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eg(전자정부)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1. 국가상징
  2. 어린이·청소년
  3. RSS
  4. ENGLISH

외교부

참고자료

외교정책
  1. 홈으로 이동 홈으로 이동
  2. 외교정책
  3. 안보
  4. 북한핵문제
  5. 참고자료
글자크기

제18차 한-아세안 외교장관회의 참석 결과

부서명
외교부 > 북핵외교기획단
작성일
2015-08-05
조회수
1943

 

@ 아래내용 바로보기

 

1

□ 윤병세 장관은 8.5(수)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에서 개최된 제18차 한-아세안 외교장관회의에 공동의장 자격으로 참석하여 △동남아시아국가연합(ASEAN)과의 전략적 동반자관계 발전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한-아세안 협력 현황 및 미래방향, △북핵 문제 및 여타 지역 정세에 대해 의견을 교환하였다.

□ 특히, 이번 회의는 지난해 12월 부산에서 개최된 「한-아세안 대화관계 수립 25주년 기념 특별정상회의」를 통해 한-아세안 전략적 동반자 관계가 한층 더 강화되었음을 평가하고, 동 계기에 협의된 ‘신뢰와 행복의 동반자’ 비전을 구체화하는 등 한-아세안 관계의 미래를 위한 청사진을 실행에 옮기는 계기가 되었다.

o 양측은 향후 5년간의 행동 계획(Plan of Action 2016-2020)을 채택하여, 정치․안보, 경제, 사회․문화, 연계성 증진, 지역 및 국제협력, 개발격차 해소, 소지역협력, 아세안의 제도적 역량 강화 등 분야에서 긴밀히 협력해나가기로 하였다. 또한, 양측은 기존의 한-아세안 협력기금 운영방식을 소규모 단년도 프로젝트에서 대규모 다년도 프로젝트 방식으로 전환하는 등 동 협력기금이 아세안의 수요에 더욱 충실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하였다.

o 아울러, 윤 장관은 △한-아세안 FTA 추가자유화 진전방안, △중소기업의 상호진출 활성화를 위한 호혜적 수단으로서의 한-아세안 비즈니스 협의회 활성화, △양측 국민간 상호 이해를 증진하기 위한 목적으로 2017년 아세안 문화원 개원, △한-아세안 차세대 인재 양성 등에 대해서도 의견을 교환하고 상호 협력을 강조하였다.

□ 윤 장관은 올해 말 예정되어 있는 아세안 공동체 출범을 환영하면서, 아세안이 지난 50여년간 역내 협력을 꾸준히 강화하여 오늘날 동아시아에서 가장 모범적인 지역협력체로 부상하였음을 평가하고, 인구 6억 2천5백만명, GDP 2.4조 달러의 단일시장 형성 등 세계경제의 성장엔진으로서 아세안이 가져올 정치․경제적 변화에 주목하였다.

o 이러한 맥락에서 작년 12월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 계기 신설된 한-아세안 비즈니스협의회가 금년 12월 말레이시아에서 개최될 예정이며, 동 협의회가 양측 중소기업의 창구역할을 수행함으로써 현 대기업 중심의 교역구조를 개선하고, 실질적인 경제교류를 내실화할 것이라는 기대를 표명하였다.

□북핵 문제 관련, 윤 장관은 북한이 핵·미사일 활동을 통해 안보리 결의를 위반하고 있으며, 비핵화 대화를 거부하면서 도발적 행동을 지속하고 있는 바, 아세안이 2014.12월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에서와 같이 단합된 목소리로 강력한 대북 메시지를 발신해야 할 필요성을 강조하고, 이에 대한 아세안의 적극적인 협조를 요청하였다. 아울러 윤 장관은 남·북간 신뢰를 쌓고, 대화를 통해 한반도 평화 통일 기반을 구축코자 하는 우리 정부의 정책을 아세안측이 지지해 준데 사의를 표하고, 지속적인 지지를 당부하였다.

o 아세안 국가들은 대화를 통한 북핵문제 해결 및 남북관계 개선을 지지하는 한편, 북한의 유엔 안보리 결의 준수 필요성 및 9.19 공동성명 공약 이행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아울러, 동북아평화협력구상이 역내 평화와 안정 증진에 기여할 것이라고 평가하였다.

□ 마지막으로 양측은 이번 회의를 통해 한-아세안 관계가 더욱 심화되는 계기가 되었다고 평가하였다. 특히, 이번 외교장관회의를 기점으로 한국의 대화조정국이 인도네시아(2012-15)에서 캄보디아(2015-18)로 이양됨에 따라, 그간 대화조정국이었던 인도네시아의 노력에 사의를 표하고, 향후 대화조정국 캄보디아를 포함한 아세안국가들과 오는 11월 한-아세안 정상회의의 성공적 개최를 위해 긴밀히 협력해 나가기로 하였다. 끝.

 

만족도 조사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메뉴담당부서
북핵협상과
전화
02-2100-80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