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1. 국가상징
  2. 어린이·청소년
  3. RSS
  4. ENGLISH

외교부

보도자료

정세균 국무총리, 제36차 국제개발협력위원회 주재

부서명
개발협력국 개발정책과
작성일
2021-01-20
조회수
6794

□ 정세균 국무총리는 1월 20일(수) 14시 정부서울청사(별관)에서 제36차 국제개발협력위원회*(위원장: 국무총리)를 주재했습니다.
 
* 「국제개발협력기본법」에 따라 국제개발협력 관련 주요 정책을 심의하는 기구
 
※ 참석 : △(위촉위원) 최재훈·최윤재·홍은표·강명옥·권순만·윤미경·최창용·장혜영·양진옥·최아름 위원
△(당연직위원) 기재·문체·산업·여가·해수부 장관, 국조실장, 교육·과기정통·외교·행안·농식품·복지·국토부 차관, 한국수출입은행장, 한국국제협력단 이사장
 
□ 위원회는 이날 회의에서, 향후 5년간 우리나라 ODA의 청사진이라 할 수 있는 ①「제3차 국제개발협력 종합기본계획(’21~’25년)」과 연간 양자 ODA 재원의 70% 이상을 지원할 수원국을 지정하는 ②「ODA 중점협력국 재선정안」을 심의·의결하였습니다.
 
ㅇ 이와 함께, 위원회는 42개 기관의 올해 ODA 사업 계획을 담은 ③「’21년 국제개발협력 종합시행계획」과
 
ㅇ 몽골, 파키스탄 등 5개 국가의 ODA 전략을 보완하는 내용의 ④「5개 ODA 중점협력국 국가협력전략 수정안」도 함께 의결했습니다. 안건별 주요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1. 제3차 국제개발협력 종합기본계획(’21~’25년)
 

◈ ’30년까지 ODA 규모 2배 확대(’19년 기준), ’22년까지 보건분야 역량 집중*
 
* 보건ODA : (’20년) 2,773억원 → (’21년) 3,358억원(21%↑)
 
◈ 그린 뉴딜 ODA* 비중 확대, 기후변화 대응 논의 선도(’21.5월 P4G 정상회의 개최 등)
 
* 친환경 요소를 가미한 ODA로서, 개도국 지속가능발전 및 우리 기업 참여 촉진
 
◈ 「신남방정책 플러스(’20.11월)」* 등 대외전략과 연계를 통해 가시적 성과 창출 확대
 
* (주요 내용) ①포괄적 보건의료 협력, ②인적개발 지원, ③문화교류 증진, ④무역투자 기반 구축, ⑤농어촌 및 도시 개발, ⑥미래산업 육성, ⑦비전통적 안보분야 협력
 
◈ 디지털 뉴딜 ODA와 공공행정 ODA를 통한 개도국 행정·제도 혁신 중점 지원

 
□ 정부는 “협력과 연대를 통한 글로벌 가치 및 상생의 국익 실현”이라는 비전을 설정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해
 
ㅇ ①포용적 ODA, ②상생하는 ODA, ③혁신적 ODA, ④함께하는 ODA 등 4대 전략목표와 12개 중점과제를 추진키로 하였습니다. 전략목표별 추진과제의 세부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사각형입니다. 포용적 ODA
 
□ 항구적인 감염병 대응역량 강화 등 개도국 코로나19 대응 지원을 위해 ’22년까지 보건·의료 ODA를 대폭 확대하고,
 
ㅇ ’20년 7월 국제개발협력위원회에서 심의·의결한 「코로나19 대응 ODA 추진전략」*의 이행을 강화하기로 하였습니다.
 
* (주요내용) ▴보건·의료 ODA 역량 집중, ▴코로나19 극복 글로벌 협력 선도, ▴개발도상국 경제·사회 회복력 강화, ▴상생 발전의 생태계 구축
 
□ 이와 함께, 사람 중심의 ODA를 위해 분쟁국 및 아동·여성·난민 등 취약계층을 중심으로 인도적 지원*을 지속적으로 확대하면서, 인도적 지원-개발-평화를 연계하여 효과성을 높여 나갈 계획입니다.
 
* (’17)900억원→(’18)1,391억원→(’19)1,432억원→(’20)1,677억원 →(’21)1,930억원
 
사각형입니다. 상생하는 ODA
 
□ 개도국 성장을 위한 대규모 인프라 구축을 지원하는 가운데, 민관협업*을 통한 시너지 창출을 중점 추진하기로 하였습니다.
 
* (예) 스마트시티 사업발굴 모델 : 정책자문 + LH공사(설계 및 운영) + EDCF (도로, 상수도 부대 인프라 지원) + 민간기업(도시 건설 및 ICT기술 제공)
 
□ 녹색전환 선도를 위해 新기후체제 적극 동참과 함께 P4G 정상회의(서울, ’21.5월) 등을 통해 기후변화 대응 국제논의를 주도하고, 그린 뉴딜 ODA* 비중 확대를 위한 로드맵도 수립할 계획입니다.
 
