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7 정상회의
국제정치, 경제 사안에 대한 토의를 위한 G7 정상 간 대화협의
-
G7 창설 배경과 과정
-
창설배경
-
G7은 1970년대 국제사회가 세계경제의 위기를 대처하는 과정에서 출범
-
세계경제는 브레턴우즈 체제 붕괴, 1973년 1차 석유파동을 겪으면서, 통화가치 팽창, 저성장으로 인한 스태그플레이션, 경기후퇴, 보호무역주의 대두 등 어려운 상황에 직면
-
브레턴우즈 체제(Bretton Woods system)
-
국제적인 통화제도 협정으로 1944년 미국 뉴햄프셔주 브레턴우즈에서 탄생
-
주요내용: 미국 달러화를 기축통화로 하는 금환본위제도, 고정환율 제도 등
-
미국의 국제수지 적자로 인해 일부국가들이 금태환을 요구하였고, 1971년 닉슨 대통령에 의한 금태환 정지선언으로 체제붕괴
-
이에 따라, 미국, 영국, 프랑스, 독일, 일본 등은 새로운 경제질서 수립방안 모색
-
창설과정
-
Library Group/G5
- 1971년 미국의 금태환 중지 선언이후 스미스소니언 합의를 도출하는 과정에서 미국 George Schultz 미국 재무장관이 영국, 프랑스, 독일 재무장관에게 백악관 도서관에서
만나자고 제의
- 1973년 미국, 영국, 프랑스, 독일 재무장관은 백악관 도서관에서 Library Group 결성하여, 세계금융 이슈 논의
-
Library group은 당시 세계경제의 4% 이상을 차지하는 국가로 구성 (이탈리아는 4%를 상회하나 좌파성향의 정부로 인하여 배제)
- 1975년 일본의 참여로 G5 재무장관 체제 형성
-
G6
- G5 초창기 당시 각국 재무부 장관이었던 프랑스 D'Estaing 대통령과 독일 Schmidt 총리가 국가원수로 승격함에 따라 G5 재무장관회의를 정상회담급으로 격상 추진
- 1975년 프랑스 랑부이예(Rambouillet)에서 개최된 회의에 이탈리아 참여로 최초의 G6 정상회의 개최
- G6 회원국 자격요건
-
자유민주주의
-
안정적이며 높은 경제발전도(일인당 GDP 최소 $ 11,000)
-
세계 경제운영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규모(세계 총GDP의 4%)
-
G7
-
캐나다는 1975년 첫 G6 정상회의부터 참여를 희망하였으나, 세계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약 2.3%)이 상대적으로 작아, 참여에 실패
-
1976년 산 후안 회의시 미국의 강력한 희망에 의하여 캐나다가 참여하여 G7 정상회의로 확대
-
G8
-
냉전 종식이후 구소련은 G7에 참여를 희망
-
미국은 1992년 뮌헨정상회의를 러시아가 참여하는 G8 정상회의로 제안, 이후 러시아는 초청국지위로 G7 정상회의에 참여
-
1998년 러시아가 버밍엄 회의에서 정식회원이 됨으로써 G8 체제 완성
-
G7 국가들은 우크라이나 사태에 대한 제재 조치의 일환으로 러시아의 G8 국가로서의 자격 잠정 정지
-
역대 G7 정상회담 개최
한-ASEAN 발전 경위 -의장국,회담장소,회담일시
의장국
|
회담장소
|
회담일시
|
프랑스
|
Rambouillet
|
1975년 11월 15일 ~ 17일
|
미국
|
San Juan
|
1976년 6월 27일 ~ 28일
|
영국
|
London
|
1977년 5월 7일 ~ 8일
|
독일
|
Bonn
|
1978년 7월 16일 ~ 17일
|
일본
|
Tokyo
|
1979년 6월 28일 ~ 29일
|
이태리
|
Venice
|
1980년 6월 22일 ~ 23일
|
캐나다
|
Ottawa
|
1981년 7월 20일 ~ 21일
|
프랑스
|
Versailles
|
1982년 6월 4일 ~ 6일
|
미국
|
Williamsburg, Virginia
|
1983년 5월 28일 ~ 30일
|
영국
|
London
|
1984년 6월 7일 ~ 9일
|
독일
|
Bonn
|
1985년 5월 2일 ~ 4일
|
일본
|
Tokyo
|
1986년 5월 4일 ~ 6일
|
이태리
|
Venice
|
1987년 6월 8일 ~ 10일
|
캐나다
|
Toronto
|
1988년 6월 19일 ~ 21일
|
프랑스
|
Paris
|
1989년 7월 14일 ~ 16일
|
미국
|
Houston, Texas
|
1990년 7월 9일 ~ 11일
|
영국
|
London
|
1991년 7월 15일 ~ 17일
|
독일
|
Murich
|
1992년 7월 6일 ~ 8일
|
일본
|
Tokyo
|
1993년7월 7일 ~ 9일
|
이태리
|
Naples
|
1994년 7월 8일 ~ 10일
|
캐나다
|
Halifax
|
1995년 6월 15일 ~ 17일
|
프랑스
|
Lyon
|
1996년 6월 27일 ~ 29일
|
미국
|
Denver
|
1997년 6월 20일 ~ 22일
|
영국
|
Birmingham
|
1998년 5월 15일 ~ 17일
|
독일
|
Koln
|
1999년 6월 18일 ~ 20일
|
일본
|
Okinawa
|
2000년 7월 21일 ~ 23일
|
이태리
|
Genoa
|
2001년 7월 20일 ~ 22일
|
캐나다
|
Kananaskis, Alberta
|
2002년 6월 26일 ~ 27일
|
프랑스
|
Evian-les-Bains
|
2003년 6월 1일 ~ 3일
|
미국
|
Sea Island, Georgia
|
2004년 6월 8일 ~ 10일
|
영국
|
Gleneagles, Scotland
|
2005년 7월 6일 ~ 8일
|
러시아
|
St. Peterburg
|
2006년 7월 15일 ~ 17일
|
독일
|
Heiligendamm
|
2007년 6월 6일 ~ 8일
|
일본
|
Hokkaido, Toyako
|
2008년 7월 7일 ~ 9일
|
이태리
|
L'Aquila
|
2009년 7월 8일 ~ 10일
|
캐나다
|
Muskoka
|
2010년 6월 25일 ~ 26일
|
프랑스
|
Deauville
|
2011년 5월 26일 ~ 27일
|
미국
|
Chicago
|
2012년 5월 18일
|
영국
|
Lough Erne
|
2013년 6월 17일 ~ 18일
|
영국, 독일, 브뤼셀 공동
|
Brussels
|
2014년 6월 4일 ~ 5일
|
독일
|
Schloss Elmau
|
2015년 6월 7일 ~ 8일
|
일본
|
Iseshima
|
2016년 5월 26일 ~ 27일
|
이탈리아
|
Taormina
|
2017년 5월 26일 ~ 27일
|
캐나다
|
Charlevoix
|
2018년 6월 8일 ~ 9일
|
프랑스
|
Biarritz
|
2019년 8월 24일 ~ 26일
|
영국
|
화상 정상회의
|
2021년 2월 19일
|
영국
|
Cornwall
|
2021년 6월 11일 ~ 13일
|
-
G7 회의 및 운영체제
-
개 관
-
G7은 별도 사무국이 없으며, 정상회의 개최국이 의장국으로서 회의 준비
-
의장국이 정상회의 및 각료회의를 주도하여 G7의 관심사항 협의
-
정상회의
-
성격
-
G7 정상 간 대화협의체로 국제정치·경제 사안에 대한 자유로운 토론의 장
-
개최국(의장국)
-
G7 국가 간 매년 번갈아 개최
의장국 순번 : 영국(2021)→독일→일본→이탈리아→캐나다→프랑스→미국
-
회의 준비
-
Sherpa는 G7 각국 정상의 대리인(personal representative)으로, Sherpa 간 수차례 회의를 통하여 G7 정상회의 준비
-
정상회의에서 결정된 사항의 진행상황 검토
-
각료급 회의
-
G7 정상회의 사전에 분야별 각료급 회의를 개최, 정상회의 준비
-
우리나라는 2008년 처음으로 G8 환경장관회의, 개발장관회의, 에너지 장관회의, 재무장관회의, 과학기술장관회의, Gleneagles Dialogue(기후변화,청정에너지,지속가능개발 대화)에 초청 받았고 2009년
이탈리아 라퀼라 G8 확대 정상회의에도 참가, 2021년 영국 콘월 G7 회의에는 초청국으로서 분야별 각료급회의에도 모두 참여
-
G7 의제 변화
-
1970년대 : 국제경제 정책 설정 및 국가 간 조정
- 국제경제 시스템의 관리 및 조정에 집중
-
주요 의제
-
국제통화제도의 향방, 자유무역 강화를 통한 국제경제 성장, 선진국 간 거시경제 정책 공조 방안, 개도국 개발을 위한 정책 공유 및 유가 시장의 안정화
-
1980년대 : 초국경적 문제로 확대
-
환경, 테러리즘 및 마약 등 정치적이고 초국경적인 문제까지 포괄
-
주요 의제
- 국제경제 이슈뿐 아니라, 군비 축소와 미국의 유럽 내 미사일 배치, 이스라엘의 레바논 침공 등 안보문제 등 논의
-
1990년대 : 글로벌 이슈의 대두
-
냉전 종식으로 인한 국가 간 교류 활성화, 세계화의 급속한 진행으로 기후변화 등 환경 문제의 대두, 테러리즘 등 초국경적 조직범죄, 식량안보, 난민 문제 등 다양한 문제 논의
-
2000년대 : 글로벌 이슈의 확대
-
기존 비경제적 이슈에 더해 다양한 방면으로 글로벌 이슈 확대
-
주요 의제
- 아프리카 지역, 남북문제 해결 및 저개발 지역 개발이 주요 이슈로 대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