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1. 국가상징
  2. 어린이·청소년
  3. RSS
  4. ENGLISH

외교부

국제경제동향

외교정책
  1. 홈으로 이동 홈으로 이동
  2. 외교정책
  3. 경제
  4. 국제경제동향
글자크기

[경제동향] [언론보도]5월 홍콩 인플레이션 5.7%, 1997년 이후 최고치(6.23)

부서명
외교부 > 다자통상국 > 통상홍보기획과
작성일
2008-06-25
조회수
805

 


* 2008.6.21(토)-23(월) 홍콩 언론에 보도된 중국 정치.경제 정세를 아래와 같이 보도함.(주홍콩총영사관 6.23일자 보고)



1. 중국 정치 정세

ㅇ 시진핑 부주석 사우디 방문, 전략적 우호협력관계 강화키로 (명보 6.23)

  • 최근 북한을 방문했던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부주석이 북한에 이어 몽골, 사우디아라비아, 카타르, 예멘 등 5개국 순방길에 오름
  • 시 부주석은 전날인 6.21 압둘라 사우디아라비아 국왕과 회동을 갖고 쓰촨(四川) 대지진 당시 보여준 사우디아라비아의 원조에 감사의 뜻을 전하고 에너지 분야를 비롯해 양국 간의 우호ㆍ협력관계를 재확인함.


ㅇ 후진타오 주석, 네티즌과의 대화 (홍콩경제일보 6.21)

  • 후진타오(胡錦濤) 주석이 6.20 인터넷 화상채팅을 통해 네티즌과 처음으로 직접 대화를 나눔.
  • 5분 간 진행된 대화에서 수많은 네티즌들이 수백 개의 질문을 했고, 후 주석은 이 중 3개의 질문에 답한 바, 물가 상승, 부패, 경제, 사회 민생 문제 등 구체적인 질문에는 직답을 피하고 네티즌의 의견을 적극 수렴하겠다고 답함.
  • 중국 내 인터넷 이용자가 급속히 늘면서 중요한 사회적 세력으로 부상하고 있는 바, 이번 대화도 당국이 인터넷 여론을 매우 중요시하고 있음을 보여줌.


ㅇ 중국 여행객, 대만 관광 시 경제활동 금지 (신보 6.23)

  • 중국 해협양안관광교류협회가 6.21 중국인 여행단의 대만 관광 관련 관광객과 여행사들의 주의사항을 담은 3건의 문건을 발표함.
  • 동 문건에 따르면 협회의 허가를 얻은 여행사만이 대만 관광 업무를 알선할 수 있으며, ‘양안관계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는’ 도박, 유흥, 마약 등이 포함된 관광일정은 금지됨.
  • 또 대만 관광 명의로 중국인들이 대만에 가서 경제, 문화, 보건, 과학기술, 교육, 종교, 학술 등 양안교류 및 국제활동 성격의 방문업무를 추진해서는 안 된다고 명시됨.


ㅇ 대만, 공산주의 더 이상 금기 아니야 (신보 6.23)

  • 대만사법원의 대법관이 얼마 전 ‘인민단체법’에서 공산주의나 국토분열 주장을 금지하는 규정이 언론의 자유를 침해한다고 결론을 내린 바, 대법원의 판결 이후 관련 규정은 폐지됨.
  • 대법관 회의의 이 같은 판결에 따라 대만에서는 앞으로 `대만 공산당' 신청과 설립이 가능해 짐.


ㅇ 베이징올림픽 성화, 라싸 봉송 삼엄한 경비 속에 진행 (명보 6.22)

  • 지난 3월 티베트 소요 사태가 발생한 티베트자치구 수도 라싸(拉薩)에서 6.21 삼엄한 경비 속에 올림픽 성화 봉송이 마무리됨.
  • 이날 현장에는 수천 명의 공안과 무장경찰들이 배치돼 삼엄한 경비를 펼쳤고, 현장에 응원 나온 티베트인 등 시민들도 사전에 미리 철저한 검증을 거쳐 선발됨.


ㅇ 광둥 지역 화폐 위조에 공직자 개입 가능성 (빈과일보 6.21)

  • 화폐 위조로 유명한 광둥(廣東) 지역의 관원들이 화폐 위조에 직접 개입했다는 추측이 제기됨.
  • 마오룽제(毛榮楷) 광둥성 기율위원회 상무위원은 광둥 일부 지역에 위조 화폐가 판을 치고 있는 원인으로 관계자의 직무 소홀 뿐 아니라 일부 관원의 위조 지폐 제작과 유포의 직접 참역도 있다고 털어놓음.



2. 중국 경제 정세

ㅇ 중국, 석탄 액화석유 2008년 9월 시험 생산 돌입 (신보 6.23)

  • 중국의 석탄기업인 선화(神華)그룹이 탄광지역인 네이멍구(內蒙古) 어얼둬스(鄂爾多斯)에 석탄을 직접 액화해 석유로 바꾸는 생산라인을 이미 완공하고 시운전 단계에 들어간 바, 오는 9월부터 석탄액화 석유가 시험 생산될 예정임.
  • 이는 중국이 에너지난과 국제유가 상승에 대응하기 위해 지난 4년간 공들여온 석탄액화석유 개발 프로젝트로, 투자 및 생산이 순조로울 경우 선화그룹은 2년 내에 2개 생산라인을 추가 건설한다는 계획임.
  • 123억 위안이 투입된 첫 생산라인에선 매년 350만t의 석탄을 투입, 휘발유, 액화석유가스, 나프타 등 각종 석유제품 108만 톤을 생산할 수 있음.



