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eg(전자정부)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1. 국가상징
  2. 어린이·청소년
  3. RSS
  4. ENGLISH

외교부

국제경제동향

외교정책
  1. 홈으로 이동 홈으로 이동
  2. 외교정책
  3. 경제
  4. 국제경제동향
글자크기

[경제동향] 아시아의 Global Platform

부서명
작성일
2001-12-07
조회수
952
* Peter WOO 홍콩 무역발전국(TDC) 회장은 12.6 홍콩기업연합회가 주최한 "홍콩 포럼" 오찬연설에서 홍콩은 기업인이 기업하기에 가장 적합한 지역이며 또한 이들이 중국에 진출하거나 중국기업이 세계에 진출할 수 있도록 하는 플랫폼(Global platform)이 될 수 있을 것이라는 취지의 연설을 행한바, 주요요지는 아래와 같음. ** 홍콩기업연합회(Federation of Hong Kong Business Association)는 홍콩의 28개 각종 협회로 구성되어 있는 매우 독특한 조직이며 22개 국가로부터 170여명의 회원들이 이번 포럼에 참석함. 1. 2001년은 중국에게 있어 매우 중요한 해였음 2001년은 중국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한해가 되었음. 예를 들면 상해에서 개최된 APEC 정상회의의 성공적 개최, 북경 올림픽 개최 확정, 도하에서의 중국의 WTO 가입 확정 등 중국의 발전상을 세계에 알려 줄 수 있는 계기가 되는 중요한 해였음. 이러한 계기를 통해 중국이 올바른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는 것을 알려 주게 되었음. 2. 중국의 WTO 가입이 홍콩에 미치는 영향 홍콩은 지난 20여년간 중국의 개방정책으로 많은 이익을 보아왔으며 중국의 WTO 가입으로 GDP는 연간 0.5% 포인트 추가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고 무역도 연간 1.3% 포인트 추가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3. 중국의 WTO 가입이후 홍콩의 역할 중국의 WTO 가입은 매우 커다란 새로운 시장이 개방된다는 것을 의미하고 홍콩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지게 됨. 홍콩은 서비스 지향적인 경제이며 GDP의 85%가 서비스와 관련되어 있는 바, 중국의 WTO 가입 이후 홍콩의 역할이 어떻게 변화할 것인가와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3가지 가정을 검토해 볼 수 있음. - 첫째, 외국기업의 직접적인 중국진출 증가 - 둘째, 상해가 홍콩을 대체 할 것이라는 것 - 셋째, 홍콩의 고비용 구조 중국의 WTO 가입 이후 외국기업이 홍콩을 경유하지 않고 직접적으로 중국에 진출할 것이라는 것과 관련 외국의 거대기업은 직접진출 할 수도 있을 것이나 직접진출은 위험측면에서 볼 때 너무 큰 위험이 뒤따르고 있어 상당한 시행착오가 있을 것임. 이러한 위험을 감안하여 외국의 SMEs는 직접진출을 회피하고자 지난 20여년간의 중국진출 경험을 갖고 있는 홍콩기업과 전략적인 파트너십을 구축하고 이를 통해 중국에 진출하여 중국진출에 따른 위험을 감소시키게 될 것임(최근 일본 기업의 중국진출을 예로 설명함). - 또한 해외로 진출하고자 하는 중국기업에게 홍콩은 전시장(Showcase)으로서 활용 될 수 있을 것임. 상해가 홍콩을 대체하게 될 것이라는 주장과 관련해서는 중국이 하나만의 대외 중심창구(one basic platform)를 갖게 될 것이라는 가정과 연결되어 있음. 미국의 경우 New York, Chicago, Atlanta 등 여러 도시가 중심역할을 하고 있는 것과 같이 중국도 거대한 국가로 여러 개의 중심창구를 필요로 하고 있음. - 중국은 현재 북경과 천진지역, 상해 및 강소성지역, 성도 및 중경지역, 홍콩과 주강삼각지·광동성지역 등 4개 지역을 중심으로 발전하고 있음. - 홍콩은 주강 삼각지와 광동성을 배후지역으로 하여 발전하고 있는 바, 상해와는 그 배후지역이 다름. 아울러 상해가 국가개발 중심으로 발전을 추진하고 있는 데 비하여 홍콩은 주강 삼각지 등은 민간주도로 발전을 추진하고 있음. - 또한 홍콩의 통화의 兌換性(convertibility) 보장, 자유로운 자본이동과 정보의 유통, 법의 지배, 통신·교통 등 잘 갖추어진 인프라, 각종 분야의 풍부한 전문가의 존재, 금융 및 물류 중심지 등은 여타 도시와 비교하여 이는 경쟁적 강점으로 작용하며 홍콩의 입장에서 볼 때 홍콩은 중국에 진출하는 지름길임. 높은 비용구조와 관련 지난 20여년간 홍콩은 90% 이상의 제조업이 심천 등 주강 삼각주 지역에 재배치되어 있는 바, 오늘날 만의 현상은 아님. - 특히 중국과의 밀접한 지리적·인적 연관성과 동일한 언어 사용, 영어 등은 홍콩의 강점인 바, 최근 4500개의 외국기업이 홍콩에 사업을 위한 지역본부 및 사무소 등 플랫폼을 설치함. 4. 결론 홍콩은 중국의 WTO 가입 이후 중국으로 진출코자 하는 외국기업이나 세계로 진출코자하는 중국기업들의 전략적 파트너십을 위한 플랫폼이 될 수 있을 것임.
만족도 조사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메뉴담당부서
유럽경제외교과, 다자경제기구과
전화
02-2100-7665, 02-2100-77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