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1. 화면크기
  2. 국가상징
  3. 어린이·청소년
  4. RSS
  5. ENGLISH

외교부

발간물 - 경제안보 Review

외교정책
  1. 홈으로 이동 홈으로 이동
  2. 외교정책
  3. 경제
  4. 경제안보외교센터
  5. 발간물 - 경제안보 Review
글자크기

경제안보 Review 24-20호(인도와 동남아 주요국 반도체 공급망 협력 동향, 미국 첨단기술 투자 통제 최종 규칙, 일본의 경제안보 전략 관련 기고문))

부서명
경제안보외교과
작성일
2024-11-08
수정일
2024-11-25
조회수
1305

경제안보외교센터는 '경제안보 Review'  24-20호 (11.8일자 발간)을 작성해 전달드립니다.

24-20호에서 포함하고 있는 보고서의 제목은 아래와 같습니다.


(경제안보분석) 인도와 동남아 주요국의 반도체 공급망 협력 동향

(경제안보현안) 美 첨단기술 분야 투자 통제 최종규칙 발표

(경제안보연구동향) 일본의 경제안보 전략

    (원문) “How Japan Defines Economic Security” (2023 / Wilson Center / Jun Osawa)


*경제안보 Review는 2023년 1월부터 격주로 발간되는 경제안보외교센터의 정기간행물로

경제안보와 관련된 다양한 이슈들을 다루고 있습니다





==========================================================================================

(경제안보분석) 인도와 동남아 주요국의 반도체 공급망 협력 동향

이재원 선임전문관


■ 미-중 간 반도체 경쟁 심화는 중국에 위치한 반도체 기업의 지정학적 리스크를 증가시키고 있으며, 이에 따라 안전한 반도체 공급망의 대안, 즉 프렌즈쇼어링으로 인도와 동남아 주요국이 부상

■ 주요국 반도체 공급망 협력 사례

○ 인도는 반도체 수입 의존도가 90% 수준인 상황에서 “Semicon India Programme”을 통해 후공정뿐 아니라 연구개발과 설계를 포함하는 반도체 생태계 구축을 추진하며, 미국, 일본 등과 반도체 파트너십 체결로 국제 협력 강화

○ 베트남은 대부분의 반도체 공장이 외국 자본으로 운영되는 상황에서 「베트남 반도체 전략」을 통해 2050년까지 연구개발을 선도하는 반도체 생태계 구축을 목표로 글로벌 기업 투자 유치와 자국 기업 육성 병행

○ 말레이시아는 세계 6위 반도체 수출국으로 「국가반도체전략」를 발표하고 이를 이행하기 위한 TF를 설립하였으며, 페낭 지역을 중심으로 글로벌 기업들의 투자가 활발한 가운데 미국 및 중국과의 반도체 협력을 동시에 강화중

○ 필리핀과 인도네시아는 반도체 공급망에서 상대적으로 후발주자라고 평가되며 후공정 중심 반도체 인력 양성을 포함하는공급망 형성을 추진

■ 결론 및 시사점

○ 인도와 동남아의 반도체 주요국은 전력 및 용수 등 기반 인프라 미흡, 전공정 관련 고급 인력 부족 등의 한계에도 불구하고 의욕적으로 반도체 전략을 마련

- 이 과정에서 인도와 동남아는 중국과 전략 경쟁을 펼치고 있는 미국과 협력을 강화하고 있으며 한국을 비롯한 미국, 유럽, 일본 등 글로벌 기업의 투자도 촉진되는 상황

○ 미중 전략 경쟁으로 인도와 동남아시아 반도체 공급망에 기회가 많아지고 있지만, 경쟁이 장기화되면 오히려 공급망 재편에 장애 요소가 될 가능성도 존재

○ 한편 트럼프 행정부 2기에서 반도체과학법 보조금에 대한 부정적 인식에 기반한 관세 부과 가능성으로 인해 프렌즈쇼어링보다 리쇼어링에 더 많은 초점이 맞춰지는 등 불확실성이 높아진 상황

○ 반도체 공급망 재편에서 이익을 확보할 수 있도록 이들 국가와의 협력 강화를 추진하면서 민간 투자를 촉진하되, 글로벌 공급망 재편을 추동하는 미국의 반도체 시장과 관련 정책을 계속 예의주시할 필요


======================================================================================


(경제안보현안) 美 첨단기술 분야 투자 통제 최종규칙 발표

안수린 전문관


개요

■ 美 재무부 , 행정명령 14105호(‘우려 국가 내 특정 국가안보 기술·제품에 대한 미국의 투자’) 시행을 위한 ‘최종규칙(Final Rule)’ 발표(2024.10.28. / 2024.1.2.일 시행)

※ 바이든 행정부, 첨단기술(반도체 등) 분야에 대한 미국인의 투자가 중국의 군사정보 역량 강화로 이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행정명령(14105) 발표(2023.8.9.)

