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1. 국가상징
  2. 어린이·청소년
  3. RSS
  4. ENGLISH

외교부

군축·비확산이슈

외교정책
  1. 홈으로 이동 홈으로 이동
  2. 외교정책
  3. 안보
  4. 군축·비확산
  5. 군축·비확산이슈
글자크기

[편람] 미사일 방어(MD) 관련 이슈

부서명
외교부 > 국제기구정책관
작성일
2007-10-04
조회수
6156

미국의 미사일 방어(MD) 체계

1. 추진배경 및 목표

 ㅇ 대량살상무기 및 운반수단으로서의 미사일 및 관련 기술의 확산에 의한 제한된 위협 등 새로운 위협이 대두되면서, 소위 불량국가(rogue states)와 테러단체에 의한 위협이 △ 예측불가능성(unpredictable) △ 위험수용성(risk-taking) △ 비대칭성(asymmetrical)을 그 특징으로 하고 있어, 전통적 억지와 방어에 대한 새로운 접근이 필요하다는 인식이 확산되었다.

 ㅇ 이런 인식하에 미사일 공격에 대한 비용 증대, 적국의 위험분석 교란, 보복의 대체수단 제공 등을 통해 억지에 기여하기 위한 보완전략으로서 미사일 방어(MD : Missile Defense)는 △ 미국의 우방 및 동맹에 대한 미국의 안보 공약 확인(Assure) △ 잠재 적국들로 하여금 미사일 개발 포기 유도(Dissuade) △ 미사일 사용에 대한 억지(Deter) △ 억지 실패시 미사일 공격으로부터 보호(Defend)를 그 목표로 추진되고 있다.

2. 현 부시 행정부 MD의 특징

 ㅇ 첫째, 현 부시 행정부의 미사일 방어 전략은 기존 미사일방어체계의 전역 미사일 방어체계(TMD: Theater Missile Defense)와 국가 미사일 방어체계(NMD: National Missile Defense)를 통합하였다. EU와 미국 안보의  협력 연계 필요성에 따라 NMD의 방어대상을 미국에 한정하지 않고 우방국까지 확대해야한다는 인식에 도달했다. 부시 행정부는 클린턴 전 행정부의 제한적 NMD 개념을 폐기하고, 포괄적 NMD를 추진한다는 방향으로 미사일 방어 전략을 수정하고, 이런 입장에 따라 2001.3.8, 럼스펠드 국방장관의 발언 이후 NMD, TMD의 구분이 없어진 MD라는 용어가 사용되기 시작했다.

  ※ 2000.5.1 부시 대통령은 국방대학 연설을 통해 MD 추진 의사 공식화
   - 새로운 안보환경에 효율적으로 대처하기 위한 ‘신전략구상(NSF)' 일환으로 MD 추진
   -  NSF의 주요 내용 : ① Nonproliferation(국제비확산 레짐을 통한 WMD 확산방지 활동), ② Counterproliferation(기확산된 WMD 위협에 대한 대응책 강구), ③ MD(우려국에 의한 미사일 공격으로부터 보호), ④ Further Cuts in nuclear powers(추가 핵군축)
 ㅇ 둘째, 다층적 요격시스템(Multi-layered Defense System)을 구축하기 위한 기술적 노력이 경주되고 있다. 동 시스템은 요격 대상이 되는 미사일의 비행궤적을 추진단계(Boost), 비행단계(Midcourse), 진입단계(Terminal) 등 세 단계로 구분하고, 단계별로 공중배치, 지상, 해상배치, 우주배치별 다양한 무기체계를 통해 미사일 공격에 대응한다는 전략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ㅇ 셋째, 과거 행정부들의 미사일 방어체계의 요격 개념은 폭발형(blast warheads) 및 파편형(fragmentation warheads) 탄두를 이용한 것이었으나, 현 부시 행정부의 요격개념은 요격 미사일을 요격 대상 미사일에 직접 충돌시키는(kinetic energy 혹은 hit-to-kill) 방식을 택하고 있다.

3. 단계별 구성무기 체계 및 강점ㆍ취약점

 가. 추진단계(Boost Defense Segment)

 ㅇ 적 미사일의 연료소진에 따른 열추적 위치 파악이 쉬워 요격이 용이한 점이 있는 반면, 요격체를 적의 미사일 기지에 근접배치하기 어려울 뿐 아니라 요격을 위한 시간이 제한적이라는 단점도 있다.