* 친환경 요소를 가미한 ODA로서, 개도국 지속가능발전 및 우리 기업 참여 촉진
 
□ 또한, ODA와 경협·통상·안보 등 대외전략과의 유기적 연계를 통해 가시적 성과를 창출하고, 개도국과의 정상급 외교 시에도 ODA를 보다 적극적으로 활용할 방침입니다.
 
사각형입니다. 혁신적 ODA
 
□ ICT·과학기술 및 공공행정 등 우리가 국제경쟁력을 보유한 분야를 활용하여 개도국의 혁신역량을 강화해 나가기로 하였습니다.
 
ㅇ 이를 위해 ICT와 ODA를 접목한 디지털 뉴딜 ODA와 공공행정 ODA를 통한 개도국 행정·제도 혁신을 중점 지원하겠습니다.
 
□ 또한, 정부(유·무상)-시민사회-기업(해외투자)의 활동과 장점을 연계한 패키지 사업*, 스타트업·소셜벤처의 혁신기술을 적용한 사업 등 창의적인 ODA 프로그램을 적극적으로 발굴할 계획입니다.
 
* (예) ▴(유상) 음압병실 및 실험실 구축 ▴(무상) 진단키트 지원, 검사인력 역량강화 ▴(기업) 통신데이터 분석을 통한 감염자 이동경로 파악 ▴(시민사회) 기초 위생 인식제고
 
□ 아울러, 민간재원인 경협증진자금과 정책금융의 적극 활용, 혼합금융*을 통한 대규모 사업 진출과 함께 수출입은행 등 공공부문의 개발금융 기능도 더욱 활성화시키기로 하였습니다.
 
* (예시) 경협증진자금(EDPF) + 정책금융 + WB·ADB 등 협조융자 지원
 
사각형입니다. 함께하는 ODA
 
□ 정부와 시민사회가 함께 마련한 「정부-시민사회 파트너십 기본정책 이행방안(’21.1월)*」을 토대로 시민사회와의 협력 분야를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특히 인도적 지원, 보건, 교육 등 시민사회 강점 분야에서의 협업을 중점 추진할 계획입니다.
 
* ▴효과적 개발협력 이행 ▴투명성·책무성 제고 ▴취약층 우선 지원 ▴국민 참여 확대 등
 
□ 국제협력에 있어서도, 5대 유엔 중점협력기구*와의 전략적 협력을 토대로 감염병 등 글로벌 난제 해결을 위한 국제논의를 선도하고,
 
* WHO, UNICEF, WFP(세계식량계획), UNDP(유엔개발계획), UNHCR(유엔난민기구)
 
ㅇ 다른 공여국과의 공통 관심 사업 발굴, 수원국·신흥국과의 삼각 협력 등으로 국제협력 방식을 다각화해 나갈 예정입니다.
 
□ 아울러, 기업 사회공헌활동(CSR;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과 ODA의 연계는 물론, 지자체·대학·연구기관 등 모든 개발협력 주체와의 파트너십을 형성·강화해 나가겠습니다.
 
사각형입니다.
 
□ 정부는 이러한 기본계획 추진과제를 효과적으로 이행하기 위해, 3차 기본계획 기간 동안의 재원배분방향을 설정하였습니다.
 
ㅇ 우리나라 ODA 총 규모를 ’19년(3.2조원) 대비 ’30년까지 2배 이상 수준으로 확대할 계획입니다.
 
ㅇ 유상원조와 무상원조는 40:60 원칙 하에서 국제동향 등을 감안하여 탄력적으로 조정해 나가겠습니다.
 
ㅇ ▴지역별로는 신남방·신북방 정책과의 정합성 등을 위해 아시아 및 아프리카 중심 기조를 지속하고, ▴분야별로는 코로나19 대응을 위해 ’22년까지 보건·의료 분야를 대폭 확대하고, 시민사회 협력 예산의 비중도 확대해 나갈 예정입니다.
 
2. ODA 중점협력국 재선정
 

◈ 중점협력국을 24→27개국으로 조정(5개국 추가, 2개국 제외)
 
◈ 4개 신남방·신북방국가 신규 추가* → 신남방·신북방정책 적극 뒷받침
 
* 인도(신남방), 우크라이나, 키르기스스탄, 타지키스탄(이상 신북방) 등

 
□ 정부는 ‘선택과 집중’을 통해 ODA 지원 효과를 제고하기 위해 2010년부터 5년 주기로 ODA 중점협력국을 지정하고 있습니다.
 
□ 이번 제3기 중점협력국 선정은 객관성과 공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정량평가와 정성평가를 병행·합산하여 진행하였고, 기존 24개국에서 3개국을 순증하여 27개국으로 조정하였습니다.
 