- 미국의 對中 직접투자액(2023년 기준) 51억달러(약 6조8,000억원)로 2022년 대비 약 40% 감소 / 중국의 對美 직접투자도 2016년 200억 달러(27조,7,300억원)를 정점으로 찍고 코로나19 발생(2020년)부터 마이너스로 전환 및 현재까지 유지

- 주요 일정 : E.O. 14105호 기반 사전규제도입안공고 (ANPRM, 23.8월) → 규칙제정공고(NPRM, 24.7월) → 임시최종규칙(IFR, 24.9월) → 최종규칙 발표(24.10월)

- (IFR → FR 변경사항) AI 시스템, 파생상품, LP투자 거래 범위, 거래 예외 또는 면제조건, 美 재무부 제출 (개인) 정보보호 처리 관련 등 내용 추가·보완


관찰 및 평가

○ (對中 영향) 중국의 對美(inbound) 투자 및 미국의 對中(outbound) 투자 양방향에서 첨단기술 분야의 금융·자본거래 축소 및 해당 기술분야에 있는 중국 기업(SMIC, YMTC, 화웨이 등)의 주식, 채권 투자 등에 영향 예상

※ 트럼프 前 행정부때 FIRRMA(외국인 투자위험 심사 현대화법) 제정(2018년)한 이후 라이센스 거래부터 M&A 거래까지 中 자본 등에 대한 인바운드 투자 감시 강화

○ (對韓 영향) 우리 정부, “美 재무부 행정 규칙은 준수 의무자가 미국인 또는 미국 법인으로 현재까지 우려국에 포함된 나라는 중국(홍콩, 마카오 포함)이 유일 / “준수 의무자, 투자 제한 대상 등을 볼 때 우리 경제에 미치는 직접적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전망(공동 보도자료 2024.10.29.)


======================================================================================

(경제안보연구동향) 일본의 경제안보 전략

(원문) “How Japan Defines Economic Security” (2023 / Wilson Center / Jun Osawa)

유아름 전문관


개요

■ 2010년대부터 중국이 경제적·군사적으로 빠르게 성장하며 경제 논리에 기반한 자유무역에서 경제안보로 국제질서 패러다임이 변화, 특히 중국의 부상은 일본과 경쟁 구도를 형성함에 따라 일본은 자국 경제안보 강화 필요성을 절감

○ (중국 부상 견제) 2010년 중국이 희토류 수출을 제한하며 처음으로 타격을 입은 국가는 일본으로, 당시 일본은 핵심 자원 확보에 대한 취약성을 체감하며 경제안보를 국가 안보와 연계

○ (글로벌 공급망 재편) Covid-19 팬데믹과 국제 분쟁으로 공급망 위기가 발생하면서 일본은 자국의 안정적인 공급망 구축을 위해 다각적인 노력이 필요함을 인식

○ (美中 기술 경쟁) 美中 간 기술 및 경제 패권 경쟁이 심화되면서 일본은 미국과의 경제협력 강화를 통해 첨단 기술과 자원 확보를 목표

■ 일본의 경제안보 정책은 기존의 산업 및 기술 발전 정책을 넘어서 국가의 경제적·안보적 위협을 관리하기 위한 다층적 전략으로 발전


정책제안

■ 일본은 첨단 기술 보호와 사이버 보안을 강화하고, 다자간 협력을 통해 글로벌 경제에서의 위치를 공고히 해야 할 필요

○ (기술 및 사이버 보안 강화) 중국의 사이버 공격에 따른 기술 탈취 사례가 증가 → 일본 정부는 지식재산권 보호법 개정, 사이버 보안법 제정을 통해 기술 보안을 더욱 강화할 필요

○ (공급망 다변화를 위한 협력) 미국, 호주, 인도, 동남아시아 등과 협력을 강화

○ (국제적 규범 설정과 리더쉽 확보) 글로벌 경제안보 규범 형성을 선도해 국제적 리더쉽을 확보

■ 특히 미국과의 협력을 강화할 필요, 미국과의 협력은 일본의 경제안보 강화와 對중국 견제에 중요한 축으로 작용

○ (美日 협력 배경) 양국은 중국의 경제적 강압 대응, 사이버 안보 문제에 대해 공조 체계를 구축 중

○ (주요 협력 분야) ▲핵심기술 보호(반도체 등 중요 기술 보호) ▲공급망 복원력 증대 ▲다자협력 프레임 워크(G7* 및 QUAD 등)를 통한 경제안보 강화  

   * 2023년 G7 정상회의에서 경제안보가 중요한 의제로 상정, 중국을 직접적으로 언급하지 않았으나 공급망 안정성과 다변화의 필요성을 강조하는 논의가 진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