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eg(전자정부)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1. 국가상징
  2. 어린이·청소년
  3. RSS
  4. ENGLISH

외교부

외교부 브리핑

대변인 정례브리핑 (12.5)

부서명
언론담당관실
작성일
2023-12-05
조회수
2659



I. 모두 발언

 

안녕하십니까? 12월 5일 정례브리핑을 시작하겠습니다.

 

오늘은 먼저 발표할 사항이 없습니다.

 

질문 주시면 답변드리겠습니다.

 

II. 질의 및 응답

 

<질문> 안녕하세요중국 세관의 요소 수출 제한으로 국내 요소 급 차질이 빚어질 수도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는데관련해서 교부 구체적인 대응 방안 설명 부탁드립니다(데일리안 남가희 기자)

 

<답변> 외교부는 중국에서 요소의 수출 통관이 지연되고 있다는 정보를 입수한 바 있습니다이에 따라 지난 12월 1일 중국 국가발전개혁위원회해관총서상무부외교부 등 관계기관에 공한을 보내서 요소 수입에 따른 애로사항을 제기하고 차질 없는 통관 진행을 적극 요청하고 있습니다.

 

외교부는 앞으로도 우리 유관 부처와 협업하며우리 기업 애로항 해결과 공급망 안정을 위해 중국 측과 계속 협의해나갈 예정입니다.


<질문> 관련된 질문인데요그러면 한중 간 외교 소통이 있었다는 씀이신데 중국으로부터 어떤 답변을 들으셨는지 말씀 부탁드립니다. (미디어펜 김소정 기자)

 

<답변> 중국측 답변에 대해서 세세하게 밝히지는 않겠습니다다만이 건과 관련해서 정부가 우리 기업의 애로사항 해소를 위해 현지 공관 등을 통해 적극 노력하고 있다는 점을 말씀드립니다.

 

<질문> 주한미군이 싱가포르와 연합훈련에 참가했다는 보도가 있었습니다전략적 유연성이 강화되면 한반도가 국제적 분쟁에 휘말릴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는데 외교부 입장 묻고 싶습니다(뉴스토마토 한동인 기자)

 

<답변>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을 저해하는 것은 날로 고도화되고 있는 북한의 핵·미사일 개발 위협이며이에 대해서는 국제사회 모두가 지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우리나라는 미국 등 우방국과 국제사회와 협력해서 북한이 비핵화로 길로 나올 수 있도록 적극적인 외교적 노력을 기울여나갈 것입니다.

 

<질문>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이도훈 대사 등 신임장 제정식에서 러 관계 회복을 언급했는데요이와 관련해서 정부가 밝히실 입장이 있으신가요(미디어펜 김소정 기자)

 

<답변> 다른 나라 정상 발언에 대해서는 언급을 하지 않겠습니다우리 정부는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 그리고 러시아 내 우리 기업과 국민을 보호하기 위해서 러시아측과 필요한 소통을 계속하고 있습니다추가 질문 없으시면 오늘 브리핑은 마치겠습니다감사합니다.  

만족도 조사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메뉴담당부서
언론담당관실
전화
02-2100-81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