3. 홍콩·마카오 정세

ㅇ 시진핑 부주석, 내달 초 홍콩 방문 (홍콩경제일보 6.23)

  • 시진핑(習近平) 국가 부주석이 내달 초인 7.6-9 홍콩을 방문할 예정임.
  • 이번 방문은 홍콩에서 진행되는 베이징올림픽 경마경기 개최 준비 상황 시찰과 쓰촨(四川) 대지진 당시 홍콩 지역의 성금 전달에 감사의 뜻을 전하기 위해 이뤄짐.
  • 이는 시 부주석이 홍콩·마카오 사무를 주관한 이후 처음 홍콩을 방문하는 것으로 5년 후 최고지도자 자리에 오를 시 부주석과 홍콩 각계 인사와의 만남이 이루어질 것으로 보임.


5월 홍콩 인플레이션 5.7%, 1997년 이후 최고치 (홍콩경제일보 6.21)

  • 홍콩 통계처의 대변인은 지난 5월 기본 인플레이션이 재차 상향 조정된 것은 주로 개인 주택 임대료, 여행비용 및 외식비용의 상승폭이 컸으며, 그 중 임대비가 인플레이션을 부추긴 주요 동력이라고 밝힘.
  • 부동산 관련 업계의 인사는 올해 3/4 분기 임대료가 10% 이상 상승하고, 연말까지 상승추세가 이어질 것이라고 전망함.
  • 홍콩 중문대학의 경제과 부교수는 단기간 내에 인플레이션이 하락하기는 어려울 것이며, 특히 개인주택 임대료의 지속적인 상승 추세와 이번 달부터 실시되는 교통요금 인상으로 향후 수개월 동안 인플레이션은 5%~6%의 상승폭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함.


ㅇ 홍콩의 전력 소비량, 10년 동안 25% 상승 (명보 6.23)

  • 유가 폭등으로 에너지 가격이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음에도 불구 홍콩의 에너지 소비량이 매년 증가하고 있음.
  • 홍콩 EMSD(机?工程署)가 최근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홍콩에서 에어컨의 전기 소모량이 과거 10년 동안 18% 증가해 소모량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남.
  • 따라서 정부는 각 부처에 실내 온도를 25.5℃로 설정하고, 가능한 에너지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조명을 이용하고, 수냉식 에어컨 사용을 권고함.


ㅇ 홍콩 정부, 조류독감 방지 위한 2가지 방안 제시 (홍콩경제일보 6.21)

  • 조류독감 대책으로 ▲교차감염을 막기 위해 생닭을 하루 내에 도살 혹은 ▲양계 농장, 소매, 도매업계 및 운송업계 전체에 10억 홍콩 달러의 배상금 지급조건으로 폐업을 유도할 것인지 2주 안으로 결정 내려야함.
  • 관련 업계에서는 정부의 방안에 불만을 나타내며, 일부는 정부의 배상금에 불만을 토로하고 있으며, 또 일부는 다시는 협상하지 않을 것이라는 입장을 밝힘.



4. 홍콩 주요 언론 머리기사, 사설, 논평, 기고문

가. 머리기사

ㅇ 周小川:或推更强硬措施?通脹 (문회보 6.22)

  • 중국 인민은행장, 인플레이션 억제 위해 더 강력한 조치 가능

ㅇ Wen promises safer schools and hospitals on quake visit(SCMP 6.23)

  • 원자바오 총리, 산시(陝西)성과 간쑤(甘肅)성 지진 피해지역에 대한 3차 시찰을 마무리하면서, 두 성 피해주민에게 2개월 내 정상 생활복귀와 2년 내 재건사업 완료를 약속하고, 특히 학교와 병원 재건 시 가장 안전하게 지어지도록 할 것이라고 강조.


나. 사설

ㅇ 兩岸關係應高於對美和對日關係 (문회보 6.21)

  • 마잉주(馬英九) 총통 취임 후 중미관계, 중일관계에서 ‘대만독립 억제’라는 요소가 사라졌기 때문에 적어도 단기간 동안은 이들 양자관계에서 새로운 전략적 버팀목을 찾을 필요가 있음.

ㅇ 金融危機再現 中國恐難倖免 (홍콩경제일보 6.23)

  • 세계적인 인플레이션이 심화되면서 아시아지역 일부 개도국의 인플레이션율이 7% 이상의 급등세를 보이고 있는 바, 전면적인 금리 인상이 예상됨.
  • 이에 따라 더 많은 자금이 아시아 시장, 특히 화폐시장으로 유입되어 아시아 지역의 금융위기가 재발할 경우 중국도 이 위험에서 벗어나기 쉽지 않을 것임.

 

 


만족도 조사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메뉴담당부서
유럽경제외교과, 다자경제기구과
전화
02-2100-7665, 02-2100-77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