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1. 화면크기
  2. 국가상징
  3. 어린이·청소년
  4. RSS
  5. ENGLISH

외교부

국제경제동향

외교정책
  1. 홈으로 이동 홈으로 이동
  2. 외교정책
  3. 경제
  4. 국제경제동향
글자크기

[경제동향] [투르크메니스탄] 최근 주요 경제 및 에너지/자원 동향(24.7월)

부서명
유럽경제외교과
작성일
2024-08-12
조회수
134

(정보제공 : 주투르크메니스탄)




                                    투르크메니스탄의 최근 주요 경제 및 에너지/자원 동향(24.7월)



1. 주요 경제 동향


1) 금년 상반기 GDP 성장률, 6.3%


ㅇ 내각회의가 개최(7.12.(금))되었으며, 금년 상반기 경제실적 등이 보고됨.


   - (거시지표) 금년도 상반기 GDP 성장률: 6.3%


      ※ 분야별 성장(전년동기 대비)

        ㆍ산업 3.6%, 건설 9.3%, 교통·통신 부문 7.3%, 교역 7.8%, 농업 5.8%, 서비스 부문 7.9%, 총생산 11.5% 증가 등

        ㆍ소매 거래량 11.1% 증가, 대기업·중소기업 임금 10.4% 인상

        ㆍ자본 투자 20.8% 증가했으며(GDP 대비 17.3% 규모), 자본 투자의 48.5%는 산업시설 분야에 51.5%는 사회ㆍ문화 분야에 투자


   - (석유·가스) 천연가스 생산량 402억 3,010만㎥, 석유 생산량 416만 3,700톤(약 3,052만 배럴)*」

     *」석유 1톤 = 약 7.33배럴 적용 환산


   - (농업) 투르크메니스탄 전역에서 140만 톤 이상*」의 곡물 수확, 농산물 생산 증가(채소류 7.4% ↑, 열매 및 과일 1.2% ↑, 감자 11.4% ↑, 육류 0.6% ↑, 우유 0.5% ↑)

    

        *」 아할州 40만 톤 이상 밀 수확, 발칸州 8만 톤 이상 곡물 수확, 다쇼구즈州 27만 톤 이상, 레밥州 31만 톤 이상, 마리州 34만 5,000톤 이상 곡물 수확


        ※ 농업인 격려행사 개최(대통령궁., 7.12.)


  - (무역) 금년 상반기 교역 규모 및 상품 생산은 전년동기 대비 각각 103.1% 및 104.5% 증가함


      * 섬유 133.5%↑, 니트 의류 104.4%↑, 가죽 제품 118%↑, 카페트 101.3%↑

        (Turkmenhaly 카페트 협회 목표 달성률)


      * 상품 및 원자재 거래소는 147건 입찰 실시(14,040건 계약 등록), 상공회의소는 24년 상반기 목표달성률 111.4%(12개 전시회 및 65개 컨퍼런스 개최), 산업기업가연맹은 농산물·식량 및 공산품 생산 각각 112.1% 및 103.2% 증가함을 보고함


  - (대외관계) 세르다르 베르디무하메도프 대통령은 금년 상반기 러시아를 실무 방문하여 전승절 행사에 참석하였으며, 구르반굴리 베르디무하메도프 최고지도자는 아랍에미리트(UAE)·튀르키예·타지키스탄·러시아 타타르스탄 공화국·이란·카자흐스탄을 방문함


      ※ 금년 상반기 투르크메니스탄을 방문한 외국 정상은 대한민국 대통령임


2) 2025년도 최저임금 10% 인상(1,410마나트)


ㅇ 투르크메니스탄 정부는 2025년도 최저임금을 10% 인상하여 1,410마나트(공식환율 기준 402$)로 정함(2025.1.1.일부터 적용)


  - 참고로 지난 2020년 이후 최저임금은 매년 10% 인상해옴

 

'20

'21

'22

'23

'24

'25

최저임금(마나트)

870

957

1,050

1,160

1,280

1,410

GDP 성장률

5.9%

6.2%

6.2%

6.3%

6.3%(상반기)

 


ㅇ 대조국 전쟁 참전용사 최저연금은 월 2,280마나트(공식환율 기준 651$), 최저연금 계산 기본액은 월 550마나트 수준으로 정함


3) 정부 간 위원회 개최


ㅇ (제18차 투르크메니스탄-우즈베키스탄 경제협력위, 7.16.)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에서 바티르 아트다예프(Batyr Atdaev) 투르크메니스탄 무역 부총리와 잠시드 호자예프(Jamshid Khojaev) 우즈베키스탄 부총리가 참석한 가운데 제18차 투르크메니스탄-우즈베키스탄 경제협력위가 개최됨