 ㅇ 추진단계 구성 무기체계로 운동에너지 요격미사일(KEI : Kinetic Energy Interceptor), Airborne Laser(ABL) 등이 개발, 시험중에 있으며, 해상배치 및 우주배치 무기체계는 구상단계에 있다.

 나. 비행단계(Midcourse Defense Segment)

 ㅇ 요격 결정을 위한 시간 및 넓은 방위범위가 확보될 수 있어 적 미사일의 요격 확률이 높다는 점은 강점이나, 대규모 및 중량급 ABM, 고기술 레이더장비 및 우주배치 감시장치 등이 필요하다는 점이 제한요인이다.

 ㅇ 비행단계 구성 무기체계로는 Ground-Based Midcourse Defense(GMD), Aegis Ballistic Missile Defense, Multiple Kill Vehicle 등이 개발, 시험중이다.
 다. 진입단계(Terminal Defense Segment)

 ㅇ 소규모 및 경량급 ABM 및 소규모 레이더장치가 요구되어 비행단계 무기체계보다 기술적인 면에서 취약성이 덜하나, 요격시간 및 방어범위의 제한이라는 약점이 있고, 요격 후 유해물질에 의한 피해측면에서 취약점이 드러난다.

 ㅇ 진입단계 구성 무기체계로 THAAD, PAC-3, MEADS 등이 있다.


4. 부시 행정부 이전 미사일 방어전략의 변천 과정

 ❒ 1980년대 이전

 ㅇ 1958년 100km 상공에서 400킬로톤의 핵탄두로 소련의 미사일을 요격하는 계획의 Nike-Zeus 개발에 착수하였으나 레이더 기술의 낙후 및 국방 예산 제한으로 중단되었다가, 1961년 Nike-Zeus를 개량한 최초의 2층 방위 시스템인 Nike-X 계획을 추진하였다. 동 계획하에 Spartan 요격미사일, 단거리 핵탄두 요격체인 Sprint 요격미사일 등 개발이 진행되었다.

 ㅇ 1970년대 추진된 Nike 세이프가드 계획은 탄도미사일을 고도 20-320km에서 고고도용의 나이키 스파르탄 요격미사일(LIM-49A)로 요격하고, 놓친 것을 고도 1.5-30km에서 저고도용의 Sprint로 요격한다는 방어체계였다.

 ❒ 1983년3월 『전략방위구상(SDI: Strategic Defense Initiative)』 발표

 ㅇ 전략방위구상(SDI)은 우주배치 탄도 요격시스템을 통해 소련의 대규모 미사일 공격으로부터 미국 본토를 방어한다는 “전면방어 개념”에 기반한 “다층적 우주배치 계획”으로 레이건 행정부에 의해 야심차게 추진되었으나, 기술적 한계와 막대한 예산소요로 계획 추진이 지지부진하게 되었다. 

  - 400개의 위성레이더(일명 Brilliant Eye)를 지구 정지구궤도 주변에 배치하고 우주정거장에서 발사되는 수백개의 요격체(일명 Brilliant Pebbles)로 최대 3,500개의 표적 방어를 가능토록 한다는 개념

 ❒ 1991년 1월 『제한공격에 대한 범세계방어(GPALS: Global Protection Against Limited Strikes)』 구상 발표

 ㅇ 미사일 방어의 목표를 소련의 대규모 핵공격에 대한 전면방어 대신 제3세계 국가, 구소련으로부터 독립한 신생국가 및 비정상적인 러시아 미사일 부대 지휘관에 의한 “제한된 규모의” 미사일 공격에 대한 방어로 전환한다는 “제한공격에 대한 범세계방어” 구상이 1991년 1월 발표되었다.
 ❒ 1993년 5월 『탄도미사일방어구상(Ballistic Missile Defense Initiative) 』발표

 ㅇ “탄도미사일 방어구상”은 예산 제한으로 전세계 방어보다는 주요 지역방어 필요성이 제기됨에 따라 구상된 계획으로 우방국 방어보다는 미국 본토와 해외주둔 미군 방어에 중점을 두었다. 즉, 전술탄도탄 요격을 목표로 한 Theater Missile Defense에 집중 투자하되 중·장거리 대륙간 탄도탄 요격을 겨냥한 National Missile Defense는 장기 계획으로 추진한다는 계획이었다. 

