기획관

  • 23.3 어명소 국토교통부 차관

  • 23.3 Rau 외교부 장관

  • 23.3 이성해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장

  • 23.4 장영진 산업부 차관

  • 23.5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

  • 23.6 Blaszczak 부총리 겸 국방부 장관

  • 23.7 윤석열 대통령

  • 23.8 유의동 의원, 홍기원 의원, 김무경 의원(국회 첨단산업위)

  • 23.8 Buda 경제개발기술부 장관

  • 23.8 이종섭 국방부 장관

  • 23.9 한덕수 국무총리(크리니차 포럼 참석 계기)

  • 24.3 Kupiecki 외교부 차관 (제3차 민주주의 정상회의)

  • 24.4 Tomczak 경제개발기술부 차관

  • 24.4 Bejda 국방부 차관, Kuleszak 국유자산부 차관

  • 24.6 신원식 국방부 장관

  • 24.9 석종건 방사청장

  • 24.10 Duda 대통령


북한과의 관계

  • 외교관계 수립 : 1948.10.16

  • 교역규모 : 2008년도 9,497만불을 기록한 이후 감소 추세로 돌아서, 2022년 1,659만불(대북 수입 1,059만불, 대북 수출 600만불), 2023년 1,026만불(대북 수입 980만불, 대북 수출 46만불)을 기록

  • 주폴란드 북한대사 : 최일 대사 (20.9 신임장 제정) 

  • 주북한 폴란드대사 : 공석 (코로나19 펜데믹 이후 철수)

II. 우리나라와의 투자교역동향

1. 무역

  • 폴란드는 자국의 경제개혁 과정에서 한국을 주요 경제·통상 협력 대상국으로 간주하여 한국 기업의 적극적인 투자진출을 기대하고 있으며, 우리 기업의 진출도 활발히 진행 중

  • 우리나라의 대 폴란드 수출은 2010년(43.8억달러)부터 계속 감소하여 2015년 28.1억 달러를 기록했으나, 이후 증가하기 시작하여 2023년 90억 달러를 기록(전년대비 13% 증가)

  • 과거 수년 간의 대 폴란드 수출 부진은 유럽 경제위기로 인한 폴란드 내 우리 투자기업의 생산 원자재 및 부자재 수입 감소에 기인했으나, 2015년 이후 우리 기업들의 대규모 투자진출에 동반된 수출이 대폭 증가

  • 그러나, 2015년 이후 우리 기업들은 대규모로 폴란드에 진출하기 시작하였으며, 이로 인한 대 폴란드 중간재 수출이 증가한바, 우리나라는 지속적으로 무역 흑자를 기록 중

  • 2023년 우리나라의 대 폴란드 수입은 전년 대비 1.2% 증가한 11억달러 기록

  • 2010년 한-EU FTA 이후 2015.12월부터 모든 대 한국 수입에 부과되었던 관세가 폐지되었고, 한-폴 교역이 더욱 활성화되었으며 한국은 양국 교역에서 꾸준히 흑자를 기록 중

  • 폴란드 측은 무역 역조 현상을 보완하기 위해 노력 중이며, 동 일환으로 지난 2023.9월부터 폴란드산 돼지고기 수입이 재개

  • 우리나라의 대 폴란드 주요 수출 품목(2023년 기준)

  • 기타정밀화학원료, 비행기, 자동차부품, 기타기계류, 프로세서와 콘트롤러 등

  • 우리나라의 대 폴란드 주요 수입 품목(2023년 기준)

  • 기타축전지, 전기전자 웨이스트와 스트랩, 기타금속광물, 자동차부품, 기타타일 및 도자기 제품, 의약품, 기타정미리화학원료, 기타화물자동차 등

2. 투자

  • 2023년 기준 현재 우리 기업의 총 투자 누적액은 60억달러(1,493건)이며, 약 390여개의 우리 기업들이 폴란드에 진출

  • 역내 및 역외에서 사업 추진을 위해 폴란드를 오가는 실제 기업 수는 이의 배 이상일 것으로 예상되며, 코로나19,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등 글로벌 위기 상황에도 불구하고 우리 기업의 폴란드 진출은 지속적인 증가 추세(참고 : 2018년 241개 - 2023년 390개)