ㅇ 기존 중점협력국 중에서 사업추진 환경이 용이하지 않은 모잠비크와 아제르바이잔을 제외하는 대신,
 
ㅇ 향후 경제·외교적 협력 잠재력이 높은 인도, 이집트, 우크라이나, 키르기스스탄, 타지키스탄 등 5개 국가*를 새로 추가하였습니다.
 
ㅇ 특히, 인도, 우크라니아, 키르기스스탄, 타지키스탄 등 4개 신남방·신북방 국가를 선정함으로써 정부의 핵심 대외정책인 신남방·신북방정책을 적극적으로 뒷받침하고자 했습니다.
 
□ 앞으로 정부는 중점협력대상국 중에서 대륙별 거점국가를 지정·운영함으로써 선택과 집중 효과를 극대화할 계획이며,
 
ㅇ 올해 안에 5개 신규 중점협력국에 대한 국가협력전략을 수립하여 체계적으로 ODA를 추진해 나갈 예정입니다.
 
< 중점협력대상국 재선정 결과 >

 2기 중점협력국(24개국)3기 중점협력국 재선정(27개국)
아시아11베트남, 인도네시아, 캄보디아, 필리핀, 방글라데시, 몽골, 라오스, 네팔, 스리랑카, 파키스탄, 미얀마12베트남, 인도네시아, 캄보디아, 필리핀, 방글라데시, 몽골, 라오스, 네팔, 스리랑카, 파키스탄, 미얀마, + 인도
아프
리카
7가나, 에티오피아, 모잠비크, 르완다, 우간다, 탄자니아, 세네갈7가나, 에티오피아, 르완다, 우간다, 탄자니아, 세네갈, + 이집트
중앙아2우즈베키스탄, 아제르바이잔4우즈베키스탄, + 키르기스스탄,
우크라이나, 타지키스탄
중남미4콜롬비아, 페루, 볼리비아, 파라과이4콜롬비아, 페루, 볼리비아, 파라과이

*

 

제외 국가(2개),

 

신규 추가 국가(5개) *

 

제외 국가(2개),

 

신규 추가 국가(5개)3. ’21년 국제개발협력 종합시행계획(확정액 기준)
 

◈ ‘21년 ODA 규모는 3조 7,101억원(‘20년 대비 2,831억원, 8.3% 증가)
 
◈ 교통 및 보건 분야를 중심으로 아시아, 아프리카 지역 중점 지원
 
◈ 보건 분야 ODA 규모를 전년대비 20% 이상 대폭 증가

 
□ 정부는 ’21년 시행계획을 통해, 올해 ODA 사업 규모를 ’20년 3조 4,270억원보다 2,831억원 증가한 3조 7,101억원으로 정하고,
 
ㅇ 42개 기관(10개 지자체 포함)에서 1,682개 사업(’20년 1,551개)을 시행하기로 결정하였습니다.
 
□ 우리나라는 올해 총 89개 수원국을 지원할 예정이며, 아시아(40.5%), 아프리카(18.7%) 지역을 집중 지원할 계획입니다.
 
* 신남방(7,701→7,714억원) 및 신북방(2,122→2,251억원) 국가 사업 규모 증가
 
ㅇ 분야별로는 우리나라가 비교우위에 있는 교통(15.3%), 보건(11.7%), 교육(9.9%) 분야를 중심으로 ODA 사업을 추진하기로 했습니다.
 
ㅇ 특히, 코로나19 대응 지원을 위해 보건 분야 ODA 규모를 전년대비 20% 이상 대폭 증가(2,773 → 3,358억원, 21.1%↑)하였습니다.
 
4. 5개 ODA 중점협력국 국가협력전략 수정안(안)
 

◈ 5개 수원국의 정권교체, 신규 개발계획 발표 등 변동사항 반영
 
→ 국가협력전략(CPS)*의 실효성 제고, 체계적·전략적 ODA 추진
 
* 중점협력국에 대한 중점협력분야 및 실행계획 등을 담은 국가별 중기지원전략

 
□ 정부는 중점협력국 제도 운영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 국가협력전략(CPS, Country Partnership Strategy)을 수립하여 운영하고 있습니다.
 
□ 이날 회의에서는 최근 정권교체, 신규 개발계획 발표 등이 있었던 몽골, 파키스탄, 파라과이, 콜롬비아, 가나 등 5개 수원국을 대상으로 변동사항을 반영하여 국가협력전략을 수정·보완하였습니다.
 
ㅇ 정부는 앞으로도 중점협력국 정책환경 변화에 적기 대응함으로써 국가협력전략(CPS)의 실효성을 지속적으로 높여 나갈 계획입니다.
 
※ (붙임) 1. 제3차 국제개발협력 종합기본계획 추진방향
2. ’21년 국제개발협력 사업 개요
3. 국제개발협력위원회 위촉위원   

만족도 조사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메뉴담당부서
언론담당관실
전화
02-2100-8126