 ❒1993년 9월 TMD에 우선 순위를 부여한 『전면검토계획(Bottom-up Review Program)』 발표

 ㅇ 1991년 걸프전 당시 이라크의 Scud 미사일 공격을 효과적으로 방어하지 못함에 따라 전술탄도탄 요격을 목표로 하는 TMD 시스템 개발이 추진되었으며, 이때부터 ‘해상 광역방어체계’(NTWD: Navy Theater Wide Defense)와 ‘육상배치 전역고고도방어체계’(THAAD) 개념이 본격적으로 등장하였다.

  - TMD 구성
   ㆍ저층(Low Tier) 요격시스템 : 대기권내 저고도 목표물 대상
        : PAC-3 및 NAD(Navy Area Defense)
   ㆍ고층(Upper Tier) 요격시스템 : 대기권밖 고고도 목표물 대상
            : THAAD 및 NTW(Navy Theater Wide)

  - 배치 계획
   ㆍ2001년까지 PAC-3, 2003년까지 NAD를 각각 배치하여 저층 요격시스템 구축
   ㆍ고층요격시스템인 THAAD는 2007년까지, NTW는 2006년까지 개발후 배치 추진

 ❒ 1996년 7월 제한적 NMD 구상 및 3+3 프로그램 발표

 ㅇ 1996년 3월 미국 공화당이 2003년까지 국가미사일방어(NMD) 시스템을 배치하는 내용의 Defend America Act를 의회에 제출하는 등 압력을 행사하자, 클린턴 행정부는 1997-1999년간 연구, 2000-2002년간 실전배치 필요성 검토, 2003년 배치한다는 기본 추진계획을 담고 있는 ‘3+3 프로그램’을 1996년 7월 발표했다.
 ❒ 1999년 1월 NMD 예산 추가 배정 및 배치 여부 검토 계획 발표

 ㅇ 1998년 7월 Rumsfeld 보고서는 북한 및 이란 등 일부 국가가 5년이내 미국 본토를 위협하는 미사일을 개발할 가능성이 있음을 예고하였고, 1998년 8월 북한의 대포동 1호 시험 발사는 동 보고서의 신뢰성을 부여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에 따라, 클린턴 행정부는 NMD 예산을 추가 배정하고 동 배치여부는 ① 위협 평가, ② 기술능력, ③ 비용, ④ 군축/비확산에 미치는 영향 등을 고려하여 2000.6월 결정한다는 검토계획을 발표하였다. 

 ❒ 2000년 9월 클린턴 대통령, NMD 배치 여부에 대한 결정은 차기 행정부로 연기한다고 발표

5. 동유럽내 미사일 방어 기지 건설관련 국제 동향

 ㅇ 미국은 2015년까지 이란이 미국과 유럽에 도달할 수 있는 장거리 미사일을 개발할 것으로 전망하면서 이란의 장거리 미사일 위협으로부터 유럽 및 미국을 보호하기 위해 2011-13년까지 폴란드에는 10기의 요격 미사일 기지를, 체코에는 레이더 기지를 건설한다는 계획을 수립하고, 2007부터 폴란드와 체코와 공식 협의중에 있다.

 ㅇ 이에, 러시아는 동유럽내 미사일 방어 기지를 건설하려는 미국의 계획에 대해 자국을 겨냥한 계획이라면서 미국의 계획에 대한 대응으로 “비대칭적 대응책”을 강구할 것이라고 강조하였다.

 ㅇ 또한, 러시아 지도층은 중거리 핵전력 폐기 협정(INF Treaty: Intermediate- Range Nuclear Forces Treaty)의 일방적 파기 가능성 및 유럽재래식전력감축조약(CFE Treaty: Conventional Armed Forces in Europe Treaty) 의무이행 모라토리움 선언 가능성을 언급하는 한편, Putin 러시아 대통령은 2007.6.1 G8 국가 언론들과의 기자회견시 동구내 미사일방어 기지를 핵무기 공격대상으로 할 수 있다고 발언한 바 있다.

 ㅇ 이러한 미국과 러시아간 경색된 관계속에서, Putin 러시아 대통령은 2007.6.7 G8 정상회담을 계기로 개최된 미-러 정상회담에서 아제르바이잔에 위치한 러시아의 기존 Gabala 레이더 기지를 공동 사용하는 방안을 제의하여 양측이 검토중에 있으나, 미국은 동구기지 건설방침을 견지하고 있고, 러시아는 동 방침을 용납할 수 없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어서 국제사회는 군비경쟁 초래 가능성을 우려하고 있다.

만족도 조사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메뉴담당부서
군축비확산담당관실
전화
02-2100-72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