  • 2004년 폴란드의 EU 가입에 따른 여건 호전과 전자, 가전을 중심으로 우리 기업의 대형 투자 프로젝트 재개

  • 2005년 LG전자, LG 디스플레이의 현지 투자 개시(2006년 총 2.2억달러 투자)하였으며, 2011년 삼성은 Amica의 가전제품 공장을 인수하여 냉장고 및 세탁기를 생산 중

  • R&D 분야(삼성전자 R&D센터), LG에너지솔루션 전기 자동차 배터리 생산공장 건설투자 등 첨단기술분야 투자가 증가 추세이며, 2021년 SK 넥실리스의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동박 공장 투자 결정, 2022년 ANP Enertech의 리튬이온배터리 2차 도전재 공장 투자 결정 등 전기차 분야의 투자 진출 확정 또는 논의가 활발히 진행 중

  • 또한 한국수력원자력의 민간 협력 원자력 발전소 건설 사업, 인천국제공항공사의 신공항 건설 사업 참여(전략적자문사), 현대엔지니어링의 화학 플랜트 건설 등 친환경 에너지, 대규모 건설 사업 분야에서 우리 기업의 투자 진출이 확정 및 사업 진행

  • 법인 설립건수 342개 중 제조업 부문 투자가 전체 투자의 약 90% 차지

한국의 대폴란드 연도별 직접 투자 현황 (단위 : 백만달러)

해당연도, 신규법인수, 투자금액의 정보를 제시하는 한국의 대폴란드 연도별 직접 투자 현황 테이블

해당연도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2023

누계

신규법인수

10

22

14

29

36

22

28

26

35

390

투자금액

39

55

216

535

1,175

739

569

907

365

6,006

한-폴 교역 현황 (단위 : 백만달러, %)

해당연도, 수출액, 증감률, 수입액, 증감률, 무역수지의 정보를 제시하는 한-폴 교역 현황 (단위 : 백만달러, %) 테이블

해당연도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2023

수출액

2,808

2,912

3,116

4,334

5,315

5,639

6,596

7,858

9,022

증감률

-27.1%

3.7%

7.0%

39.1%

21.5%

6.1%

17.0%

19.1%

14.8%

수입액

696

541

628

673

771

834

1,102

1,091

1,104

증감률

-10.0%

-22.2%

16%

7.2%

14.5%

8.2%

32.1%

-1,0%

1.2%

총교역액

3,504

3,453

3,774

5,007

6,086

6,473

7,698

8,949

10,126

주요 투자기업

기업명, 업종, 제품, 진출형태, 투자시기의 정보를 제시하는 주요 투자기업 테이블

기업명

업종

제품

진출형태

투자시기

현대엔지니어링

건설

화학 플랜트 건설

단독투자

2019년

LS전선

전자

광케이블, 자동차 부품

단독투자

2019년

LG화학

자동차

자동차 배터리

단독투자

2016년

현대글로비스

물류

물류업체 인수합병

단독투자

2014년

POSCO 건설

건설

플랜트(크라쿠프 열병합발전소 건설)

단독투자

2013년

KT

정보통신

IT 인프라 구축

단독투자

2013년

만도

자동차

자동차 부품(제동, 조향)

단독투자

2011년

삼성전자

가전

냉장고, 세탁기

단독투자

2010년

서연전자

자동차

자동차 부품(서스펜션)

단독투자

2008년

LG 디스플레이

전자

LCD 패널

단독투자

2005년

LG전자(브로츠와프)

가전

LCD TV, 냉장고

단독투자

2005년

LG전자(므와바)

가전

LCD, PDP TV

단독투자

1999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