   - (주요 논의 내용) △기존에 구축되었거나 구축 예정인 복합 운송로 △양국 영토를 경유하는 국제 운송 관련 비자 발급 절차 간소화 △양국 간 국경무역지대 조성 △농업 및 수자원 관리 분야 인력 양성 △교사 및 학생 교류 등 협력 방안


      ※ 양국 간 교역액: 금년 상반기 6억 1,420만 달러(전년동기 대비 약 1억 7,000만 달러 ↑, 수출액 5억 5,370만 달러, 수입액 6,050만 달러), 투르크메니스탄은 우즈베키스탄의 6대 교역국/ 투르크메니스탄 기업 187개가 우즈베키스탄에서 활동 중  


      ※ 동 계기에 제4차 투르크메니스탄-우즈베키스탄 비즈니스 협의회 개최(7.15.)


ㅇ (제6차 투르크메니스탄-키르기스스탄 경제협력위, 7.26.) 키르기스스탄 촐폰아타(Cholpon-Ata)에서 안나겔디 사파로프(Annageldi Saparov) 투르크메니스탄 에너지부 장관과 바키트 토로바예프(Bakyt Torobayev) 키르기스스탄 부총리 겸 수자원·농업·가공산업부 장관이 참석한 가운데 제6차 투르크메니스탄-키르기스스탄 경제협력위가 개최됨


  - (주요 논의 내용) 양측은 투르크멘바시 항구를 활용하는 중국-키르기스스탄-우즈베키스탄-투르크메니스탄 교통로 개설을 통한 카스피해 및 러시아로의 접근 허용 등 지리적 위치에 따른 교통·물류의 잠재력을 강조하였으며, △투르크메니스탄을 경유하는 키르기스스탄 화물운송업체에 대한 특혜 요금(preferential tariffs) 적용 및 키르기스스탄 운전자에 대한 비자 간소화 △양국 간 공동 벤처 및 사업 등 지원 수단으로「투르크메니스탄-키르기스스탄 개발 펀드」 조성 △투르크메니스탄 섬유와 키르기스스탄 의류 산업 역량의 결합 및 농업·축산업 분야 협력 △촐폰아타(Cholpon-Ata) 리조트 건설 프로젝트 및 수력 발전·보건·교육·문화 프로젝트 등


      ※ 동 회의의 결과 제6차 투르크메니스탄-키르기스스탄 경제협력위 의정서 및 2025년 키르기스스탄으로의 투르크메니스탄 전력 수입 문서 서명


      ※ 양국 간 교역액: 2023년 6,400만 달러(지난 4년 사이 7배 증가)


4) 교통 분야 협력


ㅇ (투르크메니스탄 경유, 인도-우즈베키스탄 간 첫 컨테이너 열차 운행) 투르크메니스탄 교통물류센터(TULM)는 인도-우즈베키스탄 간 첫 컨테이너 열차를 성공적으로 운행하기 시작하였으며, 세라믹 타일 등을 적재한 20TEU 컨테이너 화물 열차가 이란 반다르 압바스(Bandar Abbas) 항구를 출발하여 Sarakhs(투르크메니스탄)를 거쳐 Chukursai 기차역(우즈베키스탄)으로 운행 중


      ※ 2023.12월, 투르크메니스탄 철도청과 우즈베키스탄 철도공사 간 회의에서 인도-우즈베키스탄 간 컨테이너 운송에 대한 특혜 요금(preferential tariffs) 적용 및 통관 절차 신속화 등 협의


ㅇ (투르크메니스탄-카자흐스탄-아프가니스탄 간 운송 협력) 7.19.(금) 카자흐스탄 악타우(Aktau)에서 개최된 제1차 남북 교통·무역·물류포럼(North-South Transport, Trade and Logistics Forum) 계기, 투르크메니스탄·카자흐스탄·아프가니스탄 교통 관련 정부 부처 대표들 간 회의가 개최되어 투르크메니스탄 서부 국경 지대에서 출발하여 아프가니스탄을 거쳐 파키스탄 및 인도로 이어지는 새로운 철도 노선(Torghundi - Herat - Kandahar - Spin-Buldak) 건설 방안에 대해 논의함


      ※ 제1차 남북 교통·무역·물류 포럼에서 카자흐스탄·이란·투르크메니스탄·러시아는 2024-2025 남북 운송로 개발 로드맵에 서명하였으며, 동 로드맵 시행 시 2027년경 수송 용량이 연간 1,500만톤, 2030년경 연간 2,000만톤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  끝.

만족도 조사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메뉴담당부서
유럽경제외교과, 다자경제기구과
전화
02-2100-7665, 02-2100-77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