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JPO 제도 개요
1. JPO 제도의 의의
가. 의의
ㅇ JPO는 회원국 정부가 관련비용 일체를 부담하는 조건하에 국제기구 사무국에 수습직원을 파견하여 근무케 함으로써 현장교육을 통해 국제기구 업무에 필요한 자질을 습득토록 하는 제도로서 우리나라는 1996년부터 시행중
나. 목적
ㅇ 국제기구에 대한 인적기여 제고
ㅇ 국제기구 업무에 필요한 자질을 습득토록 하여 향후 국제기구 진출에 필요한 전문인력 양성을 도모
ㅇ 국제기구 활동에 대한 일반국민의 인식을 제고
2. JPO 선발 절차
가. 1차 시험 : 객관식 영어시험 (TEPS)
ㅇ 1차 합격자: TEPS 930점 이상 획득자 전원
- 930점 이상 합격자가 최종 선발자의 6배수를 초과하지 못하는 경우는 최종선발자의 6배수까지, 최종선발자의 10배수 이상 초과시는 10배수까지 1차 합격자로 선발
나. 2차 시험 : 종합평가로 최종합격자 및 후보자 선발
ㅇ 필수과목(75점): 국문면접(30점), 영어면접(20점), 영어작문(25점)
ㅇ 추가배점항목(25점)
- 제2외국어 면접(8점)
* 유엔공용어(불어, 서어, 중국어, 노어, 아랍어)에 한해 시행
- 학위: 석사 (3점), 박사(6점)
- 전문분야 자격증(변호사, 공인회계사 등) (3점)
- 유관분야 근무경력(5점)
- 유관분야 경연대회 입상